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老子道德經注

노자도덕경주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30.1 以道佐人主者 不以兵强於天下하나니
[注]以道佐人主 尙不可以兵强於天下한대 況人主躬於道者乎
30.2 其事好還이니라
[注]爲 務欲立功生事하나
而有道者 務欲還反無爲
故云其事好還也라하니라
30.3 師之所處 荊棘生焉이요 大軍之後 必有凶年이니라
[注]言師凶害之物也 無有所濟하고 必有所傷이요
賊害人民하고 殘荒田畝 故曰 荊棘生이라하니라
30.4 善有果而已 不敢以取强하니
[注]果 猶濟也
言善用師者 趣以濟難而已矣 不以兵力取强於天下矣하니라
30.5 果而勿矜하며 果而勿伐하며 果而勿驕하며
[注]吾不以師道爲尙이니 不得已而用이어늘 何矜驕之有也리오
30.6 果而不得已하며 果而勿强이니라
[注]言用兵 雖趣功果濟難이나 然時故不得已
但當以除暴亂하되 不遂用果以爲强也니라
30.7 物壯則老 是謂不道 不道 早已니라
[注]壯 武力暴興也이니 喩以兵强於天下者也
飄風不終朝하고 驟雨不終日하니 故暴興必不道 早已也


이 장의 첫째와 둘째 부분은 다음 제31장의 평화주의적 논조(the pacifist tone)와 유사하다.
전쟁이란 파괴적이며 사람을 죽이고 전답을 황폐하게 하며, 이런 까닭에 전쟁을 아예 피하고자 하는 것이다. 사실상 정치가 안정되려면 전쟁이 없어야 한다. 그러므로 전쟁이 일어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은 군주의 주된 과업 가운데 하나이다. 강제력을 사용하는 것은 언제나 나쁜 종류의 행동이며, 오로지 전쟁을 피할 수 없을 때 성인 군주는 방어적이며 기묘한 전술을 구사하여 손실을 최소화한다.
제29장의 마지막 부분과 같이 셋째 부분은 겸손함을 묘사하고 있다. 이상적인 군주는 숨은 채로 자신을 드러내지 않는다. 심지어 그는 어떠한 소유물도 지키고자 하지 않는다. 그는 특별히 아무것도 소유하지 않으며 그렇게 해서 그는 소유하지 못하는 게 없다. 성인 군주가 전쟁을 싫어하는 것은 그가 자기 강화가 없고 재화 획득이 없는 것과 일치한다. 그는 명성이나 조차 추구하지 않는다. 바로 이와 같은 열망들이 전쟁을 일으키는 주된 이유가 되기에 성인 군주가 이런 것들을 갖지 않을 때 전쟁은 줄어든다.
마지막 부분은 이 맞다. 그러나 그 의미는 전체적으로 불분명하다. 그것이 말하는 바는 아마도 이른 그리고 때에 맞지 않는 종언終焉(end) 또는 조숙함(premature aging)은 도와 맞지 않는다는 의미인 듯하다. 도는 만물이 보여주는 자연스러운 과정이다. 정력이 함부로 낭비되면, 예를 들어 강제력의 사용이나 전쟁과 같은 것의 경우, 만물은 자신의 수명을 제대로 살 수가 없다. 만물이 아껴서 행동할 때만큼 오래 지속되지 못하게 될 것이다. 이와 동일한 부분이 제55장의 끝에 다시 나온다.
로 임금을 보좌하는 자는 군사로 천하에 강자 노릇 하지 않으니,
도로써 임금을 보좌할 때에 오히려 군사력으로 천하에 강자 노릇을 할 수 없는데, 하물며 군주가 몸소 도를 행하는 경우에는 어떠하겠는가?
그런 일을 되돌리기를 좋아한다.
〈자연스러움에〉 거슬러 다스리는 자는 공을 세우고 일을 벌이고자 하는 데 힘쓴다.
그러나 도가 있는 사람은 무위無爲하는 데로 돌아가고자 하는 데 힘쓴다.
그래서 “그런 일을 되돌리기를 좋아한다.”고 했다.
군대가 머물던 자리에는 가시덤불만 돋아난다. 큰 군대가 일어난 뒤에는 반드시 흉년이 온다.
군대는 흉하고 해로운 것임을 말한 것이다. 〈군대란〉 구제하는 것은 없고 반드시 상하게 하는 일만 있다.
그리고 인민을 해치고 논밭을 황폐하게 한다. 그래서 “가시덤불만 돋아난다.”고 했다.
〈용병을〉 잘하는 사람은 〈환란을〉 구제할 뿐 감히 〈군대의 힘으로 천하의〉 강자가 되려 하지 않으니,
는 ‘구제한다[]’는 뜻이다.
군대를 잘 쓰는 사람은 가서 어려움을 구제할 뿐 군대의 힘을 사용해서 천하에 강자가 되려고 하지 않는다는 말이다.
구제하면서 자랑하지 않으며 구제하면서 내세우지 않으며 구제하면서 교만하지 않으며
나는 군대 부리는 방법을 숭상하지 않으니 부득이해서 사용할 뿐이다. 그런데 어찌 자랑하고 교만할 일이 있겠는가.
구제하면서 부득이해서 〈군대를 쓰며〉 구제하면서 〈천하에〉 강자가 되려고 하지 않는다.
군대를 사용하는 것이 공을 이루고 어려움을 구제하는 데 있지만 그때의 사정상 부득이해서 쓴 것이니,
다시 사용해야 할 경우에는 다만 마땅히 포악함과 혼란을 제거하되 마침내 구제함을 이용하여 강자가 되려고 해서는 안 된다는 말이다.
만물은 억세어지면 곧 늙어버리니 이것을 일러 답지 않다고 한다. 도답지 않은 〈일을 행하면〉 일찍 끝난다.
은 무력이 갑자기 흥한다는 뜻이니, 군대로 천하에 강자가 되려는 것을 비유한 것이다.
회오리바람은 아침나절을 넘기지 않고 소낙비는 한나절을 넘기지 못한다. 그러므로 갑자기 흥한 것은 반드시 도답지 않으니 일찍 끝난다.


역주
역주1 (始)[治] : 저본에는 ‘始’로 되어 있으나, 永樂大典本과 陸德明의 《經典釋文》을 근거로 바그너는 治로 바꾸었는데, 이를 따른다.
역주2 (也)[焉] : 저본에는 ‘也’로 되어 있으나, 經文에 의거하여 ‘焉’으로 바로잡는다.
역주3 當復用者 : 樓宇烈은 陶鴻慶의 설을 따라 이 부분을 ‘然時故不得已復用者’로 보아 ‘그때의 사정상 부득이하게 다시 써야 할 경우에는’이라는 뜻으로 보았는데 참고할 만하다.

노자도덕경주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