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柳宗元(2)

당송팔대가문초 유종원(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유종원(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借石之瑰瑋하여 以吐胸中之氣
自西山道口徑北하여 踰黃茅嶺而下 有二道하니
其一西出 尋之無所得하고
其一少北而東하여 不過四十丈 土斷而川分하고 有積石橫當其垠이라
其上爲之形하고 其旁出堡塢하여 有若門焉이라
窺之正黑하고 投以小石이면 有水聲하여 其響之激越 良久乃已
環之可上이요 望甚遠하고
無土壤이나 而生嘉樹美箭하여 益奇而堅이라
其疏數偃仰 類智者所施設也
吾疑造物者之有無久矣
及是 愈以爲誠有
又怪其不爲之於中州하고 而列是夷狄하며
更千百年不得一售其伎하니勞而無用이라
神者儻不宜如是리니 則其果無乎인저
或曰 以慰夫賢而辱於此者라하고 或曰 其氣之靈 不爲偉人하고 而獨爲是物이라
少人而多石이라하니
是二者 余未信之로라


09. 소석성산小石城山을 유람한 기문
바위의 진기한 경관을 빌려 가슴속의 패기霸氣를 토로하였다.
서산西山으로 가는 길 입구로부터 곧바로 북쪽으로 가서 황모령黃茅嶺을 넘어 내려가면 길이 두 갈래가 있다.
하나는 서쪽으로 났는데 따라가보아도 별다른 풍경이 없다.
다른 하나는 약간 북쪽으로 치우쳤다가 또 방향을 꺾어 동쪽으로 났는데, 40을 넘어가기 전에 한 줄기 강물에 의해 길이 끊기고 하나의 석산石山이 길이 끝나는 곳에 가로막고 서 있다.
석산石山의 정상에는 천연天然으로 이루어진 성가퀴와 기둥 같은 모습을 한 것이 있고, 그 옆에는 또 보루 같은 바위가 튀어나왔고 거기에 문처럼 생긴 동굴이 있었다.
그 안을 들여다보니 아주 껌껌하였고 작은 돌을 던져보니 첨벙하는 물소리가 났는데, 그 울림이 맑았으며 한참이 지나서야 소리가 사라졌다.
쌓인 바위들을 부여잡고 돌면 정상까지 올라갈 수 있고 거기서는 먼 곳을 바라볼 수가 있다.
산 위에는 흙이 없는데도 구경할 만한 수목樹木과 대나무가 자라고 있는데 모두 모양이 기이하고 수목의 질감이 단단하였다.
이것들은 그 분포된 모양이 드물기도 하고 촘촘하기도 하며 높기도 하고 낮기도 하여 마치 인공적으로 특별히 배치한 것 같았다.
아, 나는 조물주造物主의 존재에 대해 의심한 지 오래되었다.
그런데 여기에 와서 보고는 조물주造物主가 정말로 존재하는 것이 아닌가 하고 여기게 되었다.
그러나 또 이상한 것은 왜 중원中原에 이런 것을 만들지 않고 이곳 미개지에 만들었는가 하는 것이다.
더욱이 천백 년이 지나도록 한 차례도 그 재주를 남에게 드러내 보이지 않았으니 수고만 하고 쓸모가 없는 것이다.
이라면 그러지 말았어야 할 것이니, 그렇다면 은 실재 존재하지 않는 것이 아닌가?
어떤 사람은 말하기를 “하느님이 이처럼 안배한 것은 이 아름다운 경물로 이 지방에 축출된 현인賢人을 위로하기 위해서이다.”라고 하고, 어떤 사람은 “그 신령스런 기운은 위인偉人을 만들지 않고 단지 이런 경관만 만든다.
그래서 지방 이남에는 인물은 적고 바위가 많다.”라고 한다.
그러나 나는 그런 말들은 믿지 않는다.


역주
역주1 : 永州八記 가운데 마지막 작품이다. 연구자 중에는 문장의 風格이 처음 네 편과 비슷하고 小石城山의 위치가 西山과 가깝다는 이유로, 그 저작시기를 〈西山記〉를 썼던 元和 4년(809)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小石城山은 零陵縣 서쪽 3리 지점에 있는 작은 산굽이로, 西山이 위치한 黃茅嶺의 북쪽에 있다. 문장의 앞부분에서는 小石城山의 기이한 경관을 묘사하였고, 뒷부분에서는 경관을 빌려 감정을 표현하였다. 아름다운 명승지가 세상에 매몰되어 드러나지 않는 것을 가지고 자기가 經國濟世의 재능을 지녔으면서도 부당하게 세상에서 소외되어 변방에 칩거함으로써 영웅이 제 구실을 하지 못하는 데에 비유하였다.
역주2 睥睨梁欐 : 睥睨는 성 위에 쌓은 낮은 담을 이르는데, 여기에 몸을 숨기고 적을 공격하거나 감시한다. 梁欐는 ‘梁麗’로도 쓰는데, 梁은 대들보이고 麗는 마룻대이다.
역주3 洞然 : 물속에 돌을 던졌을 때 나는 첨벙 소리의 의성어이다.
역주4 (故)[固] : 저본에는 ‘故’로 되어 있으나, 《柳河東集》에 근거하여 ‘固’로 바로잡았다.
역주5 楚之南 : 永州 일대를 가리킨다. 永州가 戰國 때는 楚나라의 남쪽에 위치하였다.

당송팔대가문초 유종원(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