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老子道德經注

노자도덕경주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2.1 夫奔電之疾이라도 猶不足以一時周하고 이라도 猶不足以一息期하니
未足以官天地하고 有形之極 未足以府萬物이라
是故歎之者 不能盡乎斯美하고 詠之者 不能暢乎斯弘하니 名之不能當이요 稱之不能旣
名必有所分하고 稱必有所由하여 有分則有不兼이요 有由則有不盡이니
不兼則大殊其眞하고 不盡則不可以名하니 此可演而明也
然則道玄深大微遠之言 各有其義 未盡其極者也
이나 彌綸無極 不可名細하고 微妙無形 不可名大
是以하고 이라하여 而不名也니라
然則言之者 失其常하고 名之者 離其眞하며 爲之者 則敗其性하고 執之者 則失其原矣
是以 聖人不以言爲主 則不違其常하고 不以名爲常이라 則不離其眞하고
不以爲爲事 則不敗其性하고 不以執爲制 則不失其原矣
2.3 然則老子之文 欲辯而詰者 則失其旨也하고 欲名而責者 則違其義也
故其大歸也 하여 以明自然之性하고 演幽冥之極하여 以定惑罔之迷하니
因而不爲하고 順而不施하며 하며 賤夫巧術하고 爲在未有하며 無責於人하고 必求諸己하니
此其大要也
名者 尙乎定眞하여 而名以正之하고
儒者 尙乎全愛하여 而譽以進之하고
墨者 尙乎儉嗇하여 而矯以立之하고
雜者 尙乎衆美하여 而總以行之
夫刑以檢物하면 巧僞必生하고
名以定物하면 理恕必失하고
譽以進物하면 爭尙必起하고
矯以立物하면 乖違必作하고
雜以行物하면 穢亂必興하니
斯皆用其子而棄其母 物失所載하니 未足守也
2.5 然致同而塗異하고 至合而趣乖하니 而學者惑其所致하고 迷其所趣러라
觀其齊同하면 則謂之法이요 覩其定眞하면 則謂之名이요
察其純愛하면 則謂之儒 鑒其儉嗇하면 則謂之墨이요 見其不係하면 則謂之雜이라하니
隨其所鑒而正名焉하고 順其所好而執意焉이라
故使有紛紜憒錯之論 殊趣辯析之爭 蓋由斯矣


번개의 빠름일지라도 오히려 일시에 두루 하기에는 부족하고, 바람을 타고 가는 것일지라도 한순간에 도착하기에는 부족하다.
〈《주역周易》에서 ‘’에 대해 말한 것처럼〉 정말 빠른 것은 내달리지 않는 데 있고, 잘 도달하는 것은 가지 않음에 있다.
그러므로 말할 수 있으면 아무리 성대해도 천지天地를 주관하기에는 부족하고, 형체가 있으면 아무리 커도 만물을 저장하기에는 부족하다.
이런 까닭에 감탄하는 자는 그 아름다움을 다 표현할 수 없고, 영탄하는 자는 그 광활함을 다 펼쳐낼 수 없으니, 무엇이라고 이름 지어도 적당하지 않고, 무엇이라고 일컬어도 다할 수 없다.
이름 지으면 반드시 분별하는 것이 있고, 일컬으면 반드시 말미암는 것이 있다. 별하는 것이 있으면 겸하지 못하고, 말미암는 것이 있으면 다하지 못한다.
겸하지 못하면 원래의 참된 상태와 매우 달라지고, 다하지 못하면 이름 지을 수 없으니, 이에 대한 것은 미루어 밝힐 수 있다.
란 만물이 유래함에서 취한 것이고, 아득함[]이란 어두움이 드러남에서 취한 것이며, 깊음[]이란 탐색해도 궁구할 수 없음에서 취한 것이고,
큼[]이란 두루 미치려 해도 다할 수 없음에서 취한 것이며, 멂[]이란 매우 멀어서 미칠 수 없음에서 취한 것이고, 세미함[]이란 어둡고 작아서 볼 수 없음에서 취한 것이다.
그렇다면 도, 아득함, 깊음, 큼, 세미함, 멂이라는 말은 제각기 나름대로 뜻이 있지만, 궁극을 다하지는 못한 것이다.
