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老子道德經注

노자도덕경주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70.1 吾言甚易知하고 甚易行이어늘 天下莫能知하고 莫能行하나니
[注]可不出戶窺牖而知하니 故曰 甚易知也
無爲而成하니 故曰 甚易行也
惑於躁欲하니 故曰 莫之能知也
迷於榮利하니 故曰 莫之能行也
[注]宗 萬物之宗也 萬事之主也
70.3 夫唯無知 是以不我知
[注]以其言有宗하고 事有君之故 故有知之人 不得不知之也
70.4 知我者希 則我者貴
[注]唯深하니 故知之者希也
知我益希하면 我亦無匹이라 故曰 知我者希 則我者貴也라하니라
70.5 是以聖人 被褐懷玉하니라
[注]被褐者 同其塵이요 懷玉者 寶其眞也
聖人之所以難知 以其同塵而不殊하고 懷玉而不이라
故難知而爲貴也하니라


제70장은 ‘’가 ‘안다’는 뜻과 ‘완성하다’라는 뜻을 이중적으로 갖는다는 것을 이용하여 논의하고 있다. ‘’에 대한 논의는 제33장과 제56장에서도 다루고 있다.
성인聖人의 말은 알기 쉽고 행하기도 쉽다. 그런데도 그것을 행하거나 배울 필요성을 느끼는 사람은 없다. 도가에서 말하는 〈통치의〉 기예技藝의 역설적 완성은 오로지 자신의 행동, 행위, 의도를 최소화할 것을 요구할 뿐이다. 게다가 성인은 이러한 탈인간화의 기예(art of dehumanization)를 완벽하게 완성한 유일한 인간이다. , 즉 바퀴 중심부의 비어 있는 허브는 단 하나이다. 비록 허정虛靜무위無爲의 길을 따르는 것이 이론상으로 쉽다 해도, 이 중심의 자리에는 오직 한 사람만이 있을 수 있다.
첫째 부분을 반향反響하면서 셋째 부분은 도가적 통치술의 논리(logic of rulership)에 완벽하게 상응한다. 성인 군주가 군주가 된 까닭은 그가 어떤 특정한 과업도 수행하지 않는, 즉 를 체득한(to master nothing) 유일한 사람이기 때문이다. 무를 체득함(mastering)으로써 성인 군주는 모두의 주인(the master)이 되는데 이 때문에 그 누구도 그를 지배하지(to master) 못하는 것이다. 성인 군주의 명성(esteem)은 이런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어서 제70장은 성인 군주의 아낌과 소박함을 찬양하면서 결론짓는다. 즉 성인 군주는 허름한 베옷을 입는다. 그런데 이것은 역설적으로 그의 예외적인 존재임을 표현해준다.
때때로 제70장은 《노자老子》의 저자로 추정되는 사람의 우울한 불만, 즉 사람들이 도가적 메시지를 이해하지 못하고 따라서 이를 행하고자 하지 않는 것에 대한 우울한 불만의 표현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그런데 필자는 《노자》에 어떤 한 사람의 저자著者나 한 사람의 화자話者가 있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차라리 《노자》에 등장하는 ‘나’, 특히 여기 제70장에 등장하는 ‘나’는 장래가 촉망되는 독자讀者 또는 청자聽者의 ‘나’, 이른바 성인 군주가 되기를 열망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필자의 해석에 따르면 제70장은 오해되고 있다는 점에 불만을 말하고 있지 않고, 차라리 도가의 역설의 규칙을 표현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오로지 단 한 사람만이 ‘부지不知’라는 ‘쉬운’ 기예를 완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것이 가장 좋은 것이기도 하다. 제70장은 지성적인 독해법讀解法(intelligent readership)의 결핍을 비난하지 않지만, 오히려 이상적으로는 오직 한 사람만이 도의 가르침을 완성하리라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그러므로 그 밖의 어느 누구도 도를 완성할 수는 없는 것이다. 제70장은 《노자》가 이상적으로는 오로지 단 한 사람의 독자나 청자를 의도한 것이라는 점을 지적하고 있는 것이다.
내 말은 무척 알기 쉽고 무척 행하기 쉽지만 천하의 〈누구도〉 알 수 없고, 행할 수 없으니,
문을 나서거나 창밖을 내다보지 않아도 알 수 있기 때문에 “무척 알기 쉽다.”고 했다.
하는 게 없으나 이루기 때문에 “무척 행하기 쉽다.”고 했다.
조급한 욕심에 혹하기 때문에 “누구도 알 수 없다.”고 했다.
영리榮利에 미혹되기 때문에 “누구도 행할 수 없다.”고 했다.
말에는 으뜸이 있고 일에는 주인이 있는데
은 만물의 으뜸이요, 은 만사의 주인이다.
저들(으뜸과 주인)을 모를 뿐이다. 이 때문에 나를 알지 못하는 것이다.
말에는 으뜸이 있고 일에는 주인이 있는 까닭에 지혜가 있는 사람은 알지 못할 수 없다.
나를 아는 자가 드물면 나는 귀해지리라.
오로지 깊기 때문에 아는 자가 드물다.
나를 아는 자가 더욱 드물어지면 내게는 또한 필적할 만한 이가 없기 때문에 “나를 아는 자가 드물면 나는 귀해지리라.”고 했다.
이 때문에 성인은 〈겉으로는〉 갈옷을 입고 〈안으로〉 옥을 품는다.
‘〈겉으로는〉 갈옷을 입는다.’는 것은 티끌(세속)과 같이한다는 뜻이요, ‘〈안으로〉 옥을 품는다.’는 것은 그 참된 본성을 보배처럼 여긴다는 뜻이다.
성인이 알기 어려운 까닭은 그가 티끌과 같이하면서 두드러지지 않고 〈안으로〉 옥을 품었으면서 드러내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알기가 어렵고 귀하게 되는 것이다.


