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老子道德經注

노자도덕경주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22.1 曲則全하고
[注]不自見其하면 則全也
22.2 하고
[注]不自是 則其是彰也
22.3 窪則盈하고
[注]不自伐하면 則其功有也
22.4 弊則新하고
[注]不自矜하면 則其德長也
22.5 少則得하고 多則惑이라
[注]自然之道 亦猶樹也 轉多轉遠其根이요 轉少轉得其本이라
多則遠其眞이니 故曰惑也 少則得其本이니 故曰得也
[注]一 少之極也 猶則之也
22.7 不自見이라 故明하며 不自是 故彰하며 不自伐이라 故有功하며 不自矜이라 故長이니라
古之所謂曲則全者 리오
誠全而歸之니라


제22장은 노자老子의 유명한 역설逆說논리論理처세處世로 드러난 내용을 담고 있다. 굽힘과 온전함, 구부림과 곧게 펴짐, 움푹 패임과 채워짐 등은 제42장에서 말하는 ‘되돌아가는 것이 의 운동’이라는 논리가 적용된 것이다. 즉 굽힘으로써 오히려 온전해지고, 구부림으로써 곧게 펴진다는 논리이다. 이런 이해의 방식은 하상공본河上公本이나 왕필본王弼本에서 커다란 차이는 없다.
그러나 22.5의 “적어지면 얻고, 많아지면 미혹된다.”는 부분에서는 해석이 크게 갈린다. 하상공河上公은 재산이나 지식이 많은 것은 미혹을 일으키니 적게 줄이고 겸손하며 스스로를 비울 것을 권하는 반면, 왕필王弼은 이와 달리 근본으로부터 가깝고 먼 차이로 설명하여 근본으로 돌아갈 것을 권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22.4 ‘부자긍不自矜 즉기덕장야則其德長也(스스로 자만하지 않으면 그 덕이 오래간다.)’의 ‘’은 ‘오래간다’와 ‘어른’의 의미를 다 가지고 있지만, 여기서는 영속성에 포인트를 준 개념인 ‘오래간다’로 해석하는 게 좋을 듯하다. ‘’은 ‘총화總和’를 말하는 것으로, 타인과의 관계에서 가질 수 있는 가장 최고의 경지를 말한다. 누군가로 하여금 자발적으로 무엇인가를 하게 하는 힘이지만 바로 나에게 있는 것, 그게 바로 ‘’이다. 반면 ‘’는 덕을 기르기 위해 따라가야 하는 길이기도 하고, 또 그 길을 따라가야만 덕이 생긴다는 규범적 의미로 쓰이기도 한다.
제22장은 《노자老子》가 분명 천하天下후왕侯王이 따르고 본받아야 할 일종의 치술治術의 일부로서 처세훈處世訓의 성격을 지닌 규범規範으로 성립成立된 것임을 보여준다.
굽히면 온전해지고,
스스로의 밝음을 드러내지 않으면 온전해진다.
구부리면 곧게 펴지고,
스스로를 옳다고 하지 않으면 그 옳음이 드러난다.
〈움푹〉 파이면 채워지고,
스스로 자랑하지 않으면 그 공이 있게 된다.
오래되면 새로워지고,
스스로 자만하지 않으면 그 덕이 오래간다.
적어지면 얻고, 많아지면 미혹된다.
자연스러운 도는 또한 나무와 같다. 〈나뭇가지가〉 더욱 많아질수록 그 뿌리로부터 더욱 멀어지고, 〈나뭇가지가〉 더욱 적어질수록 그 근본을 더욱 얻게(가깝게) 된다.
많아지면 그 참된 본성으로부터 멀어진다. 그래서 ‘미혹된다’고 했다. 적어지면 그 근본을 얻는다. 그래서 ‘얻는다’고 했다.
이런 까닭에 성인은 하나를 끌어안아 천하의 모범이 되니,
하나는 가장 작은 것이다. 이란 그것을 본받는다는 뜻과 같다.
스스로의 〈밝음을〉 드러내지 않기 때문에 〈그 지혜가〉 밝게 드러나고, 스스로 옳다 하지 않기 때문에 〈그 옳음이〉 드러나고, 스스로 자랑하지 않기 때문에 공이 있게 되고, 스스로 자만하지 않기 때문에 〈그 덕이〉 오래간다.
대저 오로지 다투지 않기 때문에 천하의 그 누구도 그와 다툴 수 없다.
예로부터 이른바 “굽히면 온전해진다.”고 한 것이 어찌 헛된 말이겠는가.
진실로 온전해지면 〈천하의 백성이 모두〉 그에게로 돌아가게 된다.


