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老子道德經注

노자도덕경주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4.1 凡物之所以存 乃反其形이요 功之所以尅 乃反其名이니
夫存者 不以存爲存이니 以其不忘亡也 安者 不以安爲安이니 以其不忘危也
故保其存者하고 不忘亡者하며 하니라
善力擧 善聽聞雷霆하니 此道之與形反也
安者 實安이로되 而曰 非安之所安이요 存者 實存이로되 而曰 非存之所存이요
侯王 實尊이로되 而曰 非尊之所爲 天地 實大로되 而曰 非大之所能이요 聖功 實存이로되 而曰 이요 仁德 實著이로되 而曰 이라
故使見形而不及道者 莫不忿其言焉하니라
4.2 夫欲定物之本者 則雖近이나 而必自遠으로 以證其始하며
欲明物之所由者 則雖顯이나 而必自幽 以敍其本이라
故取天地之外하여 以明形骸之內하고 明侯王孤寡之義하여 而從道一以宣其始
故使察近而不及流統之原者 莫不誕其言以爲虛焉하니라
是以 云云者 各申其說하니 人美其亂하여 或迂其言하고 或譏其論하니
若曉而昧하고 若分而亂 斯之由矣


사물이 보존되는 원인은 곧 그것의 드러남과 상반되고, 공이 완성되는 원인은 그것의 이름과 상반된다.
보존되는 자는 보존됨을 보존됨으로 여기지 않으니 망함을 잊지 않기 때문이고, 편안한 자는 편안함을 편안함으로 여기지 않으니 위태로움을 잊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보존됨을 지키는 자는 망하고, 망함을 잊지 않는 자는 보존되며, 자신의 지위를 편안하다고 여기는 자는 위태롭고, 위태로움을 잊지 않는 자는 편안하다.
힘을 잘 쓰는 자가 가을 털을 들고 잘 듣는 자가 천둥소리를 들으니, 이것은 가 드러나는 것과는 상반되는 것이다.
편안한 자는 실로 편안하지만 편안함이 편안하게 한 것이 아니라고 하고, 보존되는 자는 실로 보존되지만 보존됨이 보존되게 한 것이 아니라고 하며,
후왕侯王은 실로 존귀하지만 존귀함이 그렇게 만든 것이 아니라고 하고, 천지天地는 실로 크지만 큼이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고 하며, 성인의 공업功業은 실로 존재하지만 성스러움을 단절함으로써 세운 것이라고 하고, 이 실로 드러나 있지만 어짊을 버림으로써 보존한 것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드러나는 것만 보고 도에 미치지 못하는 자로 하여금 그 말에 성내지 않을 수 없게 하는 것이다.
만물의 근본을 정하고자 하는 자는 비록 가까이 있을지라도 반드시 먼 곳에서부터 그 시작을 증명할 것이다.
만물이 말미암은 바를 밝히고자 하는 자는 비록 드러나 있다 해도 반드시 드러나 있지 않은 것에서부터 그 근본을 서술할 것이다.
그러므로 천지天地의 밖에서 취해 육체肉體의 안을 밝히고, 후왕侯王이 〈자신을〉 라고 하는 뜻을 밝혀서 를 따라 한결같이 그 시작을 드러낸다.
그러므로 가까운 것만을 살펴 변화하고 통괄하는 근원에 이르지 못한 자로 하여금 그 말을 허탄하게 여겨서 내용이 없는 것으로 여기지 않을 수 없게 한다.
이 때문에 이렇다 저렇다 말하는 자들이 제각기 나름대로 자신들의 설을 주장하니, 사람들은 그 혼란된 것을 아름답게 여겨서, 어떤 이는 그 말을 우원迂遠하다고 하고, 어떤 이는 그 논점을 나무란다.
깨달은 것 같으면서 어둡고, 분명한 것 같으면서 혼란한 것은 바로 여기에서 말미암는다.


역주
역주1 安其位者危 不忘危者安 : 이 부분은 注64.1과 注73.8을 참고하면 좋다.
역주2 秋毫 : 《莊子》 〈齊物論〉에서 처음 쓰인 표현이다. “천하에 가을 털의 끝보다 큰 것이 없고 太山은 작으며 일찍 죽은 아이보다 오래 산 사람이 없고 彭祖는 일찍 죽었다. 하늘과 땅도 나와 나란히 생겨났고 만물 또한 나와 하나이다.[天下莫大於秋毫之末 而大山爲小 莫壽於殤子 而彭祖爲夭 天地與我並生 而萬物與我爲一]”
역주3 絶聖之所立 : 經19.1과 그에 대한 注를 참조하면 좋다.
역주4 棄仁之所存 : 經19.1과 그에 대한 注를 참조하면 좋다.

노자도덕경주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