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老子道德經注

노자도덕경주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46.1 天下有道 走馬以糞하고
[注]天下有道 知足知止하여 無求於外하고 各修其內而已
故却走馬以治田糞也
46.2 天下無道 戎馬生於郊하나니
[注]貪欲無厭이면 不修其內하고 各求於外 故戎馬生於郊也
46.3 禍莫大於不知足이요 이라
故知足之足 常足矣니라


제46장은 욕망慾望과 그것들이 초래하는 불리함에 대해 말하고 있다. 첫째 부분은 천하의 두 가지 상이한 상태를 비교하고 있다. 천하에 가 있을 때에는 어느 누구든 만족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어디도 가려고 하지 않는다. 그때에는 말이 농경農耕을 위해 사용되지 여행 수단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천하에 도가 없을 때에는 전쟁을 위해서 말을 기른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emotions)이 절제되지 않고 욕망(desires)이 지배하게 된다. 즉 그것은 욕구欲求(want)가 충족되지 않는 상태이다.
둘째 부분은 첫째 부분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데, 군주는 그러한 상태의 욕망과 욕구가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욕망이란 사람들이 만족을 모르고서 더 많은 것을 갈구할 때 일어난다. 그러한 상태의 욕구는 전쟁, 사회의 무질서 그리고 갈등(strife)의 원인이 된다. 획득의 욕망은 정치적 불안과 국가간 혹은 사회간의 경쟁의 핵심적인 이유이다.
마지막 부분은 만족이란 소유의 양과는 무관하고 족함을 아는 데에 있음을 말하고 있다. 만약 사람이 이러한 기예技藝(art)를 깨우치지 못한다면 그는 늘 더욱 더 많은 것을 열망할 것이다. 그러한 욕망의 상태에서 일어나는 중독의 순환에는 한계가 없다. 오로지 그침을 깨우침으로써 비롯되는 만족감만이 오래갈 수 있다.
천하에 가 있으면 잘 달리는 말을 되돌려 〈밭에〉 거름 주는 〈농사일에 쓰고〉
천하에 도가 있으면 만족할 줄 알고 멈출 줄 알아, 바깥에서 구함이 없고 각각 제 안을 닦을 뿐이다.
그래서 잘 달리는 말을 되돌려 〈밭에〉 거름 주는 〈농사일에 쓰는〉 것이다.
천하에 도가 없으면 군마軍馬가 군사 훈련장에서 새끼를 낳는다.
탐욕이 싫증낼 줄 모르면 그 안을 닦지 않고 각각 바깥에서 구한다. 그래서 군마가 군사 훈련장에서 새끼를 낳는 것이다.
만족할 줄 모르는 것보다 더 큰 재앙이 없고 얻기만 바라는 것보다 더 큰 허물이 없다.
그래서 만족할 줄 아는 〈데에서 오는〉 만족이야말로 영원한 만족이다.


역주
역주1 : 河上公本, 傅奕本 등은 ‘卻’으로 되어 있으나 서로 통용되므로 바꾸지는 않는다.
역주2 咎莫大於欲得 : 바그너는 傅奕本에 근거하여 ‘大’를 ‘憯’으로 보았는데 참고만 한다.

노자도덕경주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