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老子道德經注

노자도덕경주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萬物負陰而抱陽하여 니라
[注]萬物萬形 其歸一也이니 何由致一이오 由於無也니라
由無乃一하니 一可謂無
已謂之一이니 豈得無言乎
有言有一이니 非二如何
有一有二 遂生乎三이라
從無之有 數盡乎斯 過此以往이면 非道之流니라
故萬物之生 吾知其主 雖有萬形이라도 沖氣一焉이라
百姓有心이니 異國殊風이라도 하니라
以一爲主 一何可舍리오
愈多愈遠이니 損則近之하고 損之至盡이라야 乃得其極이니라
旣謂之一하면 猶乃至三이니 況本不一이로되 而道可近乎
損之而益하고 豈虛言也
[注]我之 非强使人從之也하고 而用夫自然하니라
擧其至理 順之必吉이요 違之必凶이니라
故人相敎 違之必自取其凶也라하여늘 亦如我之敎人 勿違之也하니라
[注]强梁則必不得其死니라
人相敎爲强梁 則必如我之敎人不當爲强梁也하니라
擧其强梁不得其死以敎耶 若云順吾敎之必吉也니라
故得其違敎之徒 適可以爲敎父也니라


제42장은 제40장과 내용상 관련이 깊다. 전반부는 , , , , 만물萬物에 이르는 우주발생론적 설명이라면 후반부는 강량强梁함을 피하라는 교훈을 강조하는 내용이다. 이는 이 두 가지 모두 제40장의 내용과 이어지는 부분들로 되어 있다. 다만 제40장은 죽간본竹簡本에 있으나 제42장은 죽간본竹簡本에 없다는 것이 주목할 사항이다.
독일학자獨逸學者 한스 게오르그 묄러(Hans-Georg Moeller)는 제40장과 제42장의 우주론을 비교하면서 이렇게 말한다.
“제40장에서 개념적 용어를 통해 말한 것이 여기서는 수적 상징을 통해 표현되고 있다. 제40장은 이렇게 진술하고 있다. ‘천하만물은 에서 생겨나지만 에서 생겨난다.’ 제42장은 순서를 거꾸로 하여 이렇게 진술한다. ‘하나는 둘을 낳고, 둘은 셋을 낳고…….’ 이러한 창생創生(generation) 과정의 중심에 도가 있는데, 또는 로서 숫자 하나 - 주목할 것은 0이 아니라는 점이다. - 와 동일시되는 이 도는 유일성唯一性전체성全體性을 동시에 나타낸다. 바퀴의 이미지를 통해 설명되는 도는, 비어 있으면서 하나의 중추가 되는 것(the empty and single hub) - 내적인 중심이자 바퀴의 기능의 ‘기원’ - 이면서 동시에 바퀴 전체 - 일어나는 모든 외적 총체 또는 일원론적 우주 - 이다. 도의 전체 시나리오는 이렇게 , 밤과 낮, 어둠과 밝음의 교체로 또는 생물학적인 세계에서 암컷과 수컷으로 이루어져 있다. 생산과 재생산의 진행은 이러한 가장 일반적인 이원성二元性에 근거를 두고 있다.
이렇게 볼 때 일원론적인 전체는 둘(twoness)을 포괄하고 있다. 이러한 하나이자 둘이 함께 만물로 이루어진 의 세계(the multiplicity)를 나타내는 셋(the threeness)을 구성한다. 하나의 전체로서 볼 때 도는 하나이지만, 그 하나됨이란 다만 변화와 재생산의 중심에 있는 근본적인 둘로 이루어진 틀(the frame)일 뿐이다. 따라서 저기의 모든 것을 일으키는 이러한 이원성은 세계 속에 있다.
여기서 수적數的 상징으로 묘사되는 창생의 전체 과정은 〈기독교적인〉 창조론創造論이나 단선적 진화론進化論으로 이해해서는 안 되고 차라리 바퀴의 이미지와 같이 ‘통합된 (the integrate circle)’으로 이해하는 것이 마땅하다. 바퀴의 운동은 중심에 비어 있는 바퀴축을 둘러싸고 회전하지만, 그 축 자체는 바퀴의 회전을 앞서지도 않고 먼저 시작하지도 않는다. 도는 최초의 운동자나 창조주가 아니다. 그것은 생산과 재생산 과정의 중심에 있을 뿐이다.”
전통적인 주석에서는 을 어떻게 볼 것이냐를 둘러싸고 논의되는데 대체로 두 가지 흐름으로 구분된다. 하나는 음양陰陽에 근거하여 우주발생론으로 해석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장자莊子》를 원용하여 만물萬物의 일체를 강조하는 흐름이다. 왕필은 후자의 입장에 서 있지만 이를 재해석하여, 민심民心으로 연결하여 정치철학으로 나아간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뒤에 이어지는 강량强梁에 대한 경계는 제40장에서 ‘에 있다.’고 한 것과 상통하는 교훈을 말하고 있다.
