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蘇洵(1)

당송팔대가문초 소순(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소순(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風旨翛然이라
內翰侍郎執事 洵以無用之才 久爲天下之棄民하여 行年五十 未嘗見役於世러니
執事獨以爲可收하여 而論之於天子하여 再召之試로되 而洵亦再辭 獨執事之意 丁寧而不肯已
朝廷雖知其不肖 不足以辱士大夫之列하여 而重違執事之意하여 譬之巫醫卜祝 特捐一官以
自顧無分毫之功有益於世 而王命至門 不知辭讓하고 하여 朋友之譏 而苟以爲榮이라
此所以深愧於執事하여 久而不至於門也니이다
然君子之相從 本非以求利 蓋亦樂乎天下之不知其心이나 而或者之深知之也
旣見也 聞其言而信其平生이라
不以身之進退出處之間으로 有謁於執事 而執事 亦不以稱譽薦拔之 有德於洵이러이다
再召而辭也 執事不以爲矯하고 而知其恥於自求로라
一命而受也 執事不以爲貪하고 而知其不欲爲異
其去不追 而其來不拒하고 其大不榮이나 而其小不辱이라
洵之所以自信於心者 而執事擧知之
故凡區區而至門者 爲是謝也
古之君子 重以其身臣人者 蓋爲是也哉
孟軻之徒 至於是國 國君 使人餽之
布衣之尊而至於此 惟不食其祿也
今洵已有名於吏部 執事其將以道取之耶인댄
則洵也猶得以賓客見이라
不然이면 其將與奔走之吏同 此洵所以深自憐也니이다
惟所裁擇하소서


05. 구양내한歐陽內翰에게 세 번째 올린 글
의도意圖가 저절로 잘 나타났다.
내한시랑內翰侍郎 집사執事께. 저는 쓸모없는 재주로 오래도록 천하의 버려진 백성이었으며, 나이 50이 되도록 일찍이 세상의 부림을 받아본 적이 없습니다.
집사께서 유독 거둘 만하다고 생각하시어 천자天子께 논하시어 거듭 불러 시험해보고자 하셨는데 제가 또 거듭 사양하였습니다만, 유독 집사의 뜻이 정중하시어 그치고자 하지 않으셨습니다.
조정朝廷에서 비록 그 불초不肖함을 알지만 사대부士大夫의 반열을 욕보이기에는 부족하다 하여 거듭 집사의 뜻을 어기어, 무의巫醫복축卜祝에 비유하면서 특별히 관직 하나를 내주게 하였습니다.
스스로 돌아보니 세상을 유익하게 한 조금의 공도 없으면서 왕명王命이 문에 이르자 사양할 줄도 모르고 이 간서簡書를 두려워하지도 않아 벗들이 나무랐으나 실로 영광榮光으로 생각했습니다.
이것이 집사께 매우 부끄러워 오래도록 〈집사의〉 대문에 이르지 않은 까닭입니다.
그러나 군자君子상종相從함은 본래 이익利益을 추구함이 아니며, 대개 또한 온 천하가 그 마음을 알지 못하는데도 혹자或者는 그것을 깊이 알아주는 데서 즐거움을 느낍니다.
집사께서는 저에 대해 일면식一面識도 없으면서 그 문장文章을 보시고는 그 마음을 아셨습니다.
뵙자마자 그 말을 들으시고는 그 평생을 믿으셨습니다.
저는 몸이 나아가고 물러나는 계제라 여기지 않고 집사께 아뢰었고, 집사께서도 칭찬하여 추천하고 뽑지 않으셨기 때문에 제게 덕을 베푸셨습니다.
거듭 부름을 받았으나 사양한 것을 집사께서는 가식假飾이라 생각지 않으셨고, 제 스스로 구하는 것을 부끄러이 여긴다는 것을 아셨습니다.
한 번 〈나라에서〉 명을 내림에 받은 것을 집사께서는 탐욕貪慾이라 생각지 않으셨고, 그 하고자 하지 않음이 〈딴 사람들과는〉 다름을 아셨습니다.
떠난 것은 쫓지 않고 오는 것은 막지 않으며, 큰 것을 영화롭게 여기지 않고 작은 것을 욕되이 여기지 않습니다.
이것이 제가 마음속으로 스스로 믿고 있는 것이며, 집사께서도 모두 그렇게 알고 계십니다.
그래서 무릇 구구區區히 〈집사의〉 대문에 이르는 것을 이 때문에 사절하였습니다.
예기禮記》에서 말하기를 “벼슬을 하면서도 아직 국록國祿을 받지 않는 자에게 임금이 음식을 보내는 것을 ‘(드린다)’이라고 하며, 사자使者로 나갔을 때는 ‘과군寡君’이라 하나, 나라를 떠나서 임금이 죽으면 그 장례葬禮에는 을 입지 않는다.”고 하였습니다.
옛날의 군자君子들이 그 몸이 신하臣下가 되는 것을 중히 여긴 것은 아마 이 때문일 것입니다.
자사子思맹가孟軻의 무리가 이 나라에 이르렀을 때 임금이 사람을 시켜 음식을 보내주면서 말하기를 “과군寡君께서 아무개로 하여금 종자從者에게 바치게 하였습니다.”라고 하였습니다.
포의지사布衣之士존귀尊貴함이 이에 이르렀으나 다만 그 녹을 먹지는 않았습니다.
지금 저는 이미 이부吏部에 이름이 올라간 관리官吏가 되었으나 집사께서는 아마도 저를 를 같이하는 사람으로써 취하셨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저는 오히려 빈객賓客의 신분으로 뵐 수 있을 것입니다.
그렇지 않고 장차 분주한 관리들과 함께 집사의 아래에서 쫓아다니는 것, 이것이 제가 깊이 스스로 가련히 여기는 것입니다.
오직 헤아려 택해주시길 바랍니다.


