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老子道德經注

노자도덕경주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60.1 治大國 若烹小鮮이라
[注]不擾也
躁則多害 이라
故其國彌大 而其主彌靜然後 乃能廣得衆心矣니라
60.2 以道莅天下 其鬼不神이라
[注]治大國 則若烹小鮮이라
以道蒞天下 則其鬼不神也
60.3 非其鬼不神이라 其神不傷人이요
[注]神不害自然也
物守自然이면 則神無所加 神無所加 則不知神之爲神也
60.4 非其神不傷人이라 聖人 亦不傷人이라
[注]道洽하면 則神不傷人이요 神不傷人하면 則不知神之爲神이라
道洽하면 則聖人亦不傷人이요 聖人不傷人하면 則亦不知聖人之爲聖也
猶云 非獨不知神之爲神이요 亦不知聖人之爲聖也
夫恃威網하여 以使物者 治之衰也
使不知神聖之爲神聖 道之極也
60.5 夫兩不相傷이라 故德交歸焉이니라
[注]神不傷人하니 聖人亦不傷人이요 聖人不傷人하니 神亦不傷人이라
故曰 兩不相傷也라하고 神聖合道 交歸之也


제60장의 첫 부분은 여러 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문제는 작은 물고기가 어떻게 조리되는가 하는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주석자들과 번역자들은, 그것들을 아주 간단하게 그리고 전혀 수고로움도 없이 조리한다는 데 동의한다. 비슷하게 성인聖人 군주君主는 나라를 다스릴 때 많은 행동을 해서는 안 된다. 그는 그것들을 이리저리 뒤집어가면서 복잡한 조리법으로 하지는 않을 것이다.
작은 물고기를 요리할 때와 마찬가지로 의 지배는 단순한 활동이다. 가장 단순한 형태의 통치는 만물로 하여금 자신들이 타고난 자리를 차지하게 하고 또한 그들의 타고난 기능을 실현시켜주는 것이다.
만약 모든 것이 도와 조화를 이루며 세워진다면 귀신鬼神신령神靈조차 떠돌면서 말썽을 일으키지 않게 될 것이다. 국가와 우주의 질서는 또한 귀신과 신령의 영역까지 포괄한다는 것을 상기해야만 한다. 이상적인 왕의 지배 아래에서 귀신은 사람을 괴롭히지 않으며 사람 또한 귀신을 괴롭히지 않는다. 이것은 최소한 마왕퇴馬王堆 백서帛書가 암시하는 바를 해석한 것이다.
이렇게 해서 마지막 부분은 백성과 귀신이 서로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다면 이것이 군주의 (efficacy)을 강화하게 될 것이라는 의미이다. 귀신조차 그의 무위無爲의 통제 아래 복속될 것이다.
큰 나라를 다스림은 작은 생선을 삶듯 한다.
어지럽히지 않는다는 뜻이다.
조급히 〈자연에 거슬러〉 하면 해가 많고 고요히 〈자연에 따라〉 하면 참된 본성을 보전한다.
따라서 그 나라는 크면 클수록 그 군주는 더욱 〈자연에 따라〉 고요히 한 후에야 뭇사람의 마음을 널리 얻을 수 있다.
로써 천하를 다스리면 그 귀신조차 신령하지 않게 된다.
큰 나라를 다스림은 작은 생선을 삶듯 한다.
도로써 천하를 다스리면 그 귀신조차 신령하지 않게 된다.
그 귀신이 신령하지 못해서가 아니라 그 신령함이 사람을 상하게 하지 않는 것이요,
〈귀신의〉 신령함도 자연스러움을 해치지 않는다.
만물이 자연스러움을 지키면 〈귀신의〉 신령함조차 보탤 게 없고, 〈귀신의〉 신령함조차 보탤 게 없으면 〈귀신의〉 신령함이 신령하다는 것을 〈사람들이〉 알지 못하게 된다.
〈귀신의〉 신령함이 사람을 상하게 하지 못해서가 아니라 성인聖人 또한 사람을 상하게 하지 않는다.
도가 〈만물을〉 윤택하게 적셔주면 〈귀신의〉 신령함이 사람을 상하게 하지 않고, 〈귀신의〉 신령함이 사람을 상하게 하지 않으면 〈귀신의〉 신령함이 신령하다는 것을 알지 못하게 된다.
도가 〈만물을〉 윤택하게 적셔주면 성인 또한 사람을 상하게 하지 않고, 성인이 사람을 상하게 하지 않으면 또한 성인이 성스럽다는 것을 알지 못하게 된다.
이것은 ‘〈만물이 귀신의〉 신령함이 신령하다는 것을 알지 못할 뿐만 아니라 또한 성인이 성스럽다는 것을 알지 못하게 된다.’는 말과 같다.
대저 권위와 법망에 의지하여 만물을 부리는 것은 다스림이 쇠퇴한 것이다.
〈귀신의〉 신령함과 〈성인의〉 성스러움이 신령하고 성스럽다는 것을 알지 못하게 하는 것이 지극한 도이다.
대저 〈귀신의 신령함과 성인의 성스러움〉 둘이 서로 상하게 하지 않는다. 그래서 이 서로 그들에게 돌아가는 것이다.
〈귀신의〉 신령함이 사람을 상하게 하지 않으니 성인 또한 사람을 상하게 하지 않고, 성인이 사람을 상하게 하지 않으니 〈귀신의〉 신령함 또한 사람을 상하게 하지 않는다.
그래서 “둘이 서로 상하게 하지 않는다.”라고 하였고, 〈귀신의〉 신령함과 〈성인의〉 성스러움이 에 합치하니 서로가 그에게로 돌아간다.


역주
역주1 靜則全眞 : 注45.6에서 “이로 미루어보면 맑고 고요히 가만 있으면서 〈백성을 부리는 일을 하지 않으면〉 천하가 바르게 된다. 고요히 가만 있으면 사물의 참됨을 보전하고, 바삐 움직이면 사물의 본성을 해친다.[以此推之 則淸靜爲天下正也 靜則全物之眞 躁則犯物之性]”라고 한 것이 참고할 만하다.

노자도덕경주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