가 하나를 낳고 하나는 둘을 낳고 둘은 셋을 낳고 셋은 만물을 낳는다.
만물은 을 등에 지고 을 끌어안아 충기沖氣로써 조화롭게 된다.
사람이 싫어하는 것은 오직 홀로 되고[], 버려지고[], 가진 게 없는 것[불곡不穀]이지만 왕공王公은 이것들을 칭호로 삼는다.
그러므로 사물이란 혹 덜어내면 보태지고 혹 보태면 덜어진다.
만물萬物만형萬形은 아마도 ‘하나[]’로 돌아갈 것이다. 무엇을 말미암아 ‘하나’에 이르는가? 를 말미암아서이다.
를 말미암아 하나가 되니 〈그렇다면〉 이 하나를 라 일컬을 수 있는가?
이미 그것을 하나라 일컬었으니 어찌 ‘말[]’이 없다 할 수 있는가?
말이 있고 하나가 있으니 둘이 아니면 무엇이라 하겠는가?
하나가 있고 둘이 있으니 셋을 낳기에 이른다.
로부터 로 나아감에 숫자는 여기에서 다하였으니 이 셋을 지나 더 나아가면 의 부류가 아니다.
그러므로 만물萬物이 생성할 때에 나는 그 주인을 알고 있으니, 비록 만형萬形이 있더라도 충기沖氣는 하나가 된다.
백성百姓에게는 이 마음이 있으니 나라와 풍속이 달라도 왕후王侯 가운데 이 ‘하나(충기沖氣, )’를 얻은 자가 그들의 주인이 된다.
이 하나로 주인이 되는데 그 하나를 어찌 버릴 수 있겠는가?
많아질수록 더욱 멀어지니 덜어내면 그것에 가까워지고 그 덜어냄이 다함에 이르러야 이에 그 궁극을 얻는다.
이미 그것을 일컬어 하나라고 하면 오히려 이내 셋에 이르게 되니, 하물며 근본이 하나가 아닌데 도가 가까워질 수 있겠는가?
덜어내면 보태지고 보태면 덜어진다는 것이 어찌 헛된 말이겠는가.
다른 사람이 가르치는 것을 나 또한 〈다른 사람에게〉 가르치니,
내가 다른 사람을 가르칠 때에는 다른 사람에게 억지로 가르침을 따르게 하지 않고, 저 자연스러움을 쓸 뿐이다.
〈나는〉 그 지극한 도리를 들어서 〈가르칠 뿐이니〉 그에 따르면 반드시 길하고, 그를 어기면 반드시 흉하다.
그래서 다른 사람들이 서로를 가르칠 때에 그것을 어기면 반드시 그 흉함을 자초할 것이라고 하는데, 마찬가지로 나 또한 다른 사람을 가르칠 때에는 그것을 어기지 말라고 한다.
강하고 굳세기만 한 사람은 제명에 죽지 못하니, 나는 장차 이것을 가르침의 아버지로 삼는다.
강하고 굳세기만 하면 반드시 제명에 죽지 못한다.
사람들이 서로 강하고 굳세라고 가르치는 것은 내가 반드시 강하고 굳세게 하는 것은 마땅치 않다고 가르치는 것과 같다.
“강하고 굳세기만 하면 제명에 죽지 못한다.”는 〈말을〉 들어 가르치는 것은 “내 가르침을 따르면 반드시 길하다.”라고 말하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가르침을 어기는 무리를 얻어 가르침의 아버지로 삼을 수 있다는 뜻이다.


