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老子道德經注

노자도덕경주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41.1 上士聞道 하고
[注]有志也
41.2 中士聞道 若存若亡하고 下士聞道 大笑之하나니
不笑 不足以爲道
故建言 有之호대
[注]建 猶立也
41.3 明道 若昧하고
[注]光而不耀니라
41.4 進道 若退하며
[注]後其身而身先하고 外其身而身存하니라
41.5 夷道 若纇하며
[注]纇 㘨也
大夷之道 因物之性하고 不執平以割物하니 其平不見이라 乃更反若纇㘨也
41.6 上德 若谷하고
[注]不德其德하여 無所懷也니라
41.7 若辱하고
[注]知其白하여 守其黑하니 大白然後乃得이라
41.8 廣德 若不足하고
[注]廣德 不盈하니 廓然無形하여 不可滿也
41.9 建德 若偸하고
[注]偸 匹也
建德者 因物自然하여 不立不施 故若偸匹하니라
41.10 質眞 若渝하며
[注]質眞者 不矜其眞이라니라
41.11 大方 無隅하고
[注]方而不割이라 故無隅也
[注]大器 成天下 不持全別이라 故必晩成也
41.13 大音 希聲하고
[注]聽之不聞 名曰希라하니 不可得聞之音也
有聲則有分하고 有分則不宮而商矣하니 分則不能統衆이라
故有聲者非大音也
41.14 無形이라
[注]有形이면有分이니 有分者 不溫則하고 不炎則寒이라
故象而形者 非大象이라
41.15 道隱無名이니 夫唯道 善貸且이니라
[注]凡此諸 皆是道之所成也
在象則爲大象이나 而大象無形하고
在音則爲大音이나 而大音希聲하니라
物以之成이나 而不見其이라 故隱而無名也
貸之 非唯供其乏而已 一貸之 則足以永終其德이라 故曰 善貸也라하니라
成之 不加機匠之裁 無物而不濟其形이라 故曰 善成이라하니라


첫째 부분은 사람이 를 다루는 방식에 대해 순위를 매기고 있는데, 이것은 제17장에서 군주에 대해 순위를 매긴 것을 떠오르게 한다. 최악의 군주는 백성들에게 조롱당한다. 하지만 정작 군주는 자신이 이해하지 못한 도를 비웃기만 할 뿐이다.
최상의 군주는 물론 도를 실천한다. 도를 파악하고 실천하기가 어려운 까닭은 둘째 부분이 묘사하는 바와 연결된다. 즉 도가 하는 일과 효과는 역설적이다. 바로 앞의 제40장에서 그리고 제25장에서 묘사하고 있듯이 도의 진행은 역전적逆轉的인 것이다. 예를 들어 사람들을 이끌기 위해 군주는 뒤로 물러서야만 하는 것과 비슷하다.(제7장을 보라.) 물러서는 것이 이끌고 나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제41장의 마지막 부분은 또한 시작과 끝이 중첩되는 진행을 인유引誘하고 있는 듯하다. 하나의 순환의 끝은 그 다음 순환의 시작이 된다. 적절한 끝맺음은 시작하기에 좋은 곳이다. 시간의 진행이 솔기가 없이 그러하듯이 말이다. 예를 들어 한 계절이 적절한 때에 끝나면 바로 그 다음 계절이 바로 시작하는 것과 같다.
이 장은 또한 《노자》는 물론 도가 일반에 전형적인 수많은 이미지와 특성화를 포함한다. 도는 가물하다고(제1장을 보라.) 말해지며, 덕은 계곡(제6장을 보라.), 그리고 형체가 없고 이름이 없음은 물론 ‘침묵의 소리(제23장을 보라.)’와 연관되어 도의 범형적範型的 특징이라고 말한다.
뛰어난 선비는 를 들으면 열심히 행하고,
〈그에게〉 뜻이 있다는 의미이다.
보통의 선비는 도를 들으면 긴가민가하고, 못난 선비는 도를 들으면 크게 비웃는다.
그런데 〈못난 선비가 듣고서〉 웃지 않으면 도라 하기에 부족하다.
그래서 세워진 다음과 같은 말이 있다.
은 ‘세우다’는 뜻이다.
밝은 도는 마치 어두운 듯하고,
빛나지만 눈부시지 않다는 뜻이다.
나아가는 도는 마치 물러서는 듯하며,
제 몸을 뒤로 하지만 몸이 앞서고, 제 몸을 도외시하지만 그 몸이 보전된다는 뜻이다.
너른 도는 마치 울퉁불퉁한 듯하고,
는 ‘울퉁불퉁하다’는 뜻이다.
크고 너른 도는 만물의 본성에 따르고 평평함에 집착하여 만물을 자르지 않으니 그 평평함이 드러나지 않기에 오히려 거꾸로 울퉁불퉁한 것 같다는 뜻이다.
높은 덕은 마치 계곡과 같고,
자신의 덕을 덕이라 여기지 않아 〈그 마음속에〉 품은 바가 없다는 뜻이다.
매우 흰 것은 마치 욕된 듯하고,
그 흼을 알아 그 검은 것을 지키니, 매우 희어진 연후에야 깨닫게 된다는 뜻이다.
넓은 덕은 마치 부족한 듯하고,
넓은 덕은 가득 차지 않으니 텅 비어 있어 아무런 형체가 없어서 가득 채울 수 없다는 뜻이다.
우뚝 선 덕은 마치 〈만물 각각에〉 딱 들어맞는 듯하고,
는 ‘딱 들어맞다’는 뜻이다.
우뚝 선 덕은 만물의 자연스러움에 따라 〈어떤 가치와 기준도〉 세우거나 베풀지 않기 때문에 마치 딱 들어맞는 듯한 것이다.
질박한 참됨은 마치 더러운 듯하며,
질박한 참됨이란 자신의 참됨을 자랑하지 않기 때문에 더러운 듯하다고 했다.
크게 모난 것은 모서리가 없고,
모가 났지만 〈다른 것을〉 깎아내지 않기 때문에 모서리가 없다고 했다.
큰 그릇은 늦게 이루어지며,
큰 그릇은 천하天下〈의 모든 것〉을 이루어줌에 있어 완전한 구별에 의지하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늦게 이루어진다고 했다.
커다란 은 소리가 희미하고,
들어도 알아들을 수 없음을 이름하여 ‘(희미하다)’라 하니 알아들을 수 없는 음이다.
소리가 있으면 분별이 있고 분별이 있으면 궁음宮音이 아니면 상음商音이라고 〈구분하게〉 된다. 〈따라서〉 분별하면 많은 수를 거느릴 수 없다.
그래서 소리가 있는 것은 커다란 음이 아니라고 했다.
커다란 형상은 형체가 없다.
형체가 있으면 분별이 있으니 분별이 있는 것은 따뜻하지 않으면 서늘하고 뜨겁지 않으면 차갑다.
그래서 형상에 해당되지만 형체를 갖춘 것은 커다란 형상이 아니라고 했다.
도는 은미하여 이름이 없으니 오로지 저 도만이 잘 꾸어주고 또 잘 이루어준다.
무릇 여기서 〈나열된〉 모든 큰 것들은 모두 도가 이루어주는 것이다.
형상에 있어서는 커다란 형상이 되지만 커다란 형상은 형체가 없다.
에 있어서는 커다란 음이 되지만 커다란 음은 소리가 희미하다.
무릇 도란 만물이 그에 의해 완성되지만 만물은 그 형체를 보지 못하기 때문에 은미하여 이름이 없는 것이다.
〈도가 만물에게 무언가를〉 꾸어주는 것은 그 부족한 것을 공급해줄 뿐만 아니라 〈도가〉 한번 〈만물에게〉 꾸어주면 그 덕을 영원히 다하기에 족하기 때문에 “잘 꾸어준다.”고 했다.
〈도가 만물을〉 이루어주는 것은 장인匠人이 하는 재단을 가하는 것이 아니지만, 어떤 사물이든 그 형체를 가지런하게 하지 않음이 없기 때문에 “잘 이루어준다.”고 했다.


