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老子道德經注

노자도덕경주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47.1 하고호대 見天道하니
道有大常이요 理有大致하니 執古之道하여 可以御今이라
雖處於今이나 可以知古始 故不出戶窺牖라도 而可知也
47.2 其出 彌遠 其知彌少니라
[注]無在於一이로되 而求之於衆也
視之不可見하고 聽之不可聞하며 搏之不可得하니 如其知之 不須出戶
若其不知 出愈遠愈迷也니라
47.3 是以 聖人 不行而知하고 不見而名하니
[注]得物之致 故雖不行이라도 而慮可知也
識物之宗이라 故雖不見이라도 而是非之理可得而名也니라
47.4 不爲而成하니라
[注]明物之性하여 因之而已
故雖不爲라도 而使之成矣니라


제47장은 “하는 게 없으되 하지 못하는 게 없다.[무위이무불위無爲而無不爲]”는 격률에 관하여 가장 유명한 해설을 담은 장 가운데 하나이다. 그런데 놀랍게도 그것은 공자孔子의 《논어論語》에 나오는 두 문장과 유사하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함이 없이 다스리신 이는 아마도 임금일 것이다. 그는 도대체 어떻게 하였는가? 그는 단지 몸을 공손히 하고 앉아서 남쪽을 바라보았을 뿐이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덕으로써 다스리는 것은 비유컨대 북극성과 같다. 북극성은 제자리에 있는데 뭇별이 그를 중심으로 도는 것과 같다.’”
우주적 정치적 시나리오의 중심에 가만히 있음으로써 성인 통치자는 자연과 국가를 다스리는데 마치 바퀴축이 바퀴를 돌리는 것과 같다. 동시에 그는 나면서부터 천도天道를 아는 자이다. 제33장과 관련하여 이미 앞에서 주석하였듯이, ‘안다는 것(to know)’은 또한 ‘체득했다(to master)’는 것을 의미한다. 자신의 자리를 지킴으로써 통치자는 세상을 다스리는 법(how)을 안다. 역설적이게도 바로 그가 움직이지 않은 채 중심에 남아 있기에 성인 통치자는 자신이 우주와 사회에 대한 ‘노하우’를 지니고 있다는 것을 증명한다.
만약 그가 자신의 자리를 떠난다면 더 많은 지식을 얻지 못하는 게 아니라 통치술에 대한 진정한 이해를 하지 못한 것이 된다. 통치자는 안으로부터 사회를 안정시킬 수 있으며 또한 올바르게 ‘이름을 지을 수’ 있는데, 즉 자신의 자리를 떠남이 없이 국가에서 고유한 기능들을 할당할 수 있다.
문밖을 나서지 않아도 천하의 〈모든 일을〉 알고, 창밖을 내다보지 않아도 천도天道를 아니,
일에는 으뜸이 있고 사물에는 주인이 있으니 〈《주역周易》 〈계사전繫辭傳〉에서 공자孔子가 말씀하신 바와 같이〉 길은 비록 달라도 돌아가는 곳은 같고 생각은 비록 백 가지로 다양해도 이르는 곳은 하나이다.
도에는 커다란 원칙이 있고 이치에는 커다란 일치점이 있다. 〈제14장에서〉 “옛날 〈성왕이 다스리던 때의〉 도를 잡아 오늘을 다스릴 수 있다.”고 했다.
비록 처한 현실은 오늘이지만 옛 시작을 알 수 있기 때문에 문밖을 나서지 않고 창밖을 내다보지 않아도 천도天道를 아는 것이다.
멀리 나가면 나갈수록 앎이 더욱 적어진다.
는 하나에 있는데 많은 것에서 그것을 찾기 때문이다.
는 〈제14장에서 말하였듯이〉 보아도 볼 수 없고 들어도 들을 수 없고 만져도 만져지지 않으니 만약 이것을 알면 구태여 문밖으로 나가지 않을 것이고,
만약 이것을 모르면 〈문밖으로〉 나아가 멀어질수록 더욱 미혹될 것이다.
이런 까닭에 성인은 〈이리저리〉 다니지 않아도 알고, 보지 않아도 이름 지으니,
〈성인은〉 사물이 도달할 곳을 깨달았기에 비록 〈이리저리〉 길을 나서지 않아도 〈천하 모든 사람들이 무엇을〉 생각하는지 알 수 있다.
사물의 으뜸을 알기에 비록 보지 않아도 옳고 그름의 이치를 〈정확히 파악하여〉 이름을 정할 수 있다.
하지 않고도 〈모든 일을 다〉 이룬다.
〈성인은〉 사물의 본성을 밝게 알아 그에 따를 뿐이다.
그러므로 비록 하지 않아도 〈사람들로 하여금 모두〉 이루게 한다.


역주
역주1 不出戶……其知彌少 : 《淮南子》 〈道應訓〉에서는 白公 勝의 이야기로 이 문장을 설명한다. 白公 勝이 반란을 꾸미는 일에 몰두하여 조정이 파한 줄도 모르고 계속 서 있었는데, 자신이 들고 있던 채찍 끝의 바늘이 턱에 꽂혀 피가 흐르는 것조차 잊고 있었다. 《회남자》는 이에 대해 “정신을 쓰는 곳이 멀리 있으면 가까운 곳의 일은 잊는다.[神之所用者遠 則所遺者近也]”고 평하면서 《노자》의 이 문장을 인용하고 있다.
역주2 知天下 : 저본에는 ‘以’가 없으나, 바그너는 注54.7에서 “所謂不出戶 以知天下者也”라고 한 것에 근거하여 ‘知天下’는 ‘以知天下’로, 뒤의 ‘見天道’는 ‘以見天道’라고 수정할 것을 주장하였다. 실제로 傅奕本, 范應元本에는 ‘以’가 있다. 참고할 만하다.
역주3 (闚)[窺] : 저본에는 ‘闚’로 되어 있으나, 아래 注文에 ‘窺’로 되어 있으므로 바그너의 설에 따라 ‘窺’로 바로잡는다.
역주4 事有宗而物有主 : 注49.5에서는 같은 문장이 “物有其宗 事有其主”라 하여 ‘宗’과 ‘主’가 바뀌어 있다.
역주5 雖殊而[其]歸同也 慮雖百而其致一也 : 저본에는 ‘其歸同’의 ‘其’가 없으나 道藏集注本 그리고 이어지는 ‘其致一也’에 비추어볼 때 있는 것이 마땅하므로 보충한다. 이 부분은 《周易》 〈繫辭傳〉에서 온 것인데 원문과 동일하지는 않다. 본래는 “孔子가 말했다. ‘천하가 무엇을 생각하고 무엇을 걱정하겠는가. 천하 사람들은 돌아가는 곳은 같지만 길은 다르며, 이르는 곳은 하나지만 생각은 백 가지로 다르니, 천하가 무엇을 생각하고 무엇을 걱정하겠는가.’[子曰 天下何思何慮 天下同歸而殊塗 一致而百慮 天下何思何慮]”라고 되어 있다.

노자도덕경주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