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老子道德經注

노자도덕경주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36.1 將欲歙之인댄 必固張之 將欲弱之인댄 必固强之 將欲廢之인댄 必固興之 將欲奪之인댄 必固與之
是謂微明이라
[注]將欲除强梁去暴亂인댄 當以此四者리라
因物之性하여 令其自戮이니 不假刑爲大하여 以除物也 故曰 微明也라하니라
足其張하여 令之足이로되 而又求其張이면 則衆所歙也
其張之不足하여 而改其求張者 愈益而己反危하니라
36.2 柔弱勝剛强하니라
[注]利器 利國之器也
唯因物之性이요 不假刑以理物이라
器不可覩 而物各得其所 則國之利器也
示人者 任刑也 刑以利國하면 則失矣
魚脫於淵하면 則必見失矣니라
利國器而立刑以示人 亦必失也


만약 당신이 성공하고자 한다면 제36장이 진술하듯이 당신은 역설逆說의 전략을 완성해야만 한다. 통치의 기술 그리고 권력을 취하고 유지하는 수단은 의 역설적인 기능에 일치시키는 능력에 근거한다.
지나치게 확장된 것은 결국에는 스스로 몰락하게 될 것이다. 너무 강해진 것은 결국에는 스스로를 약하게 할 것이다. 정치에서 사람들은 먼저 취임했거나 강해진 사람들을 떠나게 하거나 약화시킬 수만 있다. 당신이 지배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는 선물을 주거나 호의를 보여야만 한다. 이것이 바로 이 장의 메시지인 듯하며, 제36장의 전반부는 이러한 전략적 방식으로 한비자韓非子에 의해 해석되었다.
이러한 규칙들을 다른 사람을 극복하는 데 사용하지 않는다 해도 그러한 규칙들에 대해 알고 있다는 것은 다른 사람들이 효과적으로 당신에게 대적하지 못하게 하기 위해서라도 중요하다.
이러한 역설의 전략의 완성은 도의 작동원리에 대해 ‘미묘한 밝음[미명微明]’을 갖게 한다. 역전逆轉(reversal)이라는 가장 근본적인 규칙은 약하고 부드러운 것이 결국에는 강하고 딱딱한 것을 이겨내리라는 것이다.(이에 대해서는 제76장과 제78장을 보라.)
또 하나의 전략적 격률格率은 자신을 드러내지 않는 것이다. 이것은 물속에서 물고기를 잡는 것과 같아 스스로를 드러내게 되면 실패하거나 무너지지 않을 수 없게 된다. 스스로를 활짝 열어 드러내는 군주는 그로 인해 스스로를 약화시키게 된다.(이에 대해서는 제24장을 보라.)
이와 비슷하게 무기를 보여주는 것 또한 피해야 한다. 이것은 오로지 전시체제로 가게 만들 것이며 전쟁의 가능성 또한 늘어난다.(이에 대해서는 제31장, 제68장, 제69장, 제80장을 보라.)
전쟁에서 이기는 전략, 즉 첫째 부분에서 언급된 격률과 같은 전략들은 전쟁이 불가피할 때에만 사용되어야 한다. 선호할 만한 선택은 무엇보다 하나도 갖지 않는 것이다.
장차 움츠러들게 하려면 반드시 먼저 벌리게 하고 장차 약하게 하려면 반드시 먼저 강하게 하며 장차 없애려면 반드시 먼저 높이고 장차 빼앗으려면 반드시 먼저 주어야 할 것이다.
이것을 미묘한 데서 밝다고 한다.
장차 강량强梁한 것을 없애고 사납고 어지러운 것을 제거하려면 마땅히 이 네 가지 처방으로 해야 할 것이다.
〈이 네 가지 처방은〉 만물의 본성에 따라 스스로 해치도록 만드는 것이니 형벌에 의존하는 것을 크게 생각하여 강량한 만물을 제거하려 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미묘한 데서 밝다.”고 한 것이다.
그 벌림을 충분히 하여 만족하게 해주었는데 다시 더 벌리기를 바란다면 뭇사람들에 의해 움츠러들게 될 것이다.
이와 달리 벌린 것이 부족한 것을 다시 움츠러들게 하여 벌려지기를 구하는 것을 고치고자 한다면 〈상대에게〉 더욱 유익해지지만 나는 도리어 위태롭게 될 것이다.
부드럽고 약한 것이 굳세고 강한 것을 이기는 법이다.
물고기는 연못을 벗어날 수 없으며 나라를 이롭게 하는 물건은 남에게 보여서는 안 된다.
‘이로운 그릇[이기利器]’이란 ‘나라를 이롭게 하는 그릇’이다.
오직 만물의 본성에 따를 뿐 형벌을 빌려서 만물을 다스리지 않는다.
그릇을 볼 수 없으나 만물이 각각 제자리를 얻게 되면 그것이 곧 나라의 이로운 기물이다.
사람들에게 보여준다는 것은 형벌에 맡기는 것이다. 형벌로 나라를 이롭게 하면 〈나라를〉 잃을 것이다.
물고기가 연못에서 벗어나면 반드시 잃게 되는 것이다.
나라를 이롭게 하는 기물과 형벌을 세워 사람들에게 보이면 또한 반드시 잃게 될 것이다.


역주
역주1 (將)[强] : 저본에는 ‘將’으로 되어 있으나, 經文에 의거하여 ‘强’으로 바로잡는다.
역주2 (與)[歙] : 저본에는 ‘與’로 되어 있으나, 經文에 의거하여 ‘歙’으로 바로잡는다.
역주3 魚不可脫於淵……不可以示人 : 《淮南子》 〈道應訓〉은 이 부분을 司城子罕과 宋나라 君主의 이야기로 해설하는데, 이 고사는 《韓非子》 〈外儲說 右下〉, 《說苑》 〈君道〉에도 보인다. 《회남자》에서는 재상이었던 司城子罕이 宋나라 君主에게 백성이 좋아하는 償은 군주가 하고 자신은 백성이 싫어하는 罰을 집행하겠다고 제안한다. 송나라 군주가 이를 수용하자 “나라 사람들은 모두 죽이고 살리는 절대 권력이 자한에게 있다는 것을 알고, 대신들은 자한과 친해지려 하고 백성들은 자한을 두려워하는[國人皆知殺戮之專制在子罕也 大臣親之 百姓畏之]” 상황이 되었다. 결국 1년도 못 되어 자한은 송나라 군주를 쫓아내고 정치를 제멋대로 하였다고 한다. 《회남자》는 이 이야기를 소개한 후 《노자》의 이 구절을 인용한다. 이런 《회남자》의 해석에서 보면 ‘국가의 이로운 도구’란 “죽이고 살릴 수 있는 형벌권[殺戮刑罰]”을 말한다.
역주4 [之] : 저본에는 없으나, 注文의 처음에 ‘利國之器’라 한 것을 근거로 교감한 樓宇烈의 견해에 따라 보충하였다.

노자도덕경주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