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老子道德經注

노자도덕경주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79.1 和大怨이라도 必有餘怨이니
[注]不明理其契하여 以致大怨已至어늘 而德以和之하나 其傷不復이라
故必有餘怨也
79.2 安可以爲善이리오 是以聖人하여
[注]左契 防怨之所由生也이니라
79.3 而不責於人하니라 有德 司契하고
[注]有德之人 念思其契하여 不令怨生而後責於人也
79.4 無德 司徹하니
[注]徹 司人之過也
79.5 天道無親하여 常與善人하니라


제79장은 다음과 같은 내용에 따라서 설명될 수 있다. 군주의 의무에는 정치와 전쟁과 함께 법적 문제와 징세徵稅가 포함된다. 도가적道家的 관점에서 볼 때 주요 목적은 전쟁에 대한 최선의 태도가 그것을 피하는 것인 것과 마찬가지로 우선 분쟁이 일어나는 것을 예방하는 것이다. 심지어 어떤 불평불만이 진정된다 할지라도 어느 정도의 유해한 분위기는 여전히 남아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한 분쟁의 씨앗(quarrel)조차도 조화로운 사회(frictionless society)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
고대 중국에서 계약契約의 징표는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왼쪽 반은 채권자측(the side that had some claims)이 갖고, 반면 오른쪽 반은 채무자측(the indebted one)이 갖는다. 군주는 평소 징표의 왼쪽과 동일시되는데, 이는 그가 채권자라는 것을 뜻한다.
그러나 역설이라는 도가적 규칙은, 모든 것을 합당하게 주장할 수 있는 군주는 결국에는 그의 신민들에게 아무것도 요구하지 않을 것임을 함축한다. 군주는 왼쪽 반의 징표를 꽉 쥐고는 있지만 그것을 사용하지는 않으며, 특히 피통치자들에게 불이익이 될 경우에 그러하다.
그의 통치는 오로지 그의 ‘’에 의해 가능해진다. 이런 식으로 해서 그는 도전받지 않는 상태로 있게 되고 또한 어떠한 불만도 예방하는 것이다. 동시에 그는 왼쪽 징표 모두를 갖고 있을 때조차 그것을 자신의 사적인 이익이 되도록 사용하지 않으니, 백성들에게 과하게 징세하는 것을 피한다.
비슷하게 군주는 어떤 특별한 호의도 베풀지 않는다. 그는 어떤 특정 집단을 자신의 친족親族처럼 대하지 않는다. 완벽한 공평함을 유지함으로써 그는 백성들 사이의 불만 그리고 그와 그의 권력에 대한 원망 모두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커다란 원한은 풀어주어도 반드시 원한의 앙금이 남기 마련이니,
본래 맺었던 계약을 밝게 다스리지 못하여 커다란 원한이 생겼는데 이를 덕으로 화해하고자 하나 그 상처는 회복되지 않는다.
그래서 반드시 원한의 앙금이 남는 것이다.
어찌 잘했다고 여기겠는가? 이 때문에 성인은 좌계左契를 잡고서도
좌계左契는 원한이 말미암아 생겨나는 것을 막아준다.
다른 사람에게 〈갚으라고〉 요구하지 않는다. 덕이 있는 사람은 계약을 잘 살피고,
덕 있는 사람은 계약을 잘 생각하여 원한이 생기지 않도록 한 뒤에 다른 사람에게 〈갚으라고〉 요구한다.
덕이 없는 사람은 사람들의 과오過誤를 살펴보는 일을 담당하니
은 다른 사람의 잘못을 살펴본다는 뜻이다.
하늘의 도는 끈끈한 정이 없어 늘 훌륭한 사람과 함께한다.


역주
역주1 左契 : 고대사회에서 채무의 징표로 왼쪽과 오른쪽을 채권자와 채무자가 나누어 갖는 것을 말한다. 좌계는 채권자의 징표이다.

노자도덕경주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