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老子道德經注

노자도덕경주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1.1 物之所以生 功之所以成 必生乎無形하고 由乎無名하니라
視之라도 不可得而彰하며 體之라도 不可得而知하고 味之라도 不可得而嘗하니라
하여 하니 靡使不經也
形必有所分이요 聲必有所屬이라
故象而形者 非大象也 音而聲者 非大音也
하고 五音으로 不聲하면 則大音 無以至하리니
四象으로하되 而物無所主焉하면 則大象暢矣 五音으로하되 而心無所適焉하면 則大音至矣
無形하면 天下雖往이나 往而不能釋也 希聲하면 風俗雖移 移而不能辯也
是故 하고 聖行五敎 不言爲化하니
五物之母 不炎不寒하고 不柔不剛하며 五敎之母 不曒不昧하고 不恩不傷하니
雖古今不同하여 時移俗易이라도 不變也하니 所謂
故古今通하고 終始同이니라
無曒昧之狀 溫涼之象이니 라하고
物生功成 莫不由乎此라하니라


노자미지예략老子微旨例略〉은 1951년 왕유성王維誠의 〈위왕필찬로자지략일문지발견魏王弼撰老子指略佚文之發見〉이란 글에서 처음 왕필王弼의 저술로 확인되었다. 하소何邵의 〈왕필전王弼傳〉에 따르면, “왕필이 《노자》에 하고, 〈지략指略〉을 지었다.[필주로자弼注老子 위지지략爲之指略]”고 하였는데, 왕유성王維誠도장道藏에 전해져오는 익명匿名저자著者의 글 〈노자미지예략老子微旨例略〉을 왕필이 지었다고 하는 ‘지략指略’으로 확인한 것이다. 그 후 학자들은 〈노자미지예략老子微旨例略〉이 왕필이 지은 것이라는 데에 이견이 없다. 따라서 이 책에서도 역주譯註하여 소개한다.
대체로 그러하듯이, 이 생성하는 까닭과 이 이루어지는 까닭은 반드시 무형無形에서 생겨나고 무명無名에서 말미암는다.
무형無形하고 무명無名한 것은 만물의 으뜸이니,
〈온도로 말하면〉 따뜻하지도 않고 시원하지도 않으며 〈오음五音으로 말하면〉 궁음宮音도 아니고 상음商音도 아니며, 〈귀 기울여〉 듣더라도 알아들을 수 없고
〈눈으로〉 보아도 〈분명한 모습을〉 확인할 수 없으며, 〈몸으로〉 느껴보아도 〈어떤 상태인지 분명하게〉 지각할 수 없고 〈혀로〉 맛보아도 〈어떤 맛인지 분명하게〉 맛을 알 수 없다.
그러므로 그것의 ‘사물로서의 상태[위물爲物]’는 뒤섞여 이루어져 있고, 그것의 형상은 〈일정한〉 형체가 없으며, 그것의 소리는 희미한 소리이고, 그것의 맛은 〈어떠하다고〉 확정할 수 없다.
그러므로 〈다양한 형태의〉 만물의 근본이 되어서 천지를 포용하고 소통할 수 있으니 〈어느 것이든〉 경유하지 않도록 함이 없다.
만약 〈에 대해 어느 하나라고 확정하여〉 ‘따뜻하다’고 하면 ‘차갑다’고 할 수 없고, ‘궁음宮音이다’라고 하면 ‘상음商音이다’라고 할 수 없게 된다.
형체는 반드시 구분하는 바가 있고, 소리는 반드시 〈오음五音 가운데 어느 음인지〉 속하는 곳이 있다.
그러므로 형상으로서 〈특정한〉 형체를 갖는 것은 커다란 이 아니고, 음으로서 〈어느 한 음으로〉 소리가 나는 것은 커다란 이 아니다.
그렇기는 하지만 네 가지 으로 드러나지 않으면 커다란 상이 〈구체적인 사물로〉 펼쳐질 도리가 없고, 오음五音을 통해 소리 나지 않으면 커다란 음이 미칠 방법이 없다.
그러니 네 가지 상으로 드러나되 만물이 주로 하는 것이 없다면 커다란 상이 〈만물을 통해〉 펼쳐지게 되고, 오음으로 소리 나더라도 마음이 가는 바가 없다면 〈오음을 통해〉 커다란 음이 미치게 된다.
그러므로 〈군주가〉 대상大象을 꼭 쥐고 있으면 천하의 〈백성들이 모두 그에게〉 갈 것이요, 대음大音을 사용하면 풍속이 바뀌게 될 것이다.
