注
[注]唯重積德호대 不欲銳速然後에 乃能使早服其常이라
59.4 重積德則無不克하고 無不克則莫知其極이니
注
重積德은 是唯圖其根然後에 營末이라야 乃得其終也라
통상 제59장은 《노자老子》의 목적인 장생구시長生久視의 도道가 서술된 문장文章으로 유명하다. 이러한 목적의 달성을 위해 《노자老子》는 자신의 몸과 국가를 유지 보전하는 가장 기본적인 전략으로 ‘아끼는 것[색嗇]’을 제시하는데, 이는 국가國家의 재정財政을 아끼는 것이나 신체의 정기精氣를 아끼는 것 모두를 포함한다. 하상공河上公의 이해는 여기에 바탕해 있다. 바로 이런 아낌이야말로 장생구시의 비결로서 신체적 장생에 도달하는 것은 물론 정치적 사회적 안정을 확립하는 핵심이라 말한다. 또한 정기를 보전하고 마찰을 피하고 고요히 숨어 있음으로써 덕이 쌓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제59장의 내용은 한대漢代 초기에 유행하였던 황로학黃老學의 핵심적인 사상을 잘 보여주는데, 하상공河上公의 표현대로 하면 그것은 국가의 통치[치국治國]와 신체의 수련[치신治身]을 같은 원리로 보는 것과 통한다. 황로학이 바로 여러 종류의 《황제서黃帝書》와 《노자老子》를 함께 아우르는 명칭이라고 왕충王充이 설명한 것을 따른다면, 제59장의 사상은 황로학의 주제主題는 물론 그 논리論理를 잘 드러내주는 것이라 볼 수 있다.
하지만 왕필王弼은 이러한 황로학과 일정한 거리를 둔 해석을 취한다. 왕필은 ‘색嗇’을 농사일에 비유한 것으로 해석하면서 근본根本에 충실함으로써 말단末端을 다스린다는 사상을 드러낸다. 즉 왕필은 “근본을 받들어 말단을 키운다.[숭본식말崇本息末]”, 혹은 “근본을 받들어 말단을 세운다.[숭본거말崇本擧末]”는 논리로 이 장을 해석한다.
사람을 다스리고 하늘을 섬기는 것은 농사일보다 나은 게 없다.
注
막약莫若은 ‘……보다 나은 게 없다’는 말과 같다.
농부가 밭을 경작할 때에는 잡초[수류殊類]를 제거하여 가지런히 하는 데로 돌아가도록 힘쓰니,
〈이는 작물이 지닌〉 자연스러운 본성을 온전히 하되 가뭄과 병충해에 급급해하지 않고서 가뭄과 병충해가 드는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다.
위로는 천명天命을 받들고 아래로는 백성들을 편안케 하는 데 이보다 더 나은 건 없다.
대저 오로지 농사짓듯이 하니 이 때문에 일찍 따른다 하며
〈항상됨을〉 일찍 따름을 일컬어 거듭 덕德을 쌓는다고 하니,
注
오직 거듭 덕을 쌓되 날카롭게 하거나 서두르려고 하지 않은 후에야 능히 항상됨을 따를 수 있다.
그래서 “〈항상됨을〉 일찍 따름을 일컬어 거듭 덕을 쌓는다.”고 한 것이다.
거듭 덕을 쌓으면 〈무궁한 도를 얻어〉 이기지 못할 게 없고, 이기지 못할 게 없으면 그 끝을 알지 못하니
注
끝이 있는 것을 가지고 나라를 다스리니 나라를 가질 수 없다.
나라의 어미를 가지면 오래오래 갈 수 있으니,
注
거듭 덕을 쌓음은 오로지 그 뿌리를 도모한 후에 말단을 다스려야 그 마침을 얻을 수 있다.
이를 일컬어 뿌리를 깊고 단단하게 하며 오래 살고 오래 보는 도道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