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老子道德經注

노자도덕경주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33.1 知人者하고 하며
[注]知人者 智而已矣 未若自知者러니 超智之上也니라
33.2 勝人者 有力하고 하며
[注]勝人者 有力而已矣 未若自勝者러니 無物以損其力하니라
用其智於人 未若用其智於己也하고 用其力於人 未若用其力於己也
明用於己하면 則物無避焉이요 力用於己하면 則物無改焉이니라
33.3 知足者하고
[注]知足者 自不失이라 故富也
33.4 强行者 有志하며
[注]勤能行之 其志必獲이라 故曰 强行者有志矣라하니라
33.5 不失其所者하고
[注]以明自察하고 量力而行하고 不失其所하면 必獲久長矣니라
33.6 死而不亡者
[注]雖死而以爲生之하니 道不亡乃得全其壽
身沒而道猶存이어늘 況身存而道不卒乎잇가


제32장에서는 ‘그침의 완성’ 또는 ‘멈출 때를 아는 것[지지知止]’에 대해 언급하였다. 제33장에서는 ‘만족함의 완성’ 혹은 ‘만족할 줄 아는 것[지족知足]’을 말함으로써 앞의 구절을 생각나게 한다. 멈추어야 할 때를 아는, 그래서 만족할 줄 아는 사람은 만족의 기술을 이미 터득하고 있는 것이다.
그침의 완성과 만족함의 완성은 같은 것이다. 만족하게 되는 것 또는 부유하게 되는 것은 자신의 소유물의 양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가진 것에 만족감을 느낄 줄 아는 능력에 달린 것이다. 만족감이란 자신이 소유한 것에 의해 측정되는 것이 아니라 충족되지 않은 소망의 부재에 의해 측정된다.
자기 극복(the overcoming of oneself)은 이렇게 해서 즉각 만족의 기예와 연결된다. 이러한 기예는 자기 자아의 동경이나 갈망을 극복하는 것이다. 앎과 극복의 개념들은 제33장의 첫 행에서 대구를 이룬다. 영어에서도 그것들의 의미는 관계가 있는데, 영어의 ‘to master’가 ‘알다(to know)’와 ‘지배하다(to dominate)’ 모두를 뜻한다는 것을 생각해보자. 자신을 통제할 수 있다는 것은 다른 사람을 통제하는 것보다 훨씬 더 어려우며, 만약 사람이 자아를 마스터할 수 있다면 - 그 단어의 이중적 의미에서 - 사람은 진정으로 만족한 삶을 사는 법을 알게 될 것이다.
역자는 제33장의 마지막 행을 마왕퇴본馬王堆本에 따라 번역하였다. 왕필본王弼本은 ‘잊혀지지 않다[불망不忘]’라고 하는 대신에 ‘사라지지 않다[불망不亡]’라고 되어 있다. 마왕퇴본은 논조가 더 유가적儒家的이다. 유교 전통에서는 사람이 죽은 후에도 기억되는 것이 지극히 중요하였고, 예로부터 조상에 대한 제사는 정확하게 이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었다. 조상의 귀신들이 살아 있는 그들의 자손들과 접촉하게 해주는 제사가 지속되는 만큼 조상의 귀신들은 살 수 있다는 믿음이 있었던 것이다.
남을 아는 사람은 지혜롭고 스스로를 아는 사람은 밝으며,
남을 아는 사람은 지혜가 있을 뿐 아직 스스로를 아는 사람만은 못하다. 〈왜냐하면 스스로를 아는 것은〉 최상의 지혜조차 넘어서기 때문이다.
남을 이기는 사람은 힘이 있고 스스로를 이기는 사람은 강하며,
다른 사람을 이기는 사람은 힘이 있을 뿐 아직 스스로를 이기는 사람만 못하다. 〈왜냐하면 스스로를 이기는 사람은〉 그 어떤 것도 그의 힘을 잃도록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자신의 지혜를 다른 사람에게 쓰는 것은 그 지혜를 자신에게 쓰는 것만 못하고, 자신의 힘을 다른 사람에게 쓰는 것은 아직 자신의 힘을 자신에게 쓰는 것만 못하다.
밝음을 자기에게 쓰면 누구도 그를 피하지 않으며, 힘을 자기에게 쓰면 누구도 그를 바꾸지 못한다.
만족할 줄 아는 사람은 부유하고
만족할 줄 아는 사람은 스스로 잃을 게 없기 때문에 부유한 것이다.
힘써 행하는 사람은 뜻이 있으며,
열심히 그것을 행할 수 있으면 그 뜻이 반드시 얻어진다. 그래서 “힘써 행하는 사람은 뜻이 있다.”고 했다.
제자리를 잃지 않는 사람은 오래가고,
밝음으로 스스로를 살피고 자신의 역량을 헤아려서 행하고 제자리를 잃지 않으면 반드시 얻은 것이 오래갈 것이다.
죽어서도 잊히지 않는 사람은 오래 산다.
비록 〈몸은〉 죽었으나 그를 살아 있다고 여기니 도가 사라지지 않아야 그 수명을 온전하게 누렸다고 할 수 있다.
몸은 죽었어도 도가 오히려 보존되는데 하물며 몸이 살아 있고 도가 죽지 않은 경우는 어떠하겠는가.


역주
역주1 自知者 明 : 《韓非子》 〈喩老〉에서는 楚 莊王이 越을 치려는 것을 말렸던 杜子의 이야기로 해설한다. 楚 莊王이 越의 정치가 어지럽고 군대가 약하다며 치려고 하니, 杜子는 초나라 왕의 군대가 약하고 정치가 어지러운 것이 월보다 못하지 않음에도 월을 치려는 것의 어리석음을 간하자, 왕이 곧바로 월을 치려던 계획을 거두었다고 하며 《노자》의 이 구절을 인용하고 있다.
역주2 自勝者 强 : 《韓非子》 〈喩老〉에서는 子夏와 曾子의 이야기로 해설한다. 증자가 자하에게 살이 찐 까닭을 묻자, 자신의 마음속에서 선왕의 법도와 부귀의 즐거움이 싸워 선왕의 도리 쪽이 이기게 되자 살이 쪘다고 답한다. 이를 통해 뜻을 세우기 어려운 것은 다른 사람을 이기는 데 있지 않고 자기 스스로를 이기는 데 있다고 하면서 《노자》의 이 구절을 인용한다.

노자도덕경주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