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老子道德經注

노자도덕경주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注]氣無所不入이요 水無所不이니라
43.2 吾是以知無爲之有益이로다
[注]虛無柔弱 無所不通이라
無有 不可窮하며 至柔 不可折하니라
以此推之컨대 故知無爲之有益也
43.3 不言之敎 無爲之益 天下希及之


제43장은 구비문학口碑文學이나 《노자》의 전형적인 말하기 방식으로 하나의 수수께끼와 같이 정식화된 격언으로 시작한다. 여기서 ‘가장 부드러운 것’이란 전통적으로 볼 때 그리고 제78장과 연관 지어 보면 물로 해석되며, 또한 ‘가장 딱딱한 것’은 그 물이 위로 흘러가는 돌이나 바위이다. ‘가진 게 없음[무유無有]’이라 하는 것은 로 해석되어 왔는데, 이 해석은 필자가 가장 우선시하는 것이자 하상공河上公 주석에 의해 지지된다. 이와 다른 대안으로서 왕필과 다른 주석자들은 그것을 보편적인 매개자이자 에너지인 로 해석하는데, 이것은 바로 앞의 장에 언급되어 있다. 우리는 여기서 ‘무유無有’를 또한 구체적으로는 ‘가득 차 있지 않음(no fullness)’으로 번역할 수도 있는데, 가득 차 있지 않으면서 비어 있는 것은 명백하게 도이다.
둘째 부분은 앞의 진술을 통치술統治術과 연결시켜 준다. 여기서 ‘나’는 기대되는 독자 또는 청자로서의 ‘나’인데, 성인 통치자인 것은 물론이다. 일단 첫째 부분의 수수께끼가 풀이되면 물과 도의 역설적 기능은 자명한데, 즉 역전의 전술에 대한 통찰을 고려하는 것이다. ‘무위無爲’는 ‘유위有爲’보다 우월한 방식이자 가장 이로운 통치 형식이다.
마지막 부분은 무위의 격률을 ‘말하지 않는 가르침’에 연결시키고 있다. ‘무위無爲’와 ‘불언不言’은 동반되는 것인데, 여기서 ‘불언不言’은 언어를 완전히 끊는 것으로 이끌어지지는 않는다. 통치자를 위한 무위는 백성들을 위한 완벽한 행위(유위)의 토대이다. 비슷하게 추론될 수 있는 것은, ‘말하지 않기’ 또는 명시적으로든 암묵적으로든 어느 편을 드는 것이 없는 것이란 모든 언어를 멈춘다는 뜻이 아니라 언어가 방해받지 않고 기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군주는 스스로 어떤 행동을 취하거나 논쟁에 참여하지 않는다. 군주에게 있어 어떤 행동이나 언어가 조화롭게 전개되도록 하는 것은 이와 같이 끼어들지 않는 것(noninterference) 그리고 치우치지 않는 것(impartiality)이다.
천하에서 가장 부드러운 것이 천하에서 가장 견고한 것을 몰아대고, 무유無有는 틈 없는 데까지 들어가니,
는 들어가지 못하는 곳이 없고, 물은 지나지 못하는 곳이 없다.
나는 이로써 무위無爲가 유익함을 안다.
허무虛無유약柔弱은 통하지 못하는 곳이 없다.
무유無有는 다하지 아니하며, 지극히 부드러운 것은 꺾이지 않는다.
이것으로 미루어보면 무위無爲의 유익함을 알 수 있다.
말 없는 가르침, 무위의 유익함은 천하에 미치는 자가 드물다.
대저 누가 이를 넘어설 수 있겠는가?


역주
역주1 天下之至柔 馳騁於天下之至堅 : 이 부분에 대해 《淮南子》 〈道應訓〉에서는 罔兩과 景이 神明을 논하는 이야기로 설명한다. 비슷한 내용이 《莊子》 〈刻意〉에 나오는데, 두 화자인 罔兩과 景은 《莊子》 〈齊物論〉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회남자》에서 곁그림자(罔兩)가 그림자(景)에게 환하게 빛나는 빛이 神明이냐고 묻는다. 그러자 그림자는, 문을 걸고 창문을 닫으면 빛은 들어올 수 없는데 신명은 사방에 두루 통해서 미치지 못하는 곳이 없다고 답하여 그 차이를 드러낸다. 《회남자》는 이 대화를 소개하면서 《노자》의 “天下之至柔 馳騁天下之至堅”을 인용하고 있는데, 내용상으로 보면 뒤의 “無有入無閒”까지 포함하여 이해하는 것이 좋겠다.
역주2 無有入無間 吾是以知無爲之有益 : 이 부분을 《淮南子》 〈道應訓〉에서는 光耀와 無有의 이야기로 풀이하는데, 이 이야기는 《莊子》 〈知北遊〉에 바탕을 둔 듯하다. 《淮南子》에서 光耀는 無有에 대해 자신은 ‘無의 경지[有無]’에 이르렀지만 무유는 ‘무조차 없는 경지[無無]’에 이르렀기에 볼 수도, 들을 수도, 잡을 수도, 바라볼 수도 없다고 감탄하면서 《老子》의 이 구절을 인용하고 있다.
역주3 (出於) : 저본에는 ‘出於’가 있으나, 易順鼎 등의 학자들은 ‘出於’가 잘못 끼어 들어간 것으로 보았는데, 이를 따라 衍文으로 처리하였다.
역주4 [夫孰能過此哉] : 저본에는 없으나, 바그너는 董思靖의 集解本에 의거하여 ‘夫孰能過此哉’ 6자를 보충하였는데, 이를 따른다.

노자도덕경주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