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柳宗元(1)

당송팔대가문초 유종원(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유종원(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子厚集中最佳處
有溪焉하니 東流入于
或曰 冉氏嘗居也 故姓是溪曰冉溪라하고 或曰 可以染也일새
名之以其能이라 故謂之染溪라하니라
余以愚觸罪하여 謫瀟水上하니
愛是溪하여 入二三里 得其尤絶者家焉하니라
古有이러니
今余家是溪하되 而名莫能定하고 土之居者猶齗齗然하니 不可以不更也
故更之爲愚溪하니라
愚溪之上 買小丘爲愚丘하고 自愚丘東北行六十步하여 得泉焉하여 又買居之하니 爲愚泉이라
愚泉凡六穴 皆出山下平地하니 蓋上出也
合流屈曲而南하여 爲愚溝
遂負土累石塞其隘하여 爲愚池하고 愚池之東 爲愚堂이요 其南爲愚亭이며 池之中爲愚島하니라
嘉木異石錯置하여 皆山水之奇者어늘 以余故咸以愚辱焉하니라
夫水 智者樂也어늘 今是溪獨見辱於愚 何哉
蓋其流甚下하여 不可以灌漑 又峻急多坻石하여 大舟不可入也
幽邃淺狹 蛟龍不屑하여 不能興雲雨
無以利世하여 而適類於余하니 然則雖辱而愚之라도 可也니라
智而爲愚者也 睿而爲愚者也 皆不得爲眞愚
今余遭로되 故凡爲愚者莫我若也니라
夫然則天下莫能爭是溪하여 余得專而名焉이라
溪雖莫利於世하여 能使愚者喜笑眷慕하고 樂而不能去也하나니
余雖不合於俗이나 亦頗以文墨自慰하니 漱滌萬物하며 牢籠百態하여 而無所避之
歌愚溪 則茫然而不違하고 昏然而同歸하여하고하여 寂寥而莫我知也리라
於是作八愚詩하여 紀於溪石上하노라
古來無此調
陡然創爲之하여 指次如畫


04. 〈우계시愚溪詩〉의 서문
자후子厚의 문집 속에서 가장 아름다운 부분이다.
관수灌水의 북쪽에 시내가 있는데 이 시내가 동쪽으로 흘러 소수瀟水로 들어간다.
혹자는 말하기를 “염씨冉氏가 일찍이 이곳에 거주하였으므로 이 시내에 그 성을 붙여 염계冉溪라 한다.” 하고, 혹자는 “이 물로 염색染色을 할 수가 있다.
그 기능을 가지고 이름을 지었기 때문에 염계染溪라 한다.” 하였다.
나는 어리석음으로 인해 죄를 범하여 소수瀟水 가로 폄적貶謫되었다.
나는 이 시내를 사랑하여 2, 3리를 더 들어가 경치가 특별히 좋은 곳을 찾아서 거주하게 되었다.
옛날에 우공곡愚公谷이란 것도 있었다.
그런데 지금 나는 이 시냇가에 거주하면서도 이름을 확정하지 못하였고, 이 고장에 사는 자들 또한 〈시내 이름에 대해〉 논쟁이 끊이지 않고 있으니 이름을 변경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래서 그 이름을 우계愚溪라 하였다.
우계愚溪의 위쪽에 작은 언덕을 사서 우구愚丘를 만들고, 우구愚丘로부터 동북쪽으로 60보를 가서 샘물을 얻었기에 또 이곳을 사들여 우천愚泉이라 이름하였다.
우천愚泉은 샘구멍이 모두 여섯 개로 모두 산 아래 평지에 있으니, 이 물은 분명 지하에서 솟아나오는 것이었다.
샘물이 합류하여 구불구불 남쪽으로 흘러가는데 이곳을 우구愚溝라 불렀다.
마침내 흙을 져오고 돌을 쌓아 그 좁은 곳을 막아 우지愚池를 만들었으며, 우지愚池의 동쪽에는 우당愚堂을 세우고, 그 남쪽에는 우정愚亭을 세우는가 하면, 못 중앙에는 우도愚島를 만들었다.
이곳에는 아름다운 수목樹木과 기이한 돌이 여기저기 배치되어 있어 모두 보기 드문 산수의 경물인데, 나로 인해 모두 ‘’라는 이름자로 모욕을 당하게 되었다.
물은 지혜로운 자가 좋아하는 것인데, 지금 이 시내만 유독 ‘’라는 이름으로 모욕을 당했으니, 이는 어째서인가?
이 시내는 그 수위水位가 매우 낮아서 관개灌漑에 이용할 수 없고, 또 흐름이 빠른데다가 도처에 솟아나온 돌이 많아 큰 배가 들어갈 수 없다.
그리고 지역이 외지고 물길이 좁고 얕아서 교룡이 눈 안에 들지 않음으로써 이 물을 이용해 구름을 일으키고 비를 만들지 못한다.
이 시내는 이처럼 세상 사람을 이롭게 하지 못하여 마침 나와 비슷하니, 그렇다면 비록 모욕하여 그를 어리석다 하여도 괜찮을 것이다.
영무자甯武子가 나라가 가 없으면 어리석었던 것은 지혜로우면서 어리석음을 위장한 자이고, 안자顔子가 종일토록 상반된 의견을 제기하지 않아 어리석은 사람과 같았던 것은 이 또한 밝으면서 어리석음을 위장한 자이니, 이들은 모두 진정한 어리석음이라고 할 수 없다.
지금 나는 태평한 세상을 만났으면서도 〈나의 언행言行이〉 도리를 어기고 일을 잘못 처리하였으므로 이 세상에 나만큼 어리석은 자가 없다.
그렇다면 〈이 시내를 차지하기 위해〉 세상 사람 중에 나와 서로 다툴 자가 아무도 없을 것이므로, 오직 나만이 이 시내를 독차지하여 어리석다는 글자로 이름을 지을 수 있는 것이다.
이 시내가 세상 사람을 이롭게 해주지는 못하지만 기능은 만물의 형상을 잘 비추고, 본질은 맑고 밝고 투명하며, 흘러 내려가는 소리는 석경石磬처럼 곱고 낭랑하여, 능히 나처럼 어리석은 자로 하여금 기뻐서 웃고 사모하게 하고, 즐거워 떠나가지 못하게 한다.
내 비록 세속에 적응하지는 못하지만 그래도 문장을 지어 나 자신을 위로하니, 각종 사물의 때를 헹궈내고 천태만상千態萬象을 포착하여 기피하는 일이 없다.
나의 어리석은 말로 우계愚溪를 노래한다면 〈서로의 구분이〉 모호하여 어긋나지 않고 혼연히 한 덩어리가 되어서는 자연의 원기元氣를 초월하고 아무런 인식이 없는 경지와 융합함으로써, 공허하고 적막하여 더 이상 나 자신의 존재조차 의식하지 못할 것이다.
이에 나는 〈팔우시八愚詩〉를 지어 시냇가의 돌 위에 새겼다.
옛날에는 이와 같은 격식이 없었다.
돌연 새로운 격식을 창출하여 논리를 전개하는 것이 마치 그림 같다.


