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蘇洵(1)

당송팔대가문초 소순(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소순(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蘇洵 明允이요 이라
年二十七 始發憤爲學하여 擧進士及이나 皆不中한대 悉焚常所爲文하고 閉戶益讀書하여 遂通六經百家之說하여 下筆頃刻數千言하니라
與二子軾轍來京師하니 翰林學士歐陽脩 上其所著文二十二篇하니라
旣出 士大夫爭傳之하고 一時學者競效蘇氏爲文章하니라
宰相韓琦奏于朝하여 한대 辭疾不至하니 遂除秘書省校書郞이라
乃以爲霸州文安縣主簿하여 與陳州項城令姚闢으로 同修禮書하여 爲太常因革禮一百卷하니라
書成하여 方奏未報하니 年五十八이라
賜其家縑銀二百이러니 軾辭所賜하고 求贈官하여 特贈光祿寺丞이라
有文集二十卷 諡法三卷이라


소문공蘇文公전기傳記
소순蘇洵은 자가 명윤明允이고 미산眉山 사람이다.
27세에 비로소 분발하여 학문을 닦아 진사과進士科무재이등茂才異等에 응시하였으나, 모두 합격하지 못하자 평소에 지은 글들을 모두 불태워버리고 문을 걸어 잠그고 더욱 독서讀書에 전념하여, 마침내 육경六經제자백가諸子百家의 설에 통달하여 붓을 잡으면 잠깐 사이에 수천 의 글을 지어내었다.
지화至和가우嘉祐 연간에 소식蘇軾소철蘇轍 두 아들과 함께 서울에 올라오니, 한림학사 구양수歐陽脩소순蘇洵이 지은 글 22편을 천자天子(혹은 재상 한기韓琦)께 올렸다.
그의 글이 세상에 나오자 사대부들이 앞다투어 전하고, 한동안 학자들이 소씨蘇氏가 지은 문장을 경쟁하듯이 모방하였다.
재상 한기韓琦가 조정에 아뢰어 사인원舍人院에 불러 시험을 보게 하였는데 병으로 사양하고 이르지 아니하니, 마침내 비서성교서랑秘書省校書郞의 관직을 제수하였다.
때마침 태상시太常寺에서 건륭建隆 이래의 예서禮書를 편찬하고 있었다.
이에 패주霸州문안현주부文安縣主簿로 삼아서 진주陳州항성령項城令요벽姚闢과 함께 예서를 편찬하게 하여 《태상인혁례太常因革禮》 100권을 만들었다.
책이 완성되자 바야흐로 주달하여 회보가 내려오기 전에 죽으니 58세였다.
천자께서 그의 집에 합사비단과 은 200냥을 하사하였으나, 소식이 하사한 물건을 사양하고 관직을 증직해줄 것을 요구하여 특별히 광록시승光祿寺丞의 관직을 증직받았다.
문집文集 20권과 《시법諡法》 3권이 있다.


역주
역주1 蘇文公本傳 : 이 글은 《宋史》 권443의 〈文苑列傳〉 5에 수록된 蘇洵의 列傳 내용을 요약한 것이다.
역주2 眉山 : 지금의 四川省에 속하는 縣名이다.
역주3 茂才異等 : 지방의 수재를 중앙정부에 천거하여 시험을 보이는 제도인 貢擧 과목의 하나로 漢 武帝 때에 처음 시작하였으며, 宋 仁宗 天聖 7년(1029)에 조칙을 내려 제도를 두었다. 蘇洵이 1년 남짓 공부하여 29세에 시험을 보았으나 합격하지 못하였다.
역주4 至和嘉祐 : 至和(1054~1055)와 嘉祐(1056~1063)는 宋 仁宗의 연호이다.
역주5 召試舍人院 : 召試는 천자의 앞에서 시험을 보게 한 제도이고, 舍人院은 中書舍人과 知制誥가 황제의 誥命을 맡아보는 곳이다.
역주6 會太常修纂建隆以來禮書 : 太常은 禮樂‧郊廟‧社稷 등을 맡아보던 관청인 太常寺를 말하고, 乾隆(960~962)은 宋 太祖의 연호이다.

당송팔대가문초 소순(1)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