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柳宗元(2)

당송팔대가문초 유종원(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유종원(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較之昌黎原毁컨대 文當退一格이나
然亦多雋辭
凡人之獲謗譽於人者 亦各有道
在下位則多謗하고 在上位則多譽하며 在下位則多譽하고 在上位則多謗하나니
何也
君子宜於上不宜於下하고 小人宜於下不宜於上하니 得其宜則譽至하고 不得其宜則謗亦至하니
此其凡也
然而君子遭亂世하여 不得已而在於上位 則道必咈於君이나 而利必及於人하니
由是謗行於上而不及於下
故可殺可辱而人猶譽之
小人遭亂世而後得居於上位 則道必合於君이나 而害必及於人하니
由是譽行於上而不及於下
故可寵可富而人猶謗之
君子之譽 非所謂譽也 其善顯焉爾 小人之謗 非所謂謗也 其不善彰焉爾니라
然則在下而多謗者 豈盡愚而狡也哉 在上而多譽者 豈盡仁而智也哉
其謗且譽者 豈盡明而善褒貶也哉리오
然而世之人聞而大惑이라
出一庸人之口 則群而郵之하고 且置於遠邇하니 莫不以爲信也
豈惟不能褒貶而已리오
則又蔽於好惡하고 奪於利害하니 吾又何從而得之耶
善人者之難見也 則其謗君子者爲不少矣 其謗孔子者亦爲不少矣
時之顯貴者也 其不可記者 又不少矣
是以在下而必困也
及乎遭時得君而處乎人上하여 功利及於天下 天下之人皆歡而戴之하여 向之謗之者 今從而譽之矣
是以在上而必彰也니라
或曰 然則聞謗譽於上者 反而求之 可乎
是惡可리오
無亦徵其所自而已矣
其所自善人也 則信之하고 不善人也 則勿信之矣니라
苟吾不能分於善不善也 則已耳어니와 如有謗譽乎人者 吾必徵其所自 未敢以其言之多而擧且信之也
其有及乎我者 未敢以其言之多而榮且懼也
苟不知我而謂我이면 吾又安取懼焉이며 苟不知我而謂我仲尼 吾又安取榮焉이리오
知我者之善不善 非吾果能明之也
要必自善而已矣