그러나 두루 미쳐서 끝이 없음을 작다[]고 이름 붙일 수 없고, 미묘해서 형체가 없음을 크다[]고 이름 붙일 수는 없다.
이 때문에 《노자》 본문에서 “를 붙여 라고 한다.” 하고 “신비하다[]고 한다.” 하면서 이름을 붙이지 않았다.
그렇다면 말로 표현하는 것은 그 항상됨을 상실한 것이고, 이름을 붙이는 것은 그 참된 상태를 벗어나는 것이며, 작위作爲하는 것은 본성을 잘못되게 하는 것이고, 〈무엇인가〉 고수하는 것은 그 근원을 상실한 것이다.
이 때문에 성인은 말을 근본으로 삼지 않기에 그 항상됨을 벗어나지 않고, 이름으로 항상된 상태를 삼지 않기에 그 참된 상태를 이탈하지 않으며,
작위함으로 일을 삼지 않기에 그 본성을 잘못되게 하지 않고, 〈무엇을〉 고수하는 것으로 제도를 삼지 않기에 그 근원을 잃지 않는다.
그렇다면 《노자》의 글을 변론하고 캐내고자 할 경우에는 그 대지大旨를 잃게 되고, 이름 붙이고 따지고자 할 경우에는 그 본의本義를 벗어나게 된다.
그러므로 그 대지는 시원始原을 논함으로써 자연의 본성을 밝히고, 어두움의 극치를 추론함으로써 미혹되고 속이는 것을 바로잡는 것이다.
따르고 작위하지 않으며, 순응하고 시행하지 않으며, 근본을 숭상함으로써 말단을 끊어버리며, 어미를 지킴으로써 자식을 보존하며, 교묘한 술책을 천하게 여기고, 조짐도 없는 상태에서 행하고, 남을 책하지 않고 반드시 자신에게서 구한다.
이런 점들이 중요한 핵심이다.
그러나 법가法家는 ‘법 앞에서의 평등[제동齊同]’을 숭상하여 형벌로써 단속하려 한다.
명가名家는 ‘참됨의 판정[정진定眞]’을 숭상하여 말로 바로잡고자 한다.
유가儒家는 ‘완전한 사랑[전애全愛]’을 숭상하여 명예로써 진작시키려 한다.
묵가墨家는 절약의 정신을 숭상하여 억지로 그런 기풍을 세우고자 한다.
잡가雜家는 여러 학파의 장점들을 숭상하여 다 같이 실천에 옮기려 한다.
저 형벌로써 ‘사람[]’을 단속하면 꾸밈과 거짓이 반드시 생겨난다.
이름으로 ‘사람[]’을 규정하면 ‘이서理恕’가 반드시 상실된다.
명예로써 ‘사람[]’을 진작시키면 ‘경쟁 심리[쟁상爭尙]’가 일어나게 된다.
바로잡아 ‘사람[]’을 세우면 배반하고 어그러짐이 반드시 일어나게 된다.
여러 가지를 섞어서 ‘사람[]’에게 행하게 되면 혼란이 반드시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방법은 모두가 그 자식을 쓰되 그 어미는 버리는 것이다. 따라서 ‘사람[]’이 정작 보존해야 할 것을 잃게 되니 지키기에는 부족한 것이다.
그렇지만 그 목표는 같으나 길이 다르고 도달하려는 곳은 같으나 행하는 것이 어그러지니, 배우는 자들이 목표에 대해 갈팡질팡하고 행할 바에 대해서도 혼란스러워 하는 것이다.
〈그래서 그 주장이〉 ‘법 앞에서의 평등[제동齊同]’인 것을 보면 법가法家라 하고, 〈그 주장이〉 ‘참됨의 판정[정진定眞]’임을 보게 되면 명가名家라 하고,
〈그 주장이〉 ‘순수한 사랑[순애純愛]’인 것을 살피면 유가儒家라 하고, 〈그 주장이〉 ‘절약[검색儉嗇]’인 것을 보면 묵가墨家라 하고, 〈그 주장이〉 어느 쪽에도 속하지 않는 것[불계不系]을 보면 잡가雜家라고 한다.
따라서 비추어진 모습에 따라 이름을 바로잡으려 하고, 자신의 기호에 따라 자신의 뜻을 정한다.