무형無形이 〈직접〉 펼쳐지면 천하의 〈백성들이 그에게〉 간다 하더라도 〈백성들이 그에게〉 간 것에 대해 설명할 길이 없고, 희성希聲이 이르게 되면 풍속이 바뀌게 되더라도 그 바뀜에 대해 변별할 수가 없다.
이런 까닭에 하늘이 오물五物을 생성할 때에 무물無物로 작용을 삼고, 성인은 오교五敎를 행할 때에 말하지 않음으로 교화를 삼는다.
이 때문에 는 〈문자로〉 표현하면 영원한 도가 아니고, 이름은 〈문자로〉 규정하면 영원한 이름이 아니다.
오물五物의 어미는 뜨겁지도 않고 차갑지도 않으며 부드럽지도 않고 강하지도 않으며, 오교五敎의 어미는 밝지도 않고 어둡지도 않으며 은혜롭지도 않고 해롭지도 않다.
비록 옛날과 오늘날이 같지 않아 시대와 풍속이 바뀌고 변하더라도 이것은 변하지 않으니, 이른바 옛날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그 이름이 없어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하늘이 이것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만물이 생성되지 않고, 다스림에 이것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공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옛날과 오늘날이 통하고 시작과 끝이 같다.
옛것을 가지고 오늘날을 다스릴 수 있고 오늘날을 증험하여 옛 시작을 알 수 있으니, 이것이 이른바 항상됨이라는 것이다.
밝거나 어두운 상태와 따뜻하거나 시원한 모양이 없으므로 항상됨을 아는 것을 ‘밝음’이라고 한다.
만물이 생성되고 공이 이루어지는 것이 이것에서 말미암지 않음이 없으므로 이것으로 만물의 태초[중보衆甫]를 살피는 것이다.


역주
역주1 (天)[夫] : 저본에 ‘天’으로 되어 있으나, 《雲笈七籤》에 따라 ‘夫’로 수정하였다. ‘夫’는 문장의 시작을 나타내는 것이 일반적 용례인데, 王弼에게서 ‘夫’는 일반적으로 타당한 논의를 한다는 뜻으로 쓰인다. 따라서 여기서는 ‘대체로 그러하듯이’라고 옮겼다.
역주2 無形無名者 : 《老子》에서 ‘無名’은 ‘道常無名’(經32.1)과 ‘道隱無名’(經41.15)에서 2회 나오며 道의 특징을 가리킨다. 이와 달리 ‘無形’은 ‘大象無形’(經41.14)에 단 1회 나온다. 물론 《老子》에서 ‘無形’과 ‘無名’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이지만 王弼처럼 ‘無形無名者’와 같이 명사로서 함께 쓰인 경우는 없다.
역주3 萬物之宗也 : “道沖而用之或不盈 淵兮似萬物之宗”(經4.1)과 “無形無名者 萬物之宗也”(注14.5)에 보인다.
역주4 不溫不涼 : “大象 天象之母也 不炎不寒 不溫不涼 故能包統萬物 無所犯傷”(注35.1)과 “有形則亦有分 有分者 不溫則涼 不炎則寒 故象而形者 非大象”(注41.14), 그리고 “不曒不昧 不溫不涼 此常也”(注55.6)에 보인다.
역주5 不宮不商 : “聽之不聞名曰希 不可得聞之音也 有聲則有分 有分則不宮而商矣 分則不能統衆 故有聲者非大音也”(注41.13)라 하였다.
역주6 聽之……不可得而嘗 : 이 부분은 經14.1과 經35.3 그리고 그 注를 참조하면 좋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王弼이 “나의 귀, 눈, 몸의 감각으로는 무어라 이름 지어야 할지 모르겠다. 그래서 꼬치꼬치 캐물을 수 없어 뭉뚱그려 ‘하나’라고 하였다.[更以我耳目體 不知爲名 故不可致詰 混而爲一也]”(注14.1)라고 하였듯이, 많은 번역자들이 해석하는 것처럼 감각을 초월해 있는 것에 대해 지칭하는 것이 아니다. 달리 말하면 정확하게 어떤 것이라고 규정할 수 없기에 이름 지어 확정할 수 없다는 뜻이다.
역주7 其爲物也則混成 : 이 말은 도를 ‘하나의 사물로서 말한다면’이란 뜻이다. 經21.2 ‘道之爲物’이라 한 것에 대해 왕필은 “특정한 형체가 없이 매여 있지 않다.”는 점에 주목하고, 經25.1 ‘有物混成’에 대해서는 天地보다 앞서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따라서 이 말은 도가 어떤 특정한 형체에 매여 있지 않으며 天地보다 앞서 있다는 의미로 ‘뒤섞여 이루어져 있다’고 서술한 것이다.
