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老子道德經注

노자도덕경주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45.1 大成 若缺이나 其用不弊하고
[注]隨物而成호대 不爲一象이라 故若缺也
45.2 大盈 若沖이나 其用不窮하고
[注]大盈充足하여 隨物而與로되 無所愛矜이라 故若沖也
[注]隨物而直이나在一이라 故若屈也
45.4 大巧 若拙하고
[注]大巧 因自然以成器하고 不造爲異端이라 故若拙也
45.5 大辯 若訥이니라
[注]大辯 因物而言호대 己無所造 故若訥也
45.6 躁勝寒하며 靜勝熱이니 淸靜하면 爲天下正하리라
[注]躁罷然後 勝寒하고 靜無爲 以勝熱하니라
以此推之 則淸靜爲天下正也니라
靜則全物之眞하고 躁則犯物之性이라
故唯淸靜이라야 乃得如上諸大也니라


첫째 부분은 《노자》의 다른 부분들 예를 들어 제6장과 제2장 같은 부분들과 공명共鳴하는데, 비어 있음의 고갈되지 않는 성질을 찬양하는 내용이다. 전혀 지치거나 피로함이 없이 완벽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은 그 주된 기능으로 ‘비어 있음’을 갖는다. 여기서 우리는 제2장에 나오는 그릇, 문, 창을 떠올릴 수 있다.
둘째 부분은 제25장에서 “크다는 것은 간다는 뜻이고, 두루 다닌다는 것은 멀어진다는 뜻이고, 멀어진다는 것은 되돌아온다는 뜻이다.”라고 한 것과 공명한다. 여기서 ‘큰[]’ 것이란 그 시작으로 돌아오는 원의 그것이다. 시간과 공간이 선형적으로 전개되는 듯이 보이더라도, 거대한 우주적 시나리오로서 도는 ‘굽어 있다.’ 도는 낳고 낳고 또 되돌아오는 순환이다. 비슷하게 성인의 기술 또한 역설적이다.
서툴러 보이는 것은 바로 기술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어떤 특수한 기능을 훈련하지 않음으로써 성인 군주는 무위無爲에 거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모든 특수 활동의 중심에서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유일한 사람이다. 가장 위대한 장인은 어떤 특수한 기술을 완성하지 않는다. 커다란 재능이 있다는 것은 어떤 특수한 특질이나 재화를 이렇게 가지고 있지 않음에 있다.
크게 이룬 것은 모자란 듯하나 그 쓰임이 낡지 않고,
사물에 따라서 이루되 하나의 형상이 되지 않는다. 그래서 모자라는 듯한 것이다.
크게 찬 것은 비어 있는 듯하나 그 쓰임이 다하지 않고,
크게 채워져 충족되어 사물에 따라 주되 아끼고 자랑할 것이 없다. 그래서 빈 듯한 것이다.
크게 곧은 것은 구부러진 듯하고,
사물에 따라 곧아지지만 곧음이 한 가지에만 있지 않다. 그래서 구부러진 듯한 것이다.
크게 정교한 것은 엉성한 듯하고,
크게 정교한 〈기술은 사물의〉 자연스러움을 따라 그릇을 만들지 독특한 것을 고안해내려 하지 않는다. 그래서 엉성한 듯한 것이다.
뛰어난 언변은 어눌한 듯하다.
뛰어난 언변은 사물에 따라서 말하되 스스로 조작하는 게 없다. 그래서 어눌한 듯한 것이다.
부지런한 움직임은 추위를 이기고, 고요히 가만 있음은 더위를 이기니, 맑고 고요히 가만 있으면서 〈백성을 부리는 일을 하지 않으면〉 천하가 바르게 된다.
바쁘게 움직인 후에야 추위를 이겨내고, 고요히 가만히 있음으로써 더위를 이겨낸다.
이로 미루어보면 맑고 고요히 가만 있으면서 〈백성을 부리는 일을 하지 않으면〉 천하가 바르게 된다.
고요히 가만 있으면 사물의 참됨을 보전하고, 바삐 움직이면 사물의 본성을 해친다.
그러므로 오로지 맑고 고요히 가만 있으면서 〈백성을 부리는 일을 하지 않아야만〉 위에서 말한 ‘큰 것들’을 얻을 수 있다.


역주
역주1 大直……若拙 : 이 부분을 《淮南子》 〈道應訓〉은 秦 繆公과 좋은 말을 잘 가리는 伯樂의 이야기를 통해 설명하는데, 이 이야기는 《列子》 〈說符〉에도 실려 있다. 《淮南子》에서 秦 繆公이 伯樂에게 좋은 말을 잘 가려낼 수 있는 사람을 추천하라고 하자, 백락은 九方堙을 추천한다. 그런데 구방인이 암컷의 검은 말을 골라오자, 목공이 암수조차 구별 못한다고 불쾌해하면서 백락을 불렀다. 그러자 백락은 구방인의 경지에 찬탄을 하며, 구방인이 天機를 볼 줄 안다고 더욱 감탄한다. 구방인이 골라 온 말을 실제로 보니 千里馬였다. 《회남자》는 이 이야기를 소개하며 《노자》의 이 문장을 인용한다.
역주2 (下)[不] : 저본에는 ‘下’로 되어 있으나, 華亭張氏原本에 의거하여 ‘不’로 바로잡는다.

노자도덕경주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