따라서 어수선하고 혼란스러운 논의와, 다르게 행하고 분변하는 다툼이 모두 여기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역주
역주1 御風之行 : 이 표현은 《莊子》 〈逍遙遊〉에서 列子에 대해 한 말이다. “저 열자는 바람을 조종하여 하늘을 날아다녀 가뿐가뿐 즐겁게 잘 날아서 15일이 지난 뒤에 땅 위로 돌아온다.[夫列子御風而行 泠然善也 旬有五日而後反]”
역주2 善速……在不行 : 이 문장은 《周易》 〈繫辭傳 上〉에서 ‘神’에 대해 말한 부분에서 온 표현이다. 原文은 다음과 같다. “오로지 신령한 까닭에 달리지 않아도 빠르고 가지 않아도 이른다.[唯神也 故不疾而速 不行而至]”
역주3 可道之盛……未足以府萬物 : 經1.1에서 보면 道와 名이 짝하지만 王弼은 可道와 有形을 같은 것으로 취급하면서 道와 대비시키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 여기서 ‘官天地’, ‘府萬物’은 《莊子》 〈德充符〉의 “하물며 천지를 주관하고 만물을 저장함에랴.[況官天地 府萬物]”에서 가져온 표현이다.
역주4 可道之盛 : 여기서 ‘可道’는 經1.1에서 온 표현이다.
역주5 道也者 取乎萬物之所由也 : 《老子》의 經文과 王弼의 注文 21.1-4, 24.5, 34.2, 51.1을 참조하면 좋다.
역주6 玄也者 取乎幽冥之所出也 : 이 부분은 經1.5를 가리킨다.
역주7 深也者 取乎探賾而不可究也 : 이 부분은 經65.4와 관계된다. 여기서 深과 아래의 遠은 모두 玄德에 대한 묘사로 사용되었다. 또 ‘探賾’은 《周易》 〈繫辭傳 上〉의 ‘探賾索隱’에서 온 말이다.
역주8 大也者 取乎彌綸而不可極也 : 이 부분은 經25.6과 관계된다. ‘彌綸’은 두루 미친다는 뜻으로 《周易》 〈繫辭傳 上〉의 “易與天地準 故能彌綸天地之道”에 보인다.
역주9 遠也者 取乎綿邈而不可及也 : 이 부분은 經25.8에서 道와 함께 나오고, 앞의 주 3)에서 深과 함께 德과 관련하여 經65.4에도 등장한다.
역주10 微也者 取乎幽微而不可覩也 : 經14.1에 夷, 希와 함께 등장하는 표현이다.
역주11 字之曰道 : 經25.5에 보인다.
역주12 謂之曰玄 : 經1.5를 함께 보면 좋다.
역주13 論太始之原 : 太始는 《周易》 〈繫辭傳 上〉의 ‘乾知大始 坤作成物’에 전거가 있다. 《易緯乾鑿度》에 따르면 “태초는 형체의 시작이다.[太初 形之始]”라고 한다.
역주14 崇本以息末 守母以存子 : 本末과 母子의 관계를 통해 설명하는 논리는 王弼의 고유한 부분이다. 本末에 대해서는 注38.1, 57.1, 57.5, 58.10을 참조하면 좋다. 또한 母子에 대해서는 52.2 經文과 注文 그리고 57장과 58장을 함께 살피면 좋다.