역주
역주1 (名)[明] : 저본에는 ‘名’으로 되어 있으나, 永樂大典本에 의거하여 ‘明’으로 바로잡는다.
역주2 枉則直 : 帛書本, 傅奕本에는 ‘枉則正’으로 되어 있다. 뜻의 차이는 크지 않다. 《淮南子》 〈道應訓〉은 이 부분을 晉나라의 公子 重耳와 曹나라 大夫 釐負羇의 이야기로 해설하는데, 이 이야기는 《春秋左氏傳》 僖公 23년, 28년에도 보인다. 《회남자》에서 晉의 公子 重耳는 망명길에 曹나라에서 무례를 당하였다. 이때 조나라 대부 이부기의 아내는 중이의 시종들이 뛰어나니 잘 대해주라고 조언한다. 중이는 나라를 찾은 후 군대를 일으켜 조나라를 공격하는데, 오직 그에게 잘해주었던 이부기만 화를 면한다. 이 고사를 소개한 후 《노자》의 이 구절을 인용한다.
역주3 聖人……爲天下式 : 傅奕本은 ‘抱’가 ‘袌’로 되어 있다. 이와 달리 帛書本은 ‘聖人執一 爲天下牧’으로 되어 있어 사상적 지향이 크게 달라진다. 예컨대 ‘抱一’은 經10.1에서 ‘載營魄抱一(늘 머무는 곳에 살면서 하나를 끌어안는다.)’이라 하였듯이 생명이나 우주론적 차원의 의미를 가지며 후대의 道敎 수련과 연관되는 의미로 발전하는 데 비해, ‘執一’의 경우 《文子》, 《荀子》, 《韓非子》 등 주로 法家的 맥락에서 쓰이며 ‘執道(도를 잡음)’의 뜻으로 일종의 통치술에 해당한다. 이는 대개의 판본에서 ‘式(모범)’의 뜻으로 이어지는 것과 달리 ‘牧’으로 이어져 군주나 우두머리 혹은 통치의 의미를 갖는 표현으로 이어지는 점과도 통한다.
역주4 夫唯不爭 故天下莫能與之爭 : 《淮南子》 〈道應訓〉은 이 부분을 趙襄子의 이야기로 해설한다. 《회남자》에서 趙簡子가 죽자 中牟 사람들이 배신한다. 장례를 치른 후 趙襄子가 중모성을 공격하는데 갑자기 성이 무너진다. 그러자 오히려 조양자는 군대를 퇴각시키는데, 이에 감동한 중모 사람들이 항복한다. 이 이야기를 소개한 후 《노자》의 이 구절을 인용한다.
역주5 豈虛言哉 : 帛書本에는 ‘幾語哉’로 되어 있다. 왕필본의 경우 “어찌 헛된 말이겠는가”로 풀이하는 데 반해, ‘幾語’의 경우 요점을 추린 말이란 뜻으로 要言의 의미로 풀이하거나, 이와 달리 幾를 豈의 빌린 글자로 보아 “어찌 말뿐이겠는가”로 풀이하는데 후자로 풀이할 경우 ‘豈虛言哉’와 의미상 통하는 표현이 된다.

노자도덕경주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