注
故萬物雖幷動作하나 卒復歸於虛靜하니 是物之極篤也라
注
[注]歸根則靜이라 故曰靜이요 靜則復命이라 故曰復命也라
注
[注]常之爲物
은 不偏不彰
하고 無
昧之狀 溫凉之象
이라
注
[注]與天合德
하고 體道大通
이면 則乃至于
極虛無也
라
注
[注]無之爲物은 水火不能害하고 金石不能殘하니라
用之於心
하면 則虎兕無所投其
하고 兵戈無所容其鋒刃
하니 何危殆之有乎
리오
제16장은 ‘허정虛靜’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텅 비어 있음이 사물의 참되고 바른 모습이라는 것이다. 만물은 움직여서 일어나 생겨나고 자라지만 결국 허정한 곳으로 돌아가게 마련이니, 텅 비어 있어야 만물이 되돌아가는 것을 볼 수 있다는 것이다. 허정한 곳이 뿌리인 셈이다. 왕필王弼은 이를 ‘성명지상性命之常(본분의 마땅함)’이라고 풀고 있다. ‘성명지상性命之常’을 아는 것을 ‘명明(밝은 지혜)’이라고 한다. 그래서 ‘성명지상性命之常’을 알게 되면 모든 것과 통하게 되고 공정하게 되며, 왕이 되고 하늘이 되며, 도를 얻게 되고 죽을 때까지 위태롭지 않게 된다고 한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수양론修養論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 바로 ‘마음을 비우는 것’이 아닌가 싶다. 다석 유영모 선생은 《노자》에서 영성靈性 수련의 세 가지 화두를 말하여 ‘몸성히’, ‘맘놓이’, ‘바탈퇴히’라는 용어를 쓰고 있는데, ‘맘놓이’가 바로 자기를 비우는 행위, 마음을 내려놓는 것을 말한다. ‘바탈퇴히’는 나의 바탕(자아)을 태워나가는 것을 말한다. ‘내 못된 버릇과 내 악한 바탕을 끊임없이 태워 변화시키고 새 바탈(나)을 낳는 것, 종국에는 나를 아주 벗어버리는 것’이 수양의 요체라는 것인데, 참 쉽지 않은 일이다.
〈마음을〉 비운 상태를 유지하면 〈만물이〉 지극해지고 〈마음의〉 고요한 상태를 지키면 〈만물이〉 돈독해진다.
注
〈마음을〉 비운 상태를 유지하면 만물이 지극해지고, 〈마음의〉 고요함을 지키면 만물의 참된 본성이 바르게 된다는 말이다.
注
〈마음을〉 비우고 고요하게 함으로써 만물이 돌아옴을 본다는 말이다.
무릇 있음이란 비어 있는 곳에서 일어나고 움직임이란 고요함에서 시작된다.
그러므로 만물이 다같이 활동하지만 결국에는 비어 있고 고요한 상태로 다시 되돌아가니, 이 때문에 만물이 지극하고 돈독해진다.
무릇 만물은 무성하게 자라나 뒤엉키지만 각각 제 뿌리로 다시 돌아갈 뿐이다.
注
근根이란 〈만물의〉 ‘처음’이니 각각 그 처음 시작한 곳으로 돌아간다는 말이다.
뿌리로 돌아가는 것을 일컬어 ‘고요하다[정靜]’고 하고, 고요함을 일컬어 〈만물이 각각 자신의〉 ‘성명性命으로 돌아간다[복명復命]’고 하고, 〈만물이 각각 자신의〉 성명으로 돌아감을 일컬어 ‘늘 그러하다[상常]’고 하고,
注
뿌리로 돌아가면 고요해지므로 ‘고요하다’고 했다. 고요해지면 〈만물이 각각 본래의〉 성명으로 돌아가게 되므로 ‘〈본래의〉 성명으로 돌아갔다’고 했다.
성명으로 돌아가면 성명의 늘 그러함을 얻게 되므로 ‘늘 그러하다’고 했다.
늘 그러함을 아는 것을 일컬어 ‘밝다[명明]’고 한다. 늘 그러함을 알지 못하면 망령되게 흉한 일을 하게 되나,
注
‘늘 그러하다’는 것은 〈어느 쪽으로〉 치우치지도 않고 드러나지도 않으며, 밝거나 어두운 모습도 따뜻하거나 차가운 형상도 없다.
그러므로 ‘〈만물이〉 늘 그러함을 아는 것을 일컬어 밝다고 한다.’고 한 것이다.
오로지 이와 같은 〈만물의〉 ‘돌아옴’은 만물을 끌어안고 통할 수 있어 포용하지 못하는 것이 없다.
이것을 잃어버린 뒤로부터는 사특함이 〈만물 사이의〉 명분에 끼어들게 되니, 곧 만물이 자신의 명분을 떠나게 된다.
그래서 “〈만물이〉 늘 그러함을 알지 못하면 망령되게 흉한 일을 하게 된다.”고 했다.
注
끌어안아 통하지 못할 것이 없으면 곧 크게 공평한 상태에 이르게 된다는 뜻이다.
공평하게 되면 〈진정한 천하의〉 왕자王者가 되고,
注
크게 공평해지면 두루 미치지 않는 곳이 없음에 이르게 된다는 뜻이다.
〈진정한 천하의〉 왕자가 되면 하늘의 도에 합치하고,
注
두루 미치지 않는 곳이 없게 되면 하늘과 〈도를〉 함께하는 경지에 이르게 된다는 뜻이다.
注
하늘과 덕이 합치하고 도를 체득하여 크게 통하면 허무의 상태를 극도에 달하게 함에 이르게 된다는 뜻이다.
注
허무의 상태를 극도에 달하게 하여 만물의 늘 그러함을 얻으면, 곧 다함이 없는 상태에 이르게 된다는 뜻이다.
注
‘무無’라는 것은 물이나 불로 해칠 수 없고 쇠나 돌로 깨뜨릴 수 없다.
〈군주가〉 무無를 마음에 쓰면 호랑이나 외뿔소가 그 발톱이나 뿔로 덤빌 곳이 없고 칼과 창의 날로 찌를 곳이 없으니, 어찌 위태로움이 있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