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老子道德經注

노자도덕경주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27.1 善行 無轍迹하고
[注]順自然而行하여 不造不始 故物得至하여 而無轍迹也니라
27.2 善言 無瑕讁하고
[注]順物之性하고 不別不析이라 故無瑕讁니라
27.3 善數 不用籌策하고
[注]因物之數하니 不假形也하니라
[注]호대 不設不施
故不用關楗繩約하나 而不可開解也하니라
此五者 皆言不造不施하고 因物之性하니 不以形制物也하니라
27.5 是以 聖人 常善救人이라 故無棄人이요
[注]聖人 不立形名以檢於物하고 不造進向以殊棄不肖하고 輔萬物之自然而不爲始
故曰無棄人也하니라
不尙賢能하면 則民不爭하고 不貴難得之貨 則民不爲盜하고
不見可欲하면 則民心不亂하니 常使民心無欲無惑하면 則無棄人矣하리라
故善人者 不善人之師
[注]擧善以師不善하니 故謂之師矣
[注]資 取也 善人以善齊不善하고 以善棄不善也
故不善人 善人之所取也라하니라
[注]雖有其智라도 自任其智하고 不因物하면 於其道必失이라
故曰 雖智大迷라하니라
27.9 是謂要妙니라


제27장은 《노자老子》의 인재등용책人才登用策에 관한 이야기로 이해할 수 있다. 이석명은 《백서로자帛書老子》에서 이 구절의 본래 의미에 대해 다음과 같이 소개한다.
“사람은 누구나 적어도 한 가지 재주나 능력이 있는 법이다. 노자는 심지어 악인도 나름대로 쓸모가 있다고 보았다. 그래서 ‘성인은 항상 사람을 잘 찾아 쓰니, 버리는 사람이 없고 버리는 물건이 없다.’고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사고는 황로학黃老學의 인재등용론에서 매우 중요한 명제가 된다. 그러므로 황로학의 대표작품인 《회남자淮南子》에서는 이렇게 말하였다. ‘크고 작음 또는 길고 짧음에 상관없이 각각 그 마땅한 사람을 얻으면 천하가 고루 다스려진다. 성인은 두루 아울러 쓰기에 버리는 인재가 없다.’”
《노자》의 이러한 취지에 더해 왕필王弼은 맡김[]의 방법을 강조하고 이것은 각각의 사물이 타고난 자연스러운 본성을 따르는 데 있다고 본다. 이는 《노자》 3장에서 논의된 내용과 일맥상통한다. 특히 왕필은 “각각 제자리를 얻는다.”는 것을 강조하는데, 이것은 《논어論語》에도 등장하는 표현이다. 왕필에 따르면 군주의 무위無爲는 맡김에 있는데, 타고난 능력과 자질에 맡김으로써 각각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게 하면 숭상하고 경쟁하는 일이 사라질 것이라고 말한다.
길을 잘 가는 자는 자취를 남기지 않고
자연에 따라 행하여 만들지도 않고 시작도 하지 않는다. 그래서 만물이 지극함을 얻어 아무런 흔적이 없다.
말을 잘하는 자는 허물을 남기지 않고
만물의 본성에 따르고 나누거나 가르지 않는다. 그래서 허물을 남기지 않고 각각 제자리를 얻게 된다.
수를 잘 헤아리는 자는 계산기를 쓰지 않고
사물 자체의 수에 따르니 외형을 빌리지 않는다.
잘 닫는 자는 빗장으로 잠그지 않아도 열 수 없고, 잘 묶는 자는 밧줄로 묶지 않아도 풀 수 없다.
사물의 자연스러움을 따르되 세우거나 베풀지 않는다.
그래서 빗장을 사용하여 잠그거나 밧줄을 사용하여 묶지 않아도 열거나 풀 수가 없다.
이 다섯 가지는 모두 만들거나 베풀지 않고 사물의 본성을 따르니 형체로써 사물을 제어하지 않는다는 말이다.
그래서 성인은 늘 사람을 잘 구하는 까닭에 사람을 버리지 않고,
성인은 형명形名을 세워서 사물을 단속하지 않고 어떤 목표를 만들어 세워두고서 그에 모자라는 사람을 골라 버리지 않고 만물의 자연스런 본성을 돕되 먼저 시작하지 않는다.
그래서 “사람을 버리지 않는 사람이다.”라고 했다.
현명하거나 능력 있는 사람을 숭상하지 않으면 백성들이 다투지 않고, 얻기 어려운 재화를 귀하게 여기지 않으면 백성들이 도적질을 하지 않고,
욕심낼 만한 것을 보이지 않으면 백성들의 마음이 어지러워지지 않으니, 늘 백성들의 마음이 욕심도 없고 유혹당함도 없게 하면 사람을 버리지 않게 될 것이다.
늘 만물을 잘 구하는 까닭에 버려지는 물건이 없으니 이것을 일컬어 ‘밝음을 간직하고 있다.’고 한다.
그러므로 선한 사람은 선하지 않은 사람의 스승이요,
선한 사람을 들어 선하지 못한 사람을 가르치기 때문에 그를 스승이라고 했다.
선하지 못한 사람은 선한 사람이 취하는 것인데,
는 ‘취하다’는 뜻이다. 선한 사람은 〈자신의〉 선함으로 선하지 못함을 다스리고 〈자신의〉 선함으로 선하지 못함을 버리지 않는다.
그래서 선하지 못한 사람은 선한 사람이 취하는 것이라고 한 것이다.
그 스승을 귀하게 여기지 않고 그 취함을 아끼지 않으면 비록 지혜가 있더라도 크게 미혹될 것이니,
비록 지혜가 있더라도 스스로 자신의 지혜에 맡기고 사물에 따르지 않으면 그 도를 반드시 잃게 될 것이다.
그래서 “비록 지혜가 있더라도 크게 미혹될 것이다.”라고 한 것이다.
이것을 일컬어 “그 요체가 신비롭다.”고 한다.