역주
역주1 三上歐陽內翰書 : 蘇洵은 嘉祐 5년(1060) 8월 7일에 秘書省의 試校書郞에 임명되었다. 이 글은 蘇洵이 감사의 뜻으로 올린 것이며, 당연히 이때 지어졌을 것이다. 여기서는 ‘三上’이라고 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蘇洵이 歐陽脩에게 다섯 번째로 올린 글이다.
역주2 : ‘준다’는 뜻이다.
역주3 不畏簡書 : 《詩經》 〈小雅 出車〉에 “어찌 돌아감 생각지 않으리오만 이 簡書를 두려워해서이옵니다.[豈不懷歸 畏此簡書]”라는 구절이 있다. 《詩經集傳》에서 “簡書는 警戒하여 명함이다.[簡書 戒命也]”라 하였다.
역주4 執事之於洵……見其文而知其心 : 至和 2년(1055) 犍爲令 吳照隣이 대궐에 가게 되자 蘇洵은 〈憶山送人〉, 〈送吳職方赴闕引〉을 지어 전송하였다. 蘇軾의 〈跋先君送吳職方引〉에서는 “先伯父(蘇渙) 및 吳公(照隣)은 同榜 급제자이다. 先君은 집에 거처하여 사람들이 잘 알지 못하였다. 공이 그 글을 지니고 서울로 가니 歐陽文忠公께서 비로소 만나보고 알게 되었다.”라 하였다.
역주5 禮曰……弗爲服也 : 《禮記》 〈檀弓 下〉에 나오는 말이다. 이 일단의 내용은, 신하로서 벼슬을 하였으나 이미 國祿을 받은 사람과, 벼슬은 하였으나 아직 국록을 받지 않은 사람의 차이를 말하는데, 앞의 두 가지는 국록을 받았거나 받지 않았거나 똑같으나, 세 번째 것은 다르다는 것을 말한다. 국록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임금의 은혜를 그만큼 못 입었다는 뜻이다.
역주6 子思 : 이름은 伋이다. 孔子의 손자이며, 孔鯉의 아들이다. 일찍이 魯 繆公의 스승이 되었으며, 《子思》 23편을 지었으나 唐나라 이후 실전되었다.
역주7 其詞曰 寡君使某有獻於從者 : 《儀禮》 〈燕禮〉에 “寡君께서 薄酒를 차려놓고 그대를 청하였습니다.[寡君有不腆之酒 以請吾子]”라는 말이 있다.
역주8 趨於下風 : 윗사람 앞에서 굽신거리는 것을 이른다. 下風은 바람이 불어오는 아래라는 뜻으로 아랫사람이 윗사람 앞에서 자신을 謙讓하는 말이다.

당송팔대가문초 소순(1)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