역주15 而法者……未足守也 : 이 부분 전체에서 王弼은 法家, 名家, 儒家, 墨家, 雜家의 五家에 대해 개괄하면서 논의하고 있다. 우선 왕필이 이해하는 법가의 핵심은 ‘형벌’에 의한 ‘평등’의 실현이다. 또한 명가의 핵심은 ‘언어’를 바로잡음으로써 ‘참을 판정’하는 데에 있다. 그런데 ‘명가’에 대해 왕필은 아무런 비판적인 언급도 하지 않고 있는데, 어떤 입장을 지니고 있는지는 불명확하다. 다만 그가 無名의 철학자임은 분명한데 그 또한 尊卑의 名分은 긍정하는 儒家라는 점 또한 분명하다. 그리고 왕필이 보는 儒家는 그 이념이 ‘온전한 사랑[全愛]’에 있다. 그리고 그것을 실행하는 방법은 ‘명예[譽]’이다. 그리고 墨家는 ‘절약[儉嗇]’에 있으며 雜家는 이런 여러 학파의 장점을 모두 이행하려 한다고 이해하고 있다. 그런데 왕필은 이러한 ‘오가’의 주된 주장이 낳는 폐해를 자신의 유명한 논리로 비판한다. 즉 이러한 방법들은 모두 “그 자식은 쓰면서 그 어미를 버리는 것[用其子而棄其母]”이라 비판하고 있다. 그런데 여기서 무엇보다 눈에 띄는 것은 왕필이 언급한 오가 가운데 유가도 포함되어 있다는 점이다. 중국에서 학문을 家로 구분하는 것은 이미 선대 학자들에 의해 이루어진 전통이다. 司馬談이 〈論六家要旨〉에서 六家를 논한 것이나, 班固가 《漢書》 〈藝文志〉에서 十家를 논한 것은 너무나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런데 반고의 〈예문지〉에서 채택하는 도서 분류 방식은 주의 깊게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七略〉이란 대분류에 六藝略, 諸子略, 詩賦略, 兵書略, 數術略, 方技略이 있으며, 오늘날 우리가 先秦諸子라 부르는 각 학파는 이 가운데 諸子略에서 儒家, 道家, 陰陽家, 法家, 名家, 墨家, 縱橫家, 雜家, 農家, 小說家의 ‘십가’로 분류된다. 즉 유가는 제자 가운데 하나로서 여기에는 孟子, 荀子, 曾子, 子思와 같은 선진 儒者는 물론 董仲舒, 公孫弘과 같은 漢代의 유자까지 포함된다. 이는 실상 공자와 그 제자 및 후인을 엄격하게 구분하고자 한 의도라 볼 수 있다. 이렇게 보면 왕필이 말하는 ‘유가’는 오늘날 공자로 대변되는 유학을 지칭하는 의미와는 구별된다. 聖人 공자가 직접 편찬한 것으로 인식되었던 문헌들은 〈예문지〉에서 ‘육예략’에 속하는데, 여기에는 六經에 더하여 《論語》, 《孝經》이 포함된다. 이것은 달리 말하자면 《論語》, 《孝經》이 後漢 이래로 육경과 대등한 위상을 획득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古文學派의 경전 나열 순서를 따르고 있는 〈예문지〉에서 ‘육예략’의 중심을 차지하는 것은 《易經》으로서, 반고는 거기에 五常의 도를 대변하는 오경의 근원으로서의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한대 경학의 주요 경전들이 ‘육예략’으로 분류되어 있다는 것은, 이러한 경전들이 어느 특정 ‘학파’에 속하는 것이 아니라 보편적이고 항구적인 가치를 지니는 것들로써 성인 공자의 가르침의 정수로 인식되었음을 의미한다. 달리 말하자면 ‘육예략’은 성인 공자의 정신을 대변하는 ‘어미[母]’라면 후대의 ‘유가’는 ‘자식[子]’에 속한다. 그리고 그러한 경학의 중심에 《易經》이 자리하고 있는 것이다. 사실 왕필의 仁義에 대한 부정적인 언급 또한 이와 동일한 논리가 적용된 것이다. 왕필이 이해하는 성인 공자의 정신은 ‘유가’에 속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학파를 막론하고 그에 근거해야 하는 세계의 보편적 원리이자 삶의 준칙으로서 이른바 ‘근본’이자 ‘어미[母]’이며, 이것은 《論語》와 같이 공자가 직접 전한 언어의 기록에서 찾아야 하는 것이다. 달리 말하자면 보편적 원리나 사회의 기본 규범은 경전과 공자의 말에서 찾아야 할 성질의 것이다. 문제는 경전의 언어를 어떻게 이해하느냐가 관건이 된다. 왜냐하면 경전이란 언어로 이루어진 것이며, 비록 성인의 뜻이 거기에 담겨 있다 하여도 언어가 지닌 본래적 불완전성은 성인의 眞意를 이해하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기존의 경학이 지닌 문제는 바로 여기에 있다. ‘경학’이 도달해야 할 목적지는 문자의 訓詁가 아닌 그 문자에 담겨 있는 성인의 뜻[意]인 것이다. 그래서 왕필은 “뜻을 얻으면 그 말을 잊을 것[得意忘言]”을 강조한다.

노자도덕경주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