역주
역주1 (可得其門也)[各得其所也] : 저본에는 ‘可得其門也’로 되어 있는데 뜻이 모호하다. 이 때문에 학자들마다 대안을 제시하였다. 波多野太郞(《老子王注校正》)은 ‘제자리를 얻을 수 있다.[可得其所也]’, 石田羊一郞(《老子王弼注刊》)은 ‘물어볼 수 있다.[可得而問也]’라고 보았으나 정확해 보이지는 않는다. 바그너는 注34.2, 注36.2, 注61.8 등에 보이는 ‘各得其所’로 볼 것을 제안한다. 王弼의 논리와 사상에 비추어볼 때 이 주장이 가장 타당성 있기에 이를 따른다.
역주2 善閉……而不可解 : 이 부분에 대해 《淮南子》 〈道應訓〉은 秦 始皇의 武治와 周 武王의 文治를 대비시켜 설명한다. 《회남자》는 秦 始皇帝가 天下를 얻고 나서 만리장성을 쌓고 온갖 군사적 대비를 하였음에도 劉氏에게 쉽사리 천하를 빼앗겼다고 한다. 이와 달리 武王은 紂를 공격하여 牧野에서 승리한 후 온갖 善政을 통해 백성을 위로하면서 “칼을 풀고 笏을 참으로써 남을 해칠 의사가 없음을 내보이자, 천하가 노래를 부르며 즐거워하고, 제후들이 예물을 받들어 서로 조회하였다.[解劒帶笏 以示無仇 於此天下歌謠而樂之 諸侯執幣相朝]” 이렇게 해서 周나라가 34세대나 유지되었다고 하면서, 《노자》의 이 구절을 인용한다.
역주3 (自物因然)[因物自然] : 저본에는 ‘自物因然’이라 되어 있으나, 永樂大典本에 의거하여 ‘因物自然’으로 바로잡는다.
역주4 常善救物……是謂襲明 : 이 부분은 《淮南子》 〈道應訓〉에서 公孫龍의 이야기로 설명하는데, “人無棄人 物無棄物 是謂襲明”이라 되어 있어 문장이 많이 다르다. 《회남자》에 따르면 公孫龍이 趙나라에 있을 때의 일이다. 크게 소리를 지를 줄 아는 사람을 제자로 받아들인 며칠 후 공손룡이 燕나라로 유세를 가는데, 타고 갈 배가 건너편 강가에 있었다. 그 제자가 큰 소리로 부르니 바로 배가 건너왔다. 《회남자》는 뒤이어 “성인이 세상에 처할 때에는 재주 있는 사람을 물리치지 않는다.[聖人之處世 不逆有伎能之士]”는 격언과 함께 《노자》의 이 문장을 인용한다.
역주5 不善人者 善人之資 : 《淮南子》 〈道應訓〉은 市偸의 도둑질하는 기술조차 쓰기에 따라 유용할 수 있다는 이야기를 통해 이 구절을 설명한다. 楚나라 장수 子發은 재주 지닌 사람들을 좋아했는데, 주변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저잣거리 도둑 市偸에게 禮로써 대했다. 얼마 후 齊나라가 楚나라에 쳐들어 왔는데 세 번이나 후퇴해야 했다. 어떤 계책으로도 제나라 군대를 막지 못하였는데, 시투가 제나라 장군의 장막, 목침, 비녀를 차례로 훔쳐오고 자발은 이 물건들을 제나라 장군에게 보내어 겁을 주었다. 결국 제나라 군대는 후퇴하였다. 《회남자》는 보잘것없는 재주도 군주가 쓰기 나름이라고 하면서 《노자》의 이 구절을 인용한다.
역주6 [不] : 저본에는 없으나, ‘不’이 없으면 뜻이 통하지 않으므로 누우열은 陶鴻慶, 易順鼎의 설에 따라 ‘不’을 보충하였다. 이렇게 되면 그 뜻이 經27.5의 ‘사람을 버리지 않는다.[無棄人]’와 같다.
역주7 不貴其師……是謂要妙 : 《韓非子》 〈喩老〉에서는 이 부분을 文王의 玉版 이야기를 통해 해설한다. 周에 옥으로 만든 도판이 있었는데, 紂가 어진 사람인 膠鬲을 시켜 요구하자 내주지 않았으나 무도한 費仲이 다시 왔을 때에는 그대로 내주었다. 이는 어진 교격이 뜻을 얻지 못하게 하는 것이 周에 이로웠기 때문에 무도한 비중에게 내준 것이다. 이 이야기를 한 후 《老子》를 인용하며, ‘要妙’의 뜻을 풀이하고 있다.

노자도덕경주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