역주
역주1 勤而行之 : 帛書本에는 ‘勤能行之’로 되어 있고, 竹簡本에는 ‘勤能行於其中’으로 되어 있다.
역주2 [而] : 저본에는 없으나, 竹簡本, 帛書本에는 ‘而’가 있다. 또한 앞과 글자수를 맞추어보면 넣는 것이 자연스러워 이를 따른다.
역주3 (太)[大] : 저본에는 ‘太’로 되어 있으나, 이 장의 다른 표현이 모두 ‘大’이므로 ‘大’로 바로잡는다.
역주4 [若] : 저본에는 없으나, 陶鴻慶의 설에 따라 ‘若’을 보충하였다.
역주5 大器……希聲 : 《韓非子》 〈喩老〉는 楚 莊王이 覇者가 된 까닭을 “大器晩成 大音希聲”과 연관지어 그 예로써 소개한다. 楚 莊王은 즉위한 3년 동안 정사를 보지 않았다. 右司馬가 장왕의 행동을 3년 동안 울지 않는 새에 빗대어 말하자, 장왕도 새에 빗대어 큰 뜻을 펼치고 백성의 동태를 살피고자 그랬던 것이라 답한다. 다시 6개월이 지나 장왕이 정사에 임하면서 제도를 개혁하고 인사를 혁신하여 內治를 정비한 후 군사를 일으켜 齊나라와 晉나라를 이겨 제후들을 宋에 모아 마침내 천하의 패자가 되었다. 작은 것에 연연하지 않고 서두르지 않았기에 장왕이 큰 명성과 성공을 얻었다고 평하며 《한비자》 〈유로〉는 《노자》의 이 구절을 인용하고 있다.
역주6 大象 : 竹簡本에는 ‘大象’이 ‘天象’으로 되어 있다.
역주7 [亦] : 저본에는 없으나, 바그너는 《文選》의 李善 注에 근거하여 ‘亦’을 보충하였는데 이를 따른다.
역주8 (炎)[凉] : 저본에는 ‘炎’으로 되어 있으나, 注35.1에 ‘不溫不凉’이라 한 것을 근거로 ‘凉’으로 바로잡는다.
역주9 [善] : 저본에는 없으나, 傅奕本과 아래 注에서 ‘善成’이라 한 것에 의거하여 보충한 바그너의 견해에 따라 ‘善’을 보충하였다.
역주10 (善)[大] : 저본에는 ‘善’으로 되어 있으나, 바그너는 맥락에 맞추어 이를 ‘大’로 바꾸었는데 이를 따른다.
역주11 [夫道] : 저본에는 없으나, 바그너는 《文選》의 李善 注에서 인용한 王弼 注에 근거하여 보충하였는데, 뜻이 보다 분명해지므로 이를 따라 ‘夫道’를 보충하였다.
역주12 (成) : 저본에는 ‘成’이 있으나, 道藏集注本에 없고, 注6.1과 注14.2에서 모두 ‘不見其形’이라 하였으므로, 여기에 의거하여 ‘成’을 衍文으로 처리하였다.

노자도덕경주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