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推句

추구

범례 |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日月千年鏡이요
江山萬古屛이라
東西日月門이요
南北鴻雁路


해와 달은 천년의 거울이요
강산은 만고의 병풍이로다.
동과 서는 해와 달의 문이요
남과 북은 기러기들의 길이로구나.


신습
한자
[千]十 총3획, 일천 천; 천겁千劫, 염삼천念三千.
[年]干 총6획, 해 년; 연도年度, 명년明年.
[鏡]金 총19획, 거울 경; 경대鏡臺, 명경明鏡.
[江]水 총6획, 강 강; 강하江河, 장강長江.
[古]口 총5획, 옛 고; 고금古今, 만고萬古.
[屛]尸 총11획, 병풍 병; 병풍屛風, 석병石屛.
[門]門 총8획, 문 문; 문궐門闕, 산문山門.
[鴻]鳥 총17획, 기러기 홍; 홍모鴻毛, 비홍飛鴻.
[雁]隹 총12획, 기러기 안; 안항雁行, 서안舒雁.
[路]足 총13획, 길 로; 노정도로路程道路.
문장의
구조
감상
1 구 : 해와 달이 하늘에 있으면서 지상을 비추고 있음을 마치 거울이 사물을 비추고 있는 것처럼 표현했다. “천년의 거울”에서 천년이란 헤아릴 수 없는 아주 오랜 세월을 나타내는 말이다. 따라서 1 구에서는 해와 달이 태고적부터 변함없이 오랜 세월을 그렇게 비추고 있음을 보여준다.
2 구 : 역시 강산이 오랜 세월 변함없음을 표현하면서도, 강산을 병풍에다 비유함으로써 강산을 바라보는 것이 마치 한 폭의 수묵화를 감상하는 듯한 느낌을 준다.
3 구 : 해와 달이 뜨고 지는 것을 보고 표현한 것으로, 해와 달이 뜰 때는 동쪽에서 나와 질 때는 서쪽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동쪽과 서쪽을 해와 달이 드나드는 문에 비유하였다.
4 구 : 기러기는 가을에 남쪽으로 갔다가 봄이 되면 다시 북쪽으로 오는 철새이다. 따라서 봄과 가을에 남쪽과 북쪽을 오가는 기러기를 보고 남쪽과 북쪽을 가리켜 기러기들이 오고 가는 길이라고 표현하였다.
동영상 재생
1 4. 일월천년경이요 176

추구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50 서울시 종로구 삼봉로81, 1332호(두산위브파빌리온)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