07. 비방과 칭찬
한창려韓昌黎의 〈원훼原毁〉와 비교할 때 문장의 수준은 한 등급이 떨어진다.
그러나 뛰어난 구절 또한 많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남에게서 비방이나 칭찬을 받는 데에는 또한 각기 그 이유가 있다.
군자君子는 아랫자리에 있으면 비방을 많이 받고 윗자리에 있으면 칭찬을 많이 받으며, 소인小人은 아랫자리에 있으면 칭찬을 많이 받고 윗자리에 있으면 비방을 많이 받는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
군자는 윗자리가 적합하고 아랫자리는 적합하지 않으며, 소인은 아랫자리가 적합하고 윗자리는 적합하지 않으니, 적합한 자리를 얻으면 칭찬이 오고 적합한 자리를 얻지 못하면 비방이 오기 때문이다.
이것이 일반적인 상황이다.
그러나 군자가 난세亂世를 만나 어쩔 수 없이 윗자리에 있게 되면 그의 주장이 반드시 군주와 어긋나는 반면에 이로움이 반드시 백성에게 미친다.
이로 인해 비방이 위에서 행해지고 아래에서는 행해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죽임을 당하고 모욕을 받을 수는 있으나 백성들은 오히려 그를 칭찬한다.
소인이 난세를 만나 윗자리에 있게 되면 그의 주장이 반드시 군주와 부합되는 반면에 해로움이 반드시 백성에게 미친다.
이로 인해 칭찬은 위에서 행해지고 아래에서는 행해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총애를 받고 부귀해질 수는 있으나 백성들은 오히려 그를 비방한다.
군자에 대한 칭찬은 그저 입으로만 하는 칭찬이 아니라 그의 선행을 선양하기 위한 것이고, 소인에 대한 비방은 그저 입으로만 하는 비방이 아니라 그의 악행을 폭로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니 아랫자리에 있으면서 비방을 많이 받는 사람이 어찌 모두 어리석고 교활하겠으며, 윗자리에 있으면서 칭찬을 많이 받는 사람이 어찌 모두 어질고 지혜롭겠는가.
그리고 칭찬하거나 비방하는 자들이 어찌 또 모두 시비是非를 분명히 가려 제대로 포폄襃貶을 한 것이겠는가.
그런데도 세상 사람들은 그 평가를 듣고 크게 현혹된다.
일개 평범한 사람의 입에서 한번 말이 나오면 무리를 지어 그 말을 전하고 원근에 널리 퍼트리니, 그렇게 되면 그 말을 진실로 여기지 않는 이가 없다.
그러나 그들은 어찌 합당한 평가를 못하는 그뿐이겠는가.
더욱이 개인의 호오好惡에 가려지고 개인의 이해利害에 좌우되니, 우리가 또 어떻게 이와 같은 소문을 근거로 참된 정황을 알 수 있겠는가.
공자孔子께서 말씀하기를 “마을 사람 중에 선한 이가 좋아해주고 선하지 않은 이가 미워하는 것보다 못하다.”라고 하였다.
선한 자를 만나기 어려우니 군자를 비방한 자가 적지 않을 것이며, 공자孔子를 비방한 자도 적지 않았을 것이다.
에 기록된 숙손무숙叔孫武叔은 당시에 지위가 높고 귀한 사람이었고, 기록되지 않은 자 또한 적지 않을 것이다.
이러므로 군자가 아래에 있으면 반드시 곤경을 당한다.
하지만 때를 만나고 군주의 신임을 얻어 사람들의 위에 있어서 그 공적과 혜택이 온 천하에 미치는 그런 경우가 되면, 천하의 사람들이 모두 좋아하고 존경하여, 이전에 비방했던 자들도 그때가 되어서는 따르고 칭찬한다.
이러므로 군자가 위에 있으면 반드시 명예名譽가 드러난다.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그렇다면 윗자리에서 비방이나 칭찬을 들었을 때 자신에게 돌이켜 그 원인을 찾는다면 되겠는가?” 하였다.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이 대답하였다.
“그것이 어찌 옳겠는가.
그 평가가 누구에게서 나왔는가를 알아보면 그뿐이다.
그 평가가 좋은 사람의 입에서 나왔다면 믿고 나쁜 사람의 입에서 나왔다면 믿지 말아야 할 것이다.
진정 우리가 그 사람이 좋은지의 여부를 구분할 수 없다면 그만이지만, 〈그렇지 않다고 하자.〉 만약 다른 어떤 사람이 비방이나 칭찬을 듣는 일이 발생했을 때 우리들은 반드시 그 평가가 어떤 성향의 사람에게서 나왔는가를 알아보아야지, 무턱대고 감히 그런 말을 한 자들의 숫자가 많다고 하여 그 평가를 지지하거나 믿어서는 안 될 것이다.
그리고 우리 자신에게 그와 같은 일이 있을 때도 감히 그런 말을 한 자들의 숫자가 많다고 하여 영예롭게 여기거나 두려워해서도 안 될 것이다.
만약 나를 모르면서 나보고 도척盜跖이라고 한다면 내가 또 어찌 두려워하겠으며, 또 나를 모르면서 나를 공자孔子라고 한다면 내가 또 어찌 영예롭게 여기겠는가.
하지만 나를 아는 자가 좋은 사람인지 나쁜 사람인지는 우리가 사실 분명히 알 수 있는 일은 아니다.
한마디로 요약한다면 반드시 우리 자신의 행위를 스스로 올바르게 하면 그만이다.”


역주
역주1 : 永州司馬로 있던 기간에 쓴 작품이다. 비방과 칭찬이 생기는 원인을 심도 있게 분석하고 그에 상응하는 대책을 아울러 제시하였다. 永貞 원년(805)에 정치개혁이 실패한 뒤