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老子道德經注

노자도덕경주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73.1 勇於敢이면 則殺이요
[注]必不得其死也
[注]必命也
73.3 此兩者 或利或害
[注]俱勇而所施者異하고 利害不同이라
故曰 或利或害也라하니라
73.4 天之所惡 孰知其故리오 是以聖人 猶難之니라
[注]孰 誰也
其唯聖人이라하니라
夫聖人之明으로도 猶難於勇敢이어늘 況無聖人之明하여 而欲行之也 故曰 猶難之也라하니라
73.5 天之道 不爭而善勝하고
[注]不爭이라 故天下莫能與之爭이라
73.6 不言而善應하며
[注]順則吉하고 逆則凶하니 不言而善應也
73.7 不召而自來하고
[注]處下則物自歸
73.8 繟然而善謀
[注]하고 先事而設하며 安而不忘危하고而謀之
故曰 繟然而善謀也라하니라
73.9 天網恢恢하여 疎而不失하니라


‘감히 ~한다(daring)’는 것은 삼가는 것을 선호하는 도가道家에서 볼 때는 이상해 보인다. 성인은 제3장과 제64장에서 말하듯이 감히 무언가를 하고자 하지 않으며, 제67장에서 말하듯이 앞에 나서고자 하지 않으며, 제69장에서 말하듯이 주인이 되고자 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감히 무엇을 한다는 것은 스스로를 노출시켜 위험에 빠지거나 실패할 수 있게 만든다. 적극적인 양식의 행동 대신에 도가적 성인은 역설적逆說的으로 감히 무언가를 하지 않는 것을 감히 한다. 무언가를 하지 않고 앞에 나서지 않는 것은 또한 감히 무언가를 하는 하나의 방식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가의 수동적受動的 성격은 또한 둘째 부분의 논제이다. 대면하지 않고서 성인은 자신의 적을 이겨낸다. 성인의 무위無爲는 그의 침묵과 나란히 간다. 어떠한 명령도 내리지 않음으로써 백성들은 자연스럽게 그를 따르게 된다. 텍스트가 말하는 미리 계획하는 것의 중요성은 제63장과 제64장에서 논의된 ‘시작’에 신중한 것의 중요성에 상응한다.
감히 〈무엇을 하는〉 데에 용감하면 죽을 것이요,
반드시 제대로 된 죽음을 맞을 수 없다는 뜻이다.
감히 〈무엇을 하지〉 않는 데에 용감하면 살 것이다.
반드시 제 명을 다할 때까지 산다는 말이다.
이 두 가지는 어떤 것은 이롭고 어떤 것은 해롭지만,
모두 용감함이지만 적용되는 것이 다르고 〈그것이 초래하는〉 이로움과 해로움이 같지 않다.
그래서 “어떤 것은 이롭고 어떤 것은 해롭다.”고 한 것이다.
하늘이 싫어하는 그 이유를 누가 알겠는가? 이 때문에 성인은 오히려 그것을 어렵게 여긴다.
은 ‘누구[]’란 뜻이다.
이 말은 ‘누가 능히 하늘의 뜻을 알겠는가? 아마도 성인뿐일 것이다.’라고 말한 것이다.
대저 성인의 밝음으로도 오히려 감히 무엇을 하는 데에 용감한 것을 어렵게 여기는데, 하물며 성인의 밝음이 없는데도 그렇게 행하고자 함에 있어서랴. 그래서 “오히려 그것을 어렵게 여긴다.”고 했다.
하늘의 도는 다투지 않으면서도 잘 이기고,
대저 오로지 다투지 않는 까닭에 천하의 어느 누구도 그와 더불어 다툴 수가 없다.
말하지 않아도 잘 응답하며,
〈이러한 하늘의 도에〉 따르면 길하고 거스르면 흉하니, 말하지 않아도 잘 응답한다.
부르지 않아도 스스로 오고,
아래에 처하면 만물이 스스로 돌아온다.
느긋하게 하지만 잘 계획하니,
을 드리워 길흉吉凶을 보이고 일을 벌이기에 앞서 정성을 다하며 편안할 때에 위급한 때를 잊지 않고 아직 조짐이 드러나지 않을 때에 미리 계획한다.
그래서 “느긋하게 하지만 잘 계획한다.”고 했다.
하늘의 그물은 넓고 커서 엉성하지만 놓치는 것이 없다.


역주
역주1 勇於不敢 則活 : 이 구절은 《呂氏春秋》 〈愼大覽 順說〉, 《淮南子》 〈道應訓〉에서 惠盎과 宋 康王의 이야기를 통해 설명된다. 《淮南子》에 따르면, 惠盎이 宋 康王을 만났는데, 강왕이 자신이 좋아하는 것은 용맹함[勇]과 힘쓰는 것[力]이지 仁이나 義가 아니라며 가르침을 청한다. 혜앙은 처음에는 용맹하고 힘 있는 사람이 찌르거나 공격해도 이에 당하지 않는 이야기로 시작하더니, 점점 수위를 높여서 찌르거나 칠 생각조차 못하게 하는 방법, 모두가 나를 이롭게 하고 사랑하게 만드는 방법을 말한다. 결국에는 孔丘와 墨翟과 같은 뜻을 지니면 지위가 없었던 공자나 묵자보다 훨씬 뛰어난 군주가 될 것이라 설득한다. 혜앙이 나가자 강왕은 주변 사람들에게 칭찬하며 자신이 설득되었다고 말한다. 이 이야기를 소개한 후 《회남자》는 《노자》의 이 구절을 인용하고 나서, “정말로 용맹한 사람은 오히려 용맹함을 드러내지 않는다.[大勇反爲不勇耳]”는 말로 끝맺는다.
역주2 : 道藏集注本에는 ‘濟’로 되어 있다. 樓宇烈은 여기서 ‘齊’가 ‘온전케 한다’는 뜻으로 齊와 濟 두 글자는 뜻이 통하므로 바꾸지 않았는데, 이를 따른다.
역주3 誰能知天(下之所惡)意(故)邪 : 저본에는 ‘誰能知天下之所惡意故邪’로 되어 있으나, 道藏集注本, 張之象本에는 ‘誰能知天意邪’로 되어 있다. 또한 樓宇烈은 이 부분의 문장이 《列子》 〈力命〉의 張湛 注에서도 같다는 점을 지적하는데, 이와 같은 근거로 상기와 같이 바로잡는다.
역주4 (天雖)[夫唯] : 저본에는 ‘天雖’로 되어 있으나, 道藏集注本에 의거하여 ‘夫唯’로 바로잡는다.
역주5 垂象而見吉凶 : 《周易》 〈繫辭傳〉을 인용한 것인데, 다음과 같다. “하늘이 상을 드리워 길흉을 보이니 성인이 이를 본받는다.[天垂象 見吉凶 聖人象之]”
역주6 : 宇惠는 ‘誠’을 ‘誡’로 보았는데, 참고할 만하다.
역주7 (召)[兆] : 저본에는 ‘召’로 되어 있으나, 道藏集注本에는 ‘兆’로 되어 있고, 經64.1에 ‘其未兆易謀’, 〈老子微旨例略〉 6.2에 ‘謀之於未兆’라는 유사한 표현이 보이므로 ‘兆’로 바로잡는다.

노자도덕경주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