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老子道德經注

노자도덕경주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7.1 天長地久하니 天地所以能長且久者 以其不自生이라
[注]自生則與物爭하고 不自生則物歸也
7.2 故하니라 是以 聖人
其身而身先하고 外其身而身存하나니
非以其無私邪 故能成其私니라
[注]無私者 無爲於身也
身先身存이라 故曰 能成其私也라하니라


하늘의 는 ‘하늘(sky)’과 땅의 의미에서의 모두 하늘을 포함한다. 천지天地라는 표현은 종종 ‘하늘[]’과 같은 뜻으로 사용되곤 한다. ‘하늘과 땅’을 함께 말한다는 것은 우주적 또는 자연적 과정이 ‘응답’의 하나라는 점을 보다 더 명백하게 하는데, 이러한 응답이란 여러 요소들의 ‘어울림’, 여러 측면과 계기들의 조화로운 뒤섞임이 수반되는 역동적 과정이다. 이러한 과정의 효력은 스스로를 지속하는 능력에 따라 측정된다. 잘 세워진 리드미컬한 과정은 〈아마〉 끝없이 계속 될 것이다. 여기 제7장은 이런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하늘과 땅의 사심 없음은 그 두 개체가 서로간에 해를 끼치지 않으면서 상호간에 주고받도록 해준다. 그것들은 어떤 특수한 ‘의제(agenda)’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서로 갈등하지 않고, 서로를 아끼듯이 대하고 있기 때문에 그것들의 교대는 어떠한 마찰도 일으키지 않는다. 마찰이 없기 때문에 그 과정은 어떠한 기운도 소모하지 않고 또한 멈추지도 않는다. 우주적 ‘상호작용’은 행동 없는 행동이며 그러므로 그것은 영원하다. 마찰 없는 행동의 동일한 규칙은 자연이나 ‘하늘 아래’에서 대우주적이고 소우주적인 모든 차원에 적용될 수 있다.
천지天地장구長久하다. 하늘과 땅이 능히 장구할 수 있는 까닭은 그것들이 스스로 낳지 않기 때문이다.
스스로 낳으면 만물과 다투게 되고, 스스로 낳지 않으면 만물이 그에게로 돌아간다.
그러므로 장구할 수 있다. 이러한 까닭에 성인은 자신의 몸을 뒤로 물리지만 몸이 앞서고, 자신의 몸을 도외시하지만 몸이 보전된다.
그에게 사사로움이 없기 때문이 아니겠는가! 그러므로 자신의 사사로움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사사로움이 없다는 것은 제 자신에게 무위無爲한다는 뜻이다.
그래서 몸이 앞서고 보전되는 까닭에 “자신의 사사로움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라고 한 것이다.


역주
역주1 能長生 : 저본, 帛書本, 河上公本 등 대개의 판본이 ‘生’으로 되어 있는데 ‘久’로 된 것도 있다. 예컨대 島邦男(시마 쿠니오)에 따르면 《老子想爾注》에는 ‘能長久’로 되어 있는데, 뒤의 내용에서 聖人은 天地의 ‘長久’를 따르려는 것으로 되어 있다. 바그너 또한 이러한 지적을 따라 ‘長久’가 맞다고 보았다. 하지만 여기서는 수정하지는 않고 참고로 밝혀둔다.
역주2 後其身而身先……故能成其私 : 이 이야기는 《淮南子》 〈道應訓〉, 《韓非子》 〈外儲說 右下〉, 《韓詩外傳》, 《史記》 〈循吏傳〉, 《新序》 〈節士〉 등에 나온다. 《淮南子》에서는 公儀休가 魯나라의 재상이 되자 물고기를 좋아하는 그에게 온 나라 사람들이 물고기를 바쳐도 공의휴는 받지 않는다. 제자들이 그 까닭을 묻자 공의휴는 “물고기를 받지 않아서 재상에서 쫓겨나지 않아야 오래도록 스스로 물고기를 조달할 수 있다.[毋受魚 而不免於相 則能長自給魚]”고 말한다. 이 이야기를 소개한 후 《회남자》는 《노자》의 이 구절을 인용한다.
역주3 : 저본, 帛書本, 河上公本 모두 ‘後’로 되어 있으나, 竹簡本에는 ‘退’로 되어 있다. 뜻은 차이가 없다.

노자도덕경주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