역주
역주1 道生一……三生萬物 : 전통적으로 이 문장은 두 가지 방식으로 해석한다. 그 가운데 하나가 河上公에서 시작하는 氣와 陰陽論에 입각한 우주발생론적 해석인데, 河上公은 이렇게 주석한다. “도가 처음 낳는 것이 ‘하나[一]’이다. ‘하나’는 陰과 陽을 낳는다. 음양은 和氣, 淸氣, 濁氣를 낳는데 이것들이 분화되어 각각 하늘, 땅, 인간이 된다. 하늘, 땅, 인간이 함께 만물을 생성한다. 하늘은 베풀고 땅은 화육하며 인간은 보살펴 기른다.[道始所生者 一也 一生陰與陽 陰陽生和淸濁三氣 分爲天地人也 天地人共生萬物也 天施地化人長養之]” 이는 道에서 一, 陰陽, 三氣(和氣, 淸氣, 濁氣) 그리고 萬物로 이어지는 우주발생론적 이해이다. 그런데 이와 다른 방식은 萬物一體의 세계관으로 보는 해석으로서 《莊子》 〈齊物論〉에 나온다. “천지는 나와 나란히 생겨났고 만물은 나와 하나이다. 이미 하나가 되었다면 또 무슨 말이 있을 수 있겠는가. 그러나 이미 一이라고 말하였다면 또 말이 없을 수 있겠는가. 一과 말[言]이 二가 되고 二와 一은 三이 된다. 이로부터 이후로는 아무리 曆法에 뛰어난 사람이라도 계산해낼 수 없을 터인데, 하물며 보통 사람이겠는가. 그 때문에 無로부터 有로 나아가도 三이 됨에 이르니, 하물며 有로부터 有로 나아감이겠는가. 나아가지 말아야 할 것이니 절대의 是를 따를 뿐이다.[天地與我並生 而萬物與我爲一 旣已爲一矣 且得有言乎 旣已謂之一矣 且得無言乎 一與言爲二 二與一爲三 自此以往 巧曆不能得 而況其凡乎 故自無適有 以至於三 而況自有適有乎 無適焉 因是已]” 두 가지 해석 사이의 긴장은 河上公本에서는 道가 一을 낳는다는 것을 중시한다면 《莊子》는 이를 부정하고 萬物齊同의 一을 긍정한다는 점에서 발생한다. 때때로 一을 一氣, 元氣, 太極으로 바꾸어 해석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 두 가지 해석의 논란은 ‘道生一’이다. 그런데 《老子》 자체에 의거하면 “도가 〈만물을〉 낳는다.[道生之](經51.1)”고 한 것과 여기서 道가 一을 낳는다고 한 것은 다르다. 竹簡本에는 이 구절이 없는데, 通行本 《老子》에 이 두 가지 목소리가 다 있으니, 이것은 《老子》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이러한 두 세계관을 수용하고자 했던 것으로 읽어야 할 듯하다. 하지만 王弼은 음양 우주발생론을 배격하고 《莊子》를 따르면서 자신의 논지로 이어간다. 즉 ‘道生一’의 우주론은 一을 心으로 해석하여 得一과 연결하여 이를 民心을 얻어야 군주가 된다는 政治哲學으로 바꾸어 이해한다.
역주2 沖氣以爲和 : 帛書本에는 ‘沖氣’가 ‘中氣’로 되어 있다. ‘沖’에 대해서는 두 가지 해석이 있다. 하나는 沖의 의미를 따라 陰陽의 기운이 뒤섞인 상태로 보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元氣, 一氣 등 근원성을 강조하는 해석이다. 그런데 帛書本에는 ‘中氣’ 즉 음과 양 어느 하나에 치우치지 않는 중앙의 氣라는 뜻으로도 풀이할 수 있다. 하지만 王弼은 충기를 心으로 해석하고 이를 民心으로 연결시킨다. 결국 民心을 얻는 자가 군주가 된다는 儒家의 政治哲學으로 연결시키고 있다.
역주3 人之所惡(오)……而王公以爲稱 : 河上公本에는 ‘以爲稱’이 ‘以自稱’으로 되어 있고, 帛書本에는 ‘以自名也’로 되어 있다. 孤는 부모가 없고, 寡는 배우자가 없으며, 不穀은 도와줄 어떤 知人도 없다는 뜻이다. 즉 모든 관계에서 벗어난 사람이란 뜻이기도 하지만 그래서 수많은 臣下와 百姓과 관계를 맺어야 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이런 표현은 스스로를 낮추는 표현인데 왕은 이를 가지고 스스로를 지칭하거나 호명한다는 뜻이다.
역주4 故物或損之而益 或益之而損 : 백서본에는 ‘物或□□□損 損之而益’으로 되어 있다. 의미상 큰 차이는 없다.
역주5 而[王侯]得一者 (王侯)主焉 : 저본에는 ‘而得一者 王侯主焉’으로 되어 있으나, 陶鴻慶의 설에 따라 바로잡는다.
역주6 [益之而損] : 저본에는 없으나, 陶鴻慶의 설에 따라 ‘益之而損’을 보충하였다.
역주7 人之所敎 我亦敎之 : 帛書本에는 ‘故人□□敎 亦議而敎之’로 되어 있는데 議를 義의 가차자로 보면 뜻이 크게 다르지는 않다.
역주8 [敎人] : 저본에는 없으나, 陶鴻慶의 설에 따라 ‘敎人’을 보충하였다.
역주9 强梁者不得其死 : 帛書本에는 ‘故强梁者不得死’로 되어 있다.
역주10 吾將以爲敎父 : 帛書本에는 ‘敎父’가 ‘學父’로 되어 있으나, 뜻은 차이가 없다.

노자도덕경주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