역주
역주1 言有宗……是以不我知 : 이 부분은 《淮南子》 〈道應訓〉, 《呂氏春秋》 〈審應覽 精諭〉, 그리고 《列子》 〈說符〉에도 실려 있다. 《회남자》 〈도응훈〉에서 百公은 공자에게, 사람이 微言을 할 수 있느냐고 묻는다. 공자는 “무릇 말을 안다고 할 수 있는 사람은 말을 가지고 말하지 않는다. 물고기를 잡으려는 사람은 물에 젖고 짐승을 쫓는 사람은 달려야 하는데 이는 즐거운 일이 아니다. 그러므로 지극한 말은 말을 떠나고 지극한 행동은 〈드러내어〉 행함이 없다.[夫知言之謂者 不以言言也 爭魚者濡 逐獸者趍 非樂之者也 故至言去言 至爲無爲]”라고 하였다. 하지만 백공은 끝내 공자의 말을 이해하지 못했고, 결국 욕실에서 죽임을 당하고 말았다며 《노자》의 이 부분을 인용하고 나서, 《회남자》는 이 말이 바로 백공을 두고 한 말이라고 끝맺는다.
역주2 言有宗 事有君 : 이 부분은 판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데, 帛書本조차 甲本은 ‘言有宗 事有主’로, 乙本은 ‘言有宗 事有君’으로 되어 있다. 《淮南子》 〈道應訓〉에서는 ‘言有宗 事有本’으로 되어 있고 淳于髡의 이야기를 들면서 이 부분을 언급하는데, 본래 《회남자》 〈도응훈〉에서 말하고자 했던 것은 愼子의 말이었다. 하지만 논의의 맥락을 보면 이 부분에 대한 해설이라 보아도 무방하여 여기에 싣는다. 순우곤의 이야기는 《呂氏春秋》 〈審應覽 離謂〉에도 보인다. 齊나라 사람 淳于髡이 합종책으로 魏나라 王에게 유세하니, 왕은 수레 열 대를 마련해 楚나라에 사신으로 보내려 하였다. 막 인사를 하고 떠나려고 할 때, 사람들이 합종책만으로는 부족하다 여겨 다시 연횡책을 들려주었다. 왕은 사신 행차를 멈추게 하고 순우곤을 멀리하였다. 합종책도 연횡책도 모두 쓸 수 없게 된 것이다. 이 이야기를 소개한 후 《회남자》는 “무릇 말에는 으뜸이 있고 일에는 주인이 있다. 으뜸과 주인을 상실하면, 비록 기술과 재능이 많아도 차라리 적은 것만 못하다.[夫言有宗 事有本 失其宗本 技能雖多 不若其寡也]”라고 평하는데, 《노자》의 문장으로 인용하고 있지는 않다. 그리고 이어서 《회남자》는 愼子의 말이라며 다음과 같이 인용한다. “장인은 문을 만들 때 잘 열리는 것만 생각하는데, 이는 문을 제대로 알지 못하는 것이다. 문은 반드시 닫아 보아야 잘 열리게 된다.[匠人知爲門能以門 所以不知門也 故必杜然後能門]”
역주3 (渝)[顯] : 저본에는 ‘渝’로 되어 있으나, 樓宇烈은 문장의 뜻이 통하지 않으므로 道藏取善集本에 따라 ‘顯’으로 볼 것을 주장하였는데, 이를 따른다.

노자도덕경주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