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老子道德經注

노자도덕경주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絶仁棄義라야 民復孝慈하며
絶巧棄利라야 盜賊 無有
此三者 以爲文이라
故令有所屬하면 見素抱樸하며 少私寡欲이니라
巧利 用之善也로되
而直云絶이라하니 文甚不足하여 不令之有所屬하면 無以見其指하니라
故曰 此三者 以爲文而未足이라하니
故令人有所屬하면 屬之於素樸寡欲하니라


제19장은 성인聖人의 도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백성들을 위해 군주가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야기가 펼쳐진다. 《한비자韓非子》 〈양권揚權〉에 나오는 “성인의 도는 지혜와 기교를 없애는 데 있으니, 지혜와 기교가 없어지지 않으면 상도常道를 만들기 어렵다.”라는 구절을 함께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이 장도 초간본과 왕필본의 내용이 약간 다르다. 초간본은 군주가 버려야 할 세 가지로 ‘(말로 명확하게 구분하려는 것)과 (잔머리 굴리는 것), (기교)와 (이익), (거짓)와 (속임)’를 들고 있다. 그러나 왕필본은 ‘성스러움과 지, 인과 의, 기교와 이익’을 버려야 한다고 말한다.
그런데 왕필의 해석이 재미있다. 노자는 “성스러움과 지, 인과 의, 기교와 이로움”을 버리라고 이야기하고 있으나, 왕필은 “성스러움과 지는 뛰어난 재주고, 인과 의는 훌륭한 행실이며, 기교와 이익은 쓰기에 좋은 것”이라고 노자의 생각을 뒤집는다. 그런 좋은 것들을 노자가 끊어버리라고 이야기한 것은 ‘언어화된 것, 즉 문식文飾을 부정한 것’이지 앞의 덕목 자체를 부정한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결국 글자로 표현된 가치와 실상 사이의 간극에 대해 짚음으로써, 교묘하게 ‘인간의 마음’이 중요하다는 것을 이야기하고 있는 셈이다.
성스러움을 끊고 지혜를 버려야 백성에게 이로움이 백 배가 될 것이다.
어짊을 끊고 의로움을 버려야 백성이 다시 효성스럽고 자애로워질 것이다.
교사스러움을 끊고 이로움을 버려야 도적이 없어질 것이다.
이 세 가지는 〈억지로〉 꾸민 것이기에 충분한 것이 못 된다.
그러므로 〈각자의〉 속할 곳이 있게 하면 소박함을 보고 끌어안으며 사사로움을 줄이고 욕심을 적게 할 것이다.
성스러움과 지혜는 재주의 뛰어남이다. 어짊과 의로움은 행실의 뛰어남이다.
교사스러움과 이로움은 쓰임새의 뛰어남이다.
그런데도 〈《노자》의 문장은 이것들을〉 끊어버리라고만 말하고 있으니, 〈억지로〉 꾸민 것이 매우 부족해져 〈백성이〉 속할 곳이 없게 한다면 그것이 가리키는 것을 드러낼 방법이 없게 된다.
그래서 〈《노자》에서〉 “이 세 가지는 〈억지로〉 꾸민 것이기에 충분한 것이 못 된다.”라고 말한 것이다.
그러므로 사람들에게 속할 곳이 있게 한다면 소박함과 욕심을 줄이는 것에 속하게 할 것이다.


역주
역주1 絶聖棄智……無有 : 竹簡本에는 “絶智棄辯 民利百倍 絶巧棄利 盜賊亡有”로 되어 있어 ‘聖’과 ‘智’가 ‘智’와 ‘辯’으로 되어 있고 ‘絶仁棄義’는 없다. 이를 통해 《老子》가 본래 儒家를 비판한 것은 아니라는 사실의 일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竹簡本은 유가에 대한 비판이라기보다 智謀와 達辯을 비판한 것이다.
역주2 絶聖棄智 民利百倍 : 《淮南子》 〈道應訓〉에서는 盜跖의 이야기를 통해 역설적으로 해설하고 있는데, 이 이야기는 《呂氏春秋》 〈仲冬紀 當務〉, 《莊子》 〈胠篋〉에도 비슷하게 나온다. 《회남자》에서 盜跖을 따르는 무리가 도척에게 도둑에게도 도가 있느냐고 묻자, 도척은 도적이라 해도 숨겨진 물건을 잘 찾아내는 聖, 먼저 들어가는 勇氣, 나중에 도망 나오는 義, 훔친 물건을 공평히 나누는 仁이 필요하다고 답한다. 도적에게도 聖人의 道가 필요하다는 이야기다. 그리고 《노자》의 이 구절을 인용한다. 내용상으로 볼 때 《회남자》는 성인의 도가 도둑의 도와 다를 바 없으니 버려야 한다는 역설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 듯하다.
역주3 (不)[而未] : 저본에는 ‘不’로 되어 있으나, 아래 注文에 ‘以爲文而未足’으로 기록된 것을 바탕으로 교감한 바그너의 견해를 따라 ‘而未’로 교감하였다.
역주4 聖智……用之善也 : 《老子指略》에는 “聖智 才之傑也 仁義 行之大也 巧利 用之善也”로 각각 달리 표현되어 있다. 바그너는 이에 따라 바로잡아야 한다고 보았으나 뜻 차이가 없기에 참고로 밝혀두기만 한다.

노자도덕경주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