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推句

추구

범례 |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花落憐不掃
月明愛無眠이라
月作雲間鏡이요
風爲竹裡琴이라


꽃 떨어져도 사랑스러워 쓸지 못하고
달 밝으니 사랑스러워 잠 못이루네.
달은 구름 사이의 거울이 되고
바람은 대나무 속의 거문고가 되네.


신습
한자
[憐]心 총15획, 사랑할 련; 연아憐兒, 애련愛憐. | 불쌍히 여길 련; 연민憐愍, 가련可憐.
[掃]手 총11획, 쓸 소; 소제掃除, 청소淸掃.
[間]門 총12획, 사이 간; 간격間隔, 시간時間. | 이간할 간; 간언間言, 이간離間.
문장의
구조
감상
1, 2 구 : 꽃을 아끼고 사랑하는 마음과 밝은 달빛을 사랑하는 마음을 잘 나타내 주고 있다. 꽃이란 피면 지기 마련이고 밤이 깊으면 사람은 자야 하지만 사랑하는 마음이 지극하여, 차마 떨어진 꽃이라 할 지라도 쓸어내지 못하고 달빛을 버리고 잠들지 못하는 심정을 표현하였다.
1, 2 구 역시 《백련초해》의 다음 구절에서 인용하였다.
화락정전련불소花落庭前憐不掃 : 뜰 앞에 꽃 떨어지니 사랑스러워 쓸지 못하고,
월명창외애무면月明窓外愛無眠 : 창 밖에 달빛 밝으니 사랑스러워 잠 못이루네.
화전작주탄홍색花前酌酒呑紅色 : 꽃 앞에 술 따르니 붉은 색을 삼키고,
월하팽다음백광月下烹茶飮白光 : 달 아래 차 달이니 흰 빛을 마시네.
3, 4 구 : 구름 사이로 얼굴을 내밀고 세상을 비추는 달이 마치 거울이 빛을 반사하는 것처럼 보여지고, 대숲 사이를 지나가는 바람에 대나무들이 서로 부딪치고 또 댓 잎이 흔들리면서 나는 소리가 마치 거문고를 타듯이 느껴진다.
동영상 재생
1 22. 화락연불소요 229

추구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