역주8 爲象也則無形 : 經41.14의 인용이다.
역주9 爲音也則希聲 : 經41.13에 보인다.
역주10 爲味也則無呈 : 바그너에 따르면 여기서 ‘呈’은 앞의 두 가지와 달리 짝이 되어 쓰이는 것 없이 ‘淡然’ ‘無味’ ‘無呈’의 세 가지로 나타나는 것이 차이가 있다고 지적한다. 어떤 표현이 쓰이든 王弼에게서는 어느 특정한 하나의 맛으로 단정할 수 없는 맛을 뜻한다.
역주11 能爲品物之宗主 : 여기서 ‘宗主’는 注47.1과 注49.5에 보인다. ‘品物’은 《周易》의 용어로서, 각 부분과 종류로 나누어진 물건이란 뜻으로 곧 萬物을 가리킨다.
역주12 包通天地 : 여기서 ‘包通’은 포용하고 소통한다는 뜻이다. 王弼이 자주 쓰는 표현으로 예컨대 注16.6과 注35.1에 보이는데, 王弼은 이것이 도가 萬物에 대해 포용하면서도 상처주거나 해치지 않는 위대한 힘을 갖고 있음을 표현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역주13 若溫也 則不能涼矣 : 注41.14에서 ‘不溫則涼’이라 한 것을 참조할 수 있다.
역주14 宮也 則不能商矣 : 注41.13에서 ‘有分則不官而商’이라 한 것을 참조할 수 있다.
역주15 然則四象……無以暢 : 《老子》 經文에는 ‘四象’이 나오지 않으며 《周易》 〈繫辭傳〉에 “易有太極 太極生兩儀 兩儀生四象 四象生八卦”에 나온다. 이로 미루어보면 王弼은 이를 《주역》의 논리를 통해 이해하고 있음이 드러나는 듯하다. 《주역》에서 兩儀는 陰陽, 四象은 太陽, 太陰, 少陽, 少陰을 가리키는데, 여기 〈繫辭傳〉의 문장은 卦가 형성되는 과정을 설명한 문장이다.
역주16 執大象 則天下往 : 이 부분은 經35.1의 ‘執大象者 天下往’의 인용이다. 王弼은 이에 대한 注에서 大象을 ‘천상의 어미[天象之母]’라 풀이하면서 군주[主]가 이를 꼭 잡고 있으면 천하의 백성들이 그에게 귀의할 것이라 풀이한다.
역주17 用大音 則風俗移也 : 《老子》 經文에는 ‘執大象’에 짝하는 ‘用大音’을 말하고 있지 않다. 바그너는 이 부분을 經2.2-3의 “是以聖人 處無爲之事 行不言之敎”와 유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달리 말하면 ‘執大象’은 ‘處無爲之事’에, ‘用大音’은 ‘行不言之敎’에 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주장한다. 충분히 납득할 만한 주장이므로 참고로 제시한다.
역주18 天生五物 : 五物은 의미가 불분명하다. 바그너는 이 말이 《春秋左氏傳》의 ‘五材’가 아닐까 추정한다.
역주19 無物爲用 : 無物은 經14.2에 보이는데, 이는 道로서의 一을 표현한 말에서 취해 온 것이다.
역주20 道可道……非常名也 : 經1.1의 인용이다.
역주21 自古及今 其名不去者也 : 이 부분은 經21.6의 인용으로 道를 가리키며, 또한 無名과 道가 서로 혼용되어 쓰이고 있음을 보여준다.
역주22 天不以此……則功不成 : 《老子》 經文에서는 天과 治가 짝을 이루어 나오지 않는데, 王弼은 이 세계를 두 가지 영역 즉 天과 物 그리고 治와 功이 짝을 이루도록 병치하여 제시한다.
역주23 執古可以御今 : 經14.4에서 가져온 표현이다.
역주24 證今可以知古始 : 經14.5에서 가져온 표현이다.
역주25 此所謂常者也 : 이는 經 14.5의 ‘道紀’와 ‘常’을 연결하여 이해하려는 시각이 드러난 부분이다. 이러한 이해에 따르면 ‘道紀’는 ‘도의 벼리’로서 도의 항상성, 불변성, 영속성을 의미한다.
역주26 故知常 曰明也 : 經16.6에 보인다.
역주27 以閱衆甫也 : 經21.7에 보인다. 王弼은 注21.7에서 衆甫에 대해 ‘만물의 태초[萬物之始]’라고 풀이하였다.

노자도덕경주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