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老子道德經注

노자도덕경주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69.1 用兵 有言하니 吾不敢爲主而爲客하고 不敢進寸而退尺하니
是謂行無行이요 攘無臂 이요 扔無敵이라
[注]行 謂行陳也
言以謙退哀慈 不敢爲物先이라
用戰 猶行無行이요 攘無臂 執無兵이요 扔無敵也하니 言無有與之抗也
69.2 (執無兵) 禍莫大於輕敵이니 輕敵하면吾寶
[注]言 吾哀慈謙退 非欲以取强無敵於天下也 不得已而卒至於無敵이니 斯乃吾之所以爲大禍也
三寶也 故曰 幾亡吾寶라하니라
69.4 故抗兵相 哀者勝矣니라
[注]抗 擧也 當也
哀者 必相惜而不趣利避害하니 故必勝이라


첫째 부분의 격언格言은 앞의 두 장에서 이미 언급했던 전략적 지침을 확인해주고 있다. 승리하는 전략은 방어와 회피에 의존한다. 적군은 그때 먼저 나서고자 할 것이고, 말하자면 ‘스스로 발목 잡히는 꼴(shoot himself in the foot)’이 된다. 방어 전술은 ‘무위이무불위無爲而無不爲’ 즉 “함이 없으나 하지 못함이 없다.”는 격률의 실천적 적용이며, 역설의 논리의 실제적 적용이기도 하다. 도를 따르는 사람은 다른 사람이 움직이도록 할 때 가장 효과적으로 행동하는 것이다.
성공하기 위해서는 조심스러워야 한다. 셋째 부분은 제64장의 조언 ‘처음을 유의하라’와 연관하여 해석할 수 있다. 적이 없으면 사람은 소홀해지게 되고 아마도 재앙을 당하게 될 것이 뻔하다. 정치, 신체적 건강, 그리고 전쟁에서 조심스러운 것 혹은 걱정이 많은 것은 극히 중요하다. 그것은 어미다운 품성으로서 도와 일치하는 것이며(‘어미’에 대해서는 제1장, 제20장, 제25장, 제52장 그리고 제59장을 보라.), 이 때문에 결국에는 성공이라는 결과를 낳게 되는 것이다.
용병가用兵家들 사이에는 이런 말이 있으니, 나는 감히 주인이 되지 않고 손님이 되고, 감히 한 치도 나아가지 않고 한 자를 물러난다고 한다.
이것을 행군할 때에는 흔적이 없고 팔뚝을 걷어붙이려 해도 팔뚝이 없으며, 잡으려고 해도 병기兵器가 없고 잡아끌려 해도 적이 없다 한다.
이란 행군을 말한다.
이것은 겸손하고 물러서고 슬퍼하고 자애로움으로써 감히 만물에 앞장서지 않는다는 말이다.
〈이러한 원리로〉 전쟁에 임할 때 오히려 행군하여도 흔적이 없고, 〈소매를〉 걷어붙여도 팔뚝이 없고, 잡으려고 해도 병기가 없고 잡아끌려 해도 적이 없는 것처럼 해야 하니, 이것은 더불어 대항하는 자가 없다는 말이다.
재앙은 적을 가볍게 여기는 것보다 큰 게 없으니, 적을 가볍게 여기면 거의 내 보배를 잃게 될 것이다.
이것은 내가 슬퍼하고 자애롭고 겸손하고 물러나는 것은 강함을 취하여 천하에 적이 없게 하려는 것이 아니라, 부득이하여 마침내 적이 없는 경지에 이르렀으니, 이것이 바로 내가 큰 재앙이라 여기는 까닭이라 말한 것이다.
는 〈슬퍼함, 자애로움, 겸손히 물러남의〉 세 가지 보배이다. 따라서 “거의 내 보배를 잃게 될 것이다.”라고 한 것이다.
그러므로 군사를 동원한 것이 서로 대등할 때는 〈동료를〉 아끼는 사람이 이긴다.
은 ‘〈군사를〉 일으키다[]’는 뜻이다. 은 대등하다는 뜻이다.
애통해하는 사람은 반드시 서로 아껴서 이로움을 추구하고 해를 피하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승리한다.


역주
역주1 (彼遂不止) : 저본에는 ‘是謂行無行’ 뒤에 ‘彼遂不止’라는 王弼의 주석이 있으나 陶鴻慶에 따르면 이것은 王弼이 아니라 河上公의 注文이라고 한다. 《河上公章句》에 “〈내가 물러나도〉 저들이 멈추지 않으면 천하의 적이 된다.[彼遂不止 爲天下賊]”라는 注文이 나오는데, 이 문장을 王弼의 주석 맥락에서 보면 문맥이 연결되지 않는다. 따라서 陶鴻慶의 설에 따라 ‘彼遂不止’를 衍文으로 처리하였다.
역주2 [執無兵] : 저본에는 經69.2의 맨 앞에 나오지만, 王弼의 注에서는 注69.1에 보인다. 따라서 注文에 의거하여 여기에 두고 經69.2에서는 생략한다.
역주3 (喪)[亡] : 저본에는 ‘喪’으로 되어 있으나, ‘幾亡吾寶’라고 한 注文에 의거하여 ‘亡’으로 바로잡는다.
역주4 (加)[若] : 저본에 ‘加’로 되어 있으나, 樓宇烈은 道藏集注本에 근거하여 아래 注文의 ‘加’를 ‘若’으로 바로잡고 經文도 ‘若’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 范應元本에 ‘若’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를 따라 ‘若’으로 바로잡는다.
역주5 (加)[若] : 저본에는 ‘加’로 되어 있으나, 道藏集注本에는 ‘若’으로 되어 있다. 앞의 經69.4 역주 1) 참조.

노자도덕경주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