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老子道德經注

노자도덕경주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18.1 大道하니 有仁義하고
[注]失無爲之事하고 更以慧立善하니 道進物也
18.2 慧智하니 有大僞하고
[注]行術用明하여 以察姦僞 趣覩形見하여 物知避之
故智慧出이면 則大僞生也하니라
18.3 六親 不和 有孝慈하고 이니라
[注]甚美之名 生於大惡하니 所謂美惡同門이라
六親 父子兄弟夫婦也
若六親自和하고 國家自治하면 則孝慈忠臣 不知其所在矣
則相濡之德生也


제18장, 제19장은 통상적으로 인의仁義에 대한 부정적 언급 때문에 유가儒家에 대한 비판을 다루고 있다고 해석된다. 하지만 초간본에 의하면 그런 루머는 전혀 근거가 없는 이야기이다.
일단 제18장은 초간본과 왕필본이 조금 다르다. 마왕퇴馬王堆 한묘漢墓 백서본帛書本을 저본으로 한 김홍경에 의하면 제18장은 제17장과 이어진다. 첫머리에 ‘’자를 붙인 점이 다르고, 군데군데 ‘’자가 첨부되어 있으며, ‘국가國家’가 ‘방가邦家’로, ‘충신忠臣’이 ‘정신貞臣’으로 되어 있다. 종합하면 ‘고대도폐故大道廢, 언유인의焉有仁義, 지혜출智慧出, 언유대위焉有大僞. 육친불화六親不和, 언유효자焉有孝慈, 방가혼란邦家昏亂, 언유정신焉有貞臣.’으로 글자의 차이는 조금 있으나, 해석에는 큰 차이가 없다.
그 다음 구절에서는 효성孝誠자애慈愛가 나오게 된 이유, 충신이 있게 된 이유에 대해 말하고 있다. 노자는 ‘, 자애로움, ’ 등 유가에서 내세우는 인위적 가치가 나오게 된 것이 결국 화목하지 못하고, 혼란스러운 상황 탓이라고 서술하고 있다. 유가를 비판했다고 보기 어려운 대목이다.
왕필은 ‘육친六親’을 ‘부자, 형제, 부부’라고 하고 《여씨춘추》에는 육친을 ‘부모, 형제, 처자’라고 이야기하지만, 결국 육친은 ‘나와 가장 가까운 피붙이 6명’을 말하는 것이다. 이렇듯 가까운 피붙이들이 반목하는 상황이니 자연히 효를 강조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아비가 자식을 죽이고, 자식이 아비를 죽이는 혼란스러운 상황이 숱하게 벌어지던 시대였으니 말이다.
그런데 그 다음 왕필의 해석이 재미있다. 왕필은 《장자莊子》 〈대종사大宗師〉에 나오는 “샘이 마르면 물고기들이 땅바닥에 드러나 서로 숨을 내쉬어 적셔주고 서로 물거품을 뿜어주니, 강호 속에서 서로를 잊는 것만 못하다.”는 구절을 완전히 뒤집는다. “물고기들이 강과 호수에서 서로 잊고 지내는 도가 있기 때문에 서로 적셔주는 덕도 생겨난다.”고 말하기 때문이다. 장자가 ‘물거품’이라는 비유를 들어 ‘인의仁義’를 부정했다면, 왕필은 ‘서로 적셔주는 덕’에 방점을 찍고 있는 것이다. 즉, ‘인의仁義’를 긍정하고 어질게 사는 사회가 기초라는 것을 말하고 있다고 보아야 하는 것이다.
큰 도가 없어지니 인의仁義가 있게 되었고,
무위無爲의 일을 잃고서 다시 지혜를 베풀고 의 기준을 세우니 이는 도가 로 나아간 것이다.
지혜가 나오니 큰 위선이 있게 되었고,
술수를 행하고 밝음을 사용하여 간사함과 위선을 살피는 것은 이미 〈군주의 마음이 가는〉 방향이 보이고 그의 행위 방식이 드러나서 만물(사람들)이 피할 줄을 알게 된다.
그래서 지혜가 나오면 큰 위선이 생겨나는 것이다.
육친六親이 불화하니 효도孝道자애慈愛가 있게 되었고, 국가가 혼란하니 충신忠臣이 있게 되었다.
매우 아름다운 이름은 크게 추한 것에서 생겨나는 것이니, 이른바 ‘아름다움과 추함이 같은 문에서 나왔다.’는 것이 바로 이것이다.
육친이란 부모와 자식, 형제와 부부 사이를 말한다.
만약 육친이 스스로 화목하고 국가가 저절로 다스려진다면 효도와 자애나 충신이라는 말이 어디에 있어야 할지를 알지 못한다.
〈《장자莊子》에서 말하는〉 ‘물고기들이 강과 호수에서 서로를 잊고 지내는 도’를 잃으면 서로 물기로 적셔주는 덕이 생겨난다.


역주
역주1 (於)[施] : 저본에는 ‘於’로 되어 있으나, 樓宇烈은 道藏集注本에 따라 ‘施’로 바꾸었다. 누우열의 견해를 따른다.
역주2 國家……有忠臣 : 《淮南子》 〈道應訓〉에서는 魏 文侯와 蹇重의 이야기를 통해 설명하고 있다. 魏 文侯는 曲陽에서 신하들에게 주연을 베풀다가 자신에게 豫讓과 같은 충신이 없다고 한탄을 한다. 그러자 蹇重이 “복 많은 부모는 효자를 모르고, 도를 지닌 군주는 충신을 모른다.”고 답하여 문후를 기쁘게 했다는 이야기다. 그리고 《노자》의 이 구절을 인용한다.
역주3 魚相忘於江湖之道 : 이 부분은 《莊子》 〈大宗師〉의 문장을 인용한 것이다. 《장자》의 본래 문장은 이러하다. “샘물이 마르면 물고기들이 땅위에 서로 남게 되어 서로 물기를 뿜어주고 서로 거품으로 적셔주는데 〈이는 물이 마르기 전의〉 강과 호수에서 서로를 잊고 지내느니만 못하다. 성왕 堯는 찬양하고 폭군 桀을 비난하는 것 또한 둘 다 잊어버리고 도와 함께 변화하는 것만은 못하다.[泉涸 魚相與處於陸 相呴以濕 相濡以沫 不如相忘於江湖 與其譽堯而非桀也 不如兩忘而化其道]” 《장자》의 이 문장은 흔히 孔子의 仁義를 비판한 것으로 이해되기도 하지만, 莊子와 王弼 모두 仁義의 부정보다는 자연스러운 본성에 따르는 삶이 파괴된 상황을 형용하는 데에 그 취지가 있다.
역주4 [失] : 저본에는 ‘失’이 없어 문맥이 통하지 않는다. 陶鴻慶은 《莊子》 〈天運〉 郭象 注에서 “강호의 삶을 잃고 나서야 비로소 물기를 적셔줄 것을 생각한다.[失於江湖 內思濡沫]”는 구절을 근거로 ‘失’이 누락되었다고 보았다. 바그너 또한 같은 근거로 ‘失’이 누락된 것으로 보았는데 이를 따라 보완하였다.

노자도덕경주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