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老子道德經注

노자도덕경주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37.1 하나
[注]順自然也
37.2 而無不爲
[注]萬物 無不由하고 以始以成
37.3 侯王 若能守之 萬物將自化하리라
[注]化而欲作 作欲成也
吾將鎭之無名之樸하리니 不爲主也
[注]無欲競也
37.5
하여 以靜이면 天下將自定하리라


제37장은 제32장에서 다루었던 주제와 연결되는데, 심지어 일부는 같은 구절을 반복하고 있다. 는 적극적인 특성이 없고, 만약 성인 군주가 그와 일치하도록 다스린다면 치우침이 전혀 없고 무위無爲한다면 백성들이 아무런 거부감도 느끼지 않고서 따를 것이다.
제32장에서도 언급되었던 통나무는 통치술의 형상으로 사용되고 있다. 통나무는 아직 특정한 형태를 취하지 않은 도의 무한한 잠재력을 상징한다. 바로 이러한 힘을 통해 군주가 다스리는 것이며, 만약 국가 안의 누구든 도의 진로에 반하여 행동하고자 할 때 그들이 진압되는 것은 바로 이 힘을 통해서이다. 이른바 황로黃老 도가학파道家學派로 불리는 문헌으로서 마왕퇴馬王堆 《노자》와 함께 발굴된 《황로백서》의 첫 행은 다음과 같이 진술한다.
“도는 법을 낳는다.[도생법道生法]”
이 문장은 제37장에서 말하는 것과 연관 지어 이해될 수 있을 듯하다. 군주가 제정하는 표준들은 도에서 비롯된다. 만약 어떤 것이 그 자연스러운 역할을 손상시킨다면 군주는 그것을 제한할 것이다. 이런 식으로 천하에 그리고 하늘에 그리고 지상에 ‘고요함’이 있게 되는데, 그것은 또한 자연이 자연스럽게 질서를 이룰 것이라 말한다.
는 언제나 무위無爲하는데
스스로 그러함에 따른다는 뜻이다.
하지 못하는 게 없으니
만물은 모두 〈도를〉 말미암지 않음이 없고, 〈또한 바로 이 도에〉 의해 시작되고 이루어진다.
후왕侯王이 그것을 잘 지키면 만물이 저절로 교화될 것이다.
교화되었는데도 억지로 하려는 마음이 일어난다면 나는 이름 없는 통나무로 누를 것이다.
화이욕작化而欲作(교화되었는데도 불구하고 억지로 하려는 마음이 일어난다.)’이라 한 것은 억지로 하려는 마음이 이루어진 것이다.
나는 장차 이름 없는 통나무로 누를 것이니, 주인 노릇 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이름 없는 통나무로 〈누르면〉 장차 욕심이 없어질 것이니,
경쟁하고자 함이 없다는 뜻이다.
욕심이 없어져서 고요해지면 천하가 저절로 바르게 된다.


역주
역주1 道 常無爲 : 帛書本과 竹簡本에는 “道 恒無名”으로 되어 있다.
역주2 (爲)[之] : 저본에는 ‘爲’로 되어 있으나, 바그너는 陶鴻慶의 견해를 따라 ‘之’로 보았는데 이를 따른다.
역주3 (之) : 저본에는 ‘之’가 있으나, 陶鴻慶 등이 注1.2와 注21.3에서 “萬物 以始以成 而不知其所以然”이라 한 것을 근거로 ‘之’를 삭제한 것에 따라 衍文으로 처리하였다.
역주4 化而欲作 吾將鎭之無名之樸 : 《淮南子》 〈道應訓〉에서는 이를 武王과 太公의 고사로 설명하는데 역설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武王이 太公에게 자신이 臣下였음에도 天下를 얻었으니 다시 전쟁이 날까 두렵다고 하자, 태공은 “나라를 오래 유지하길 원한다면 백성들의 눈과 귀를 막고 쓸데없는 일과 번잡한 가르침에 몰두하도록 이끌라.[塞民於兌 道全爲無用之事煩擾之敎]”고 답한다. 허례허식에 매달리다 보면 가난으로 걱정근심에 매이게 된다는 것이다. 이것이 천하를 오래 유지하는 방법이라고 태공은 가르침을 준다. 이 대화를 소개한 후 《회남자》는 《노자》의 이 구절을 인용한다. 《회남자》에 따르면 백성들이 번다한 禮와 風俗에 매여 가난해지면 모든 의욕을 상실하니 통치하기가 쉬워진다는 의미로 풀이하고 있다.
역주5 無名之樸 夫亦將無欲 : 河上公本, 傅奕本에는 ‘無欲’이 ‘不欲’으로 되어 있고, 帛書本에는 “鎭之以無名之樸 夫將不辱”으로 되어 있고, 竹簡本에는 “將鎭之以亡名之樸 夫亦將知足”으로 되어 있다.
역주6 (不)[無欲]……天下將自定 : 傅奕本에는 ‘無欲 以靖 天下將自正’으로 되어 있고, 帛書本에는 “不辱 以靜 天地將自正”으로 되어 있고, 竹簡本에는 “知足以靜 萬物將自定”으로 되어 있다.
역주7 (不)[無欲] : 저본에는 ‘不’로 되어 있으나, 바그너는 傅奕本에 ‘無欲’으로 되어 있는 것을 근거로 ‘無欲’으로 교감하였는데 바그너의 견해에 따라 바로잡는다.

노자도덕경주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