동양고전종합DB

老子道德經注

노자도덕경주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53.1 使我介然有知하여 行於大道 唯施是畏
[注]言若使我可介然有知하여 行大道於天下 唯施爲是畏也
53.2 大道甚夷어늘 而民好徑이로다
[注]言大道蕩然正平이어늘 而民猶尙舍之而不由하고 好從邪徑하니 況復施爲以塞大道之中乎리오
故曰 大道甚夷어늘 而民好徑이라하니라
53.3 朝甚除
[注]朝 宮室也 潔好也
53.4 田甚蕪하고 倉甚虛하며
[注]朝甚除 則田甚蕪하고 倉甚虛하니
設一而衆害生也
53.5 服文綵하고 帶利劍하고 厭飮食호대 財貨有餘 是謂盜夸로다 非道也哉인저
[注]凡物不以其道得之 則皆邪也 邪則盜也
故擧非道以明이니 非道 則皆盜夸也


제53장은 1인칭 시점視點으로 말을 시작한다. 한스 게오르그 묄러(Hans-Georg Moeller)는 여기에 언급된 ‘나’는 저자著者가 아니고, 차라리 독자讀者청자聽者가 동일시하리라 생각되는 그 ‘나’를 가리킨다고 보았다.
도는 하나의 평탄한 길이다. 그러나 너무 평탄하기에 그 길을 걷는 사람들을 ‘흥분시킬 만한’ 또 다른 길을 찾게 만들 수도 있다. 그러나 실제로 행동에 옮겨 평탄한 길을 떠나 더욱 고된 길로 가는 것은 성공으로 이끌지 못한다.
제53장의 나머지 부분은 무질서의 상태를 묘사하고 있다. 명백하게 도에서 벗어난 지배 엘리트는 그 나라의 를 거두어들이고, 통치의 의무는 소홀히 한다. 그러한 통치자들은 ‘도적놈’에 비교되고 있다. 그런데 도적놈을 뜻하는 ‘’는 ‘’와 발음이 같다. 백성을 착취하는 통치자들의 는 도적놈의 이지 진정한 가 아니다.
내가 조금이라도 아는 바가 있어 〈천하에〉 큰 를 행하게 된다면 오로지 〈자연스러움을 거슬러 하는 것을〉 베풀게 될까 두려울 뿐이다.
만약 내가 조금이라도 아는 바가 있어 천하에 큰 도를 행하게 된다면 오로지 그것이 〈자연스러운 본성에 거슬러〉 하는 것을 베풀게 될까 두렵다는 것을 말한 것이다.
큰 길은 매우 평탄한데, 백성들은 샛길을 좋아한다.
큰 길이 널찍하고 바르며 평평한데 백성들은 오히려 그 길을 버려둔 채 다니지 않고 샛길로 다니기를 좋아하니, 하물며 다시 〈자연스러움을 거슬러〉 하는 일을 베풀어 큰 길의 한가운데를 막음에 있어서랴라고 말한 것이다.
그래서 “큰 길은 매우 평탄한데, 백성들은 샛길을 좋아한다.”고 했다.
궁궐 안이 너무 깨끗하면
는 궁궐의 뜻이고, 는 깨끗하고 좋다는 뜻이다.
〈농사짓는〉 밭은 〈잡초가〉 무성하고 창고는 텅텅 비며,
궁궐 안이 너무 깨끗하면 〈농사짓는〉 밭은 잡초가 무성하고 창고는 텅텅 비게 되니,
〈군주가 궁궐〉 하나를 설치하여 수많은 해로움이 생겼다는 뜻이다.
아름다운 무늬로 꾸민 비단옷을 입고 날카로운 검을 차고 싫증나도록 먹고 마시고도 재산이 남아돈다면 이런 이들을 일컬어 도둑질하여 사치 부리는 놈이라 한다. 〈도둑질한 것이지〉 가 아니다!
어떤 물건이든 마땅한 도리로 얻은 게 아니면 모두 잘못된 것이요, 잘못된 것은 도둑질한 것이다.
귀한 〈지위는〉 마땅한 도리로 얻은 게 아니면 지위를 훔친 것이니, 훔친 것이라면 사치 부리는 것일 뿐이다.
그래서 도가 아닌 것을 들어 밝혔으니, 도리가 아니라면 모두 도둑질하여 사치 부리는 것일 뿐이다.


역주
역주1 (之) : 저본에는 ‘之’가 있으나, 樓宇烈은 道藏集注本에 의거하여 생략하는데, 이를 따른다.
역주2 (夸)[貴]而不以其道得之……[竊則夸也] : 저본에는 ‘夸而不以其道得之 竊位也’로 되어 있으나, 樓宇烈은 이 부분을 ‘夸而不以其道得之 盜夸也 貴而不以其道得之 竊位也’로 보았다. 그 뜻은 “사치스럽게 사는데 마땅한 도리로 얻는 게 아니면 그것은 도둑질하여 사치 부리는 것이요, 신분이 귀한데 마땅한 도리로 얻은 게 아니면 지위를 훔친 것이다.”이다. 바그너는 集注本에 의거하여 物과 貴가 대구를 이루고, ‘邪則盜也’에 대구를 이루도록 ‘竊則夸也’를 보충하였는데, 바그너의 교정이 무리가 없다 생각되어 이를 따랐다. 王弼은 注의 끝에서 ‘皆盜夸也’라 하였으니 맥락상 樓宇烈의 순서보다 바그너의 것이 타당해 보인다.

노자도덕경주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