역주
역주1 愚溪詩序 : * 작자가 永州司馬로 있을 때인 元和 5년(810)경에 쓴 작품이다. 〈愚溪詩〉는 바로 〈八愚詩〉이다. 元和 4년에 京兆尹 許孟容 등 몇 사람에게 편지를 보내 자기의 죄가 경감되거나 사면되어 永州에서 빠져나갈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부탁하였으나 기대했던 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래서 조정으로 돌아갈 희망을 단념하고 元和 5년에 冉溪에서 토지를 구입하여 집을 짓고 장기간 거주할 준비를 하였다. 그는 冉溪를 愚溪라고 이름을 바꿈과 동시에 그 주위의 언덕[丘]‧샘[泉]‧도랑[溝]‧못[池]‧집[堂]‧정자[亭]‧섬[島]에다가 일률적으로 ‘愚’자를 붙여 이름을 짓고, 〈八愚詩〉를 지어 시냇가의 돌 위에 새긴 뒤에 이 서문을 썼다. 이 글은 ‘愚’ 한 글자를 가지고 다각도로 설명하는 수법을 구사하여 여덟 가지 경물에 ‘愚’를 붙인 이유를 설명하고, 조정에서 쫓겨나 貶謫된 처지에 놓인 자신의 억울하고 불만스러운 감정을 토로하였다.
역주2 灌水之陽 : 灌水는 湘江의 지류로, 지금의 廣西 壯族自治區 동북부에 있다. 陽은 강물의 북쪽을 말한다.
역주3 瀟水 : 이 또한 湘江의 지류로, 湖南 零陵縣에 있다. 灌水와 함께 모두 당시 永州의 관할 경내에 있다.
역주4 愚公谷 : 山東省 淄博市 서쪽에 있는 지명이다. 齊 桓公이 산골짜기에서 사슴을 사냥하던 중에 지혜롭게 보이는 한 노인을 만나 그 골짜기의 이름을 묻자, “여기는 愚公谷입니다.” 하였다. 그리고 그 이유를 설명하기를, 이웃사람이 자기를 어리석다고 여겼기 때문에 자기가 사는 곳이 그렇게 불리게 되었다고 하였다. 《說苑 政理》
역주5 甯武子邦無道則愚 : 甯武子는 春秋 때 衛나라 대부 甯兪이다. 《論語》 〈公冶長〉에 “甯武子가 나라에 도가 있으면 지혜로웠고, 나라에 도가 없으면 어리석었다.” 하였다.
역주6 顔子終日不違如愚 : 《論語》 〈衛靈公〉에 나온다.
역주7 有道 : 태평한 세상을 가리킨다.
역주8 違於理 悖於事 : ‘違’와 ‘悖’는 모두 어긋난다는 뜻으로, 互文이다. 互文이란, 같은 의미의 다른 글자를 마주 대해 사용하여 같은 글자가 중복되는 것을 피하는 것으로, 문장 속에서 흔히 보이는 일종의 修辭法이다.
역주9 善鑑萬類……鏘鳴金石 : 愚溪의 장점을 말한 것이지만, 작자 자신의 재능을 암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善鑑萬類는 식견이 넓고, 淸瑩秀徹은 지혜가 밝고, 鏘鳴金石은 문장이 뛰어난 것을 의미한다. 金石은 악기로, 鍾과 石磬이다.
역주10 愚辭 : 〈八愚詩〉를 가리킨다.
역주11 鴻蒙 : 元氣와 같은 말로, 天地가 나누어지기 이전의 混沌의 기운 내지 혼돈상태를 가리킨다.
역주12 希夷 : 《老子》에 “보아도 보이지 않는 것을 夷라 하고, 들어도 들리지 않는 것을 希라 한다.”라고 한 데서 나온 말로, 허무하고 적막하여 형체와 정신을 모두 망각하는 세계를 가리킨다.

당송팔대가문초 유종원(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