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推句

추구

범례 |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東西幾萬里
南北不能尺이라
天傾西北邊이요
地卑東南界


동서는 몇 만리인가?
남북은 자로 잴 수도 없어라.
하늘은 서북쪽 가로 기울어져 있고
땅은 동남쪽 경계가 낮도다.


신습
한자
[東]木 총8획, 동녘 동; 동방東方, 해동海東.
[西]襾 총6획, 서녘 서; 서양西洋, 관서關西.
[幾]幺 총12획, 몇 기; 기년幾年, 서기庶幾. | 기미 기; 기미幾微, 무기無幾.
[萬]艸 총13획, 일만 만; 만겁萬劫, 충만充滿.
[里]里 총7획, 마을 리; 이장里長, 향리鄕里.
[南]十 총9획, 남녘 남; 남산南山, 강남江南.
[北]匕 총5획, 북녘 북; 북풍北風, 하북河北.
[不]一 총4획, 아니 불; 불량不良, 불가불不可不.
[能]肉 총10획, 능할 능; 능력能力, 가능可能.
[尺]尸 총4획, 자 척; 척도尺度, 장척丈尺.
[傾]人 총13획, 기울 경; 경사傾斜, 좌경左傾.
[邊]辶 총19획, 가 변; 변방邊方, 강변江邊.
[卑]十 총8획, 낮을 비; 비천卑賤, 존비尊卑.
[界]田 총9획, 지경 계; 계한界限, 경계境界.
문장의
구조
감상
1, 2 구 : 동쪽에서 서쪽까지의 거리가 너무 멀기 때문에 몇 만리가 되는지 알 수가 없고, 남쪽에서부터 북쪽까지의 거리 역시 자로는 잴 수 없는 아주 먼 거리임을 보여주고 있다.
3, 4 구 : 이 구절은 좀 유의해서 볼 필요가 있다. 한국의 지형은 동쪽 해안의 융기로 인해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동고서저(東高西低)의 형태를 이루고 있지만 중국의 지형은 이와 반대로 서북쪽이 높고 동남쪽이 낮다. 따라서 한국에서는 강의 흐름도 대체로 동쪽에서 서쪽으로 흐르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중국의 강은 대체로 서쪽에서 동쪽 방향으로 흐르는데, 양자강의 경우 중국의 서쪽에서부터 동쪽으로 흘러 우리나라 서쪽 바다로 유입되는 것이 그 좋은 예이다.
그리고 중국의 서고동저(西高東低)형 지형에 대해 《회남자(淮南子)‧천문훈(天文訓)》, 《국어(國語)‧조어(周語)》, 《사기(史記)》사마정보(司馬貞補)《삼황본기(三皇本紀)》등에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해오고 있다.
아득히 먼 옛날 지금으로부터 약 5, 6천년 전 중국의 대지에는 동쪽에는 이족(夷族), 서쪽에는 강족(羌族), 남쪽에는 묘족(苗族), 북쪽에는 적족(狄族)이 각각 살고 있었다. 그런데 남쪽의 부족과 북쪽의 부족은 별로 두각을 들어내지 못하고 주로 동쪽의 부족인 이족과 서쪽의 부족인 강족이 주도권을 장악해왔다.
동쪽의 이족에는 치우(蚩尤)라는 유명한 두령이 있었는데 그는 네 개의 눈과 여섯 개의 손, 구리로 된 머리, 쇠로 된 이마를 가진 요괴스런 모습을 하고 있었으며, 사람처럼 말을 하고 모래나 돌 등을 먹으며 금으로 만든 무기를 사용했다고 한다. 더구나 거기에 치우는 안개를 뿜어낼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서 전쟁을 할 경우 누구에게나 위협적인 인물이었다.
한편 서쪽의 강족은 황하 중류 일대에 살고 있었는데, 강족에게는 공공(共工)이라는 두령이 있었다고 한다. 그런데 공공이 이끌고 있는 강족은 이따금 홍수를 일으켜 하류에 살고 있는 이족을 괴롭혔다. 이에 참다못해 화가 난 이족의 우두머리인 치우는 그의 독특한 신체적 조건과 안개를 뿜는 조화를 부려 공공 일족을 단번에 두들겨 부숴버리고 말았다. 이에 화가 머리끝까지 치민 공공은 어찌할 줄을 몰라했다. 다시 한번 치우의 기분을 상하게 했다가는 이번엔 제 목숨마저 유지할 수 있을 지도 모르는 일이고, 더구나 치우의 모습을 한 번 본 후로, 더 이상 치우에게 덤벼든다는 것은 스스로 부족의 멸망을 초래하는 일이라고 생각이 들었을 것이다.
하지만 공공의 입장에서 치우에게 두들겨 맞은 것은 생각하면 할수록 분해서 견딜 수 없을 지경이었다. 그러다가 분을 삭이지 못한 공공은 마침내 그의 머리로 부주산(不周山)을 들이받았다. 그러자 하늘을 떠받치고 있던 기둥이 부러져 버리고 땅을 얽어매고 있던 사슬이 끊어지면서 땅덩이가 기울어져 이 때부터 중국의 지형이 서북쪽은 높아져 산이나 고원지대가 되고 동남쪽은 우묵해져 평야지대가 되었다고 한다.〔天傾西北, 故日月星辰移焉, 地不滿東南, 故水, 塵埃歸焉.〕《회남자(淮南子)‧천문훈(天文訓)》
동영상 재생
1 2. 동서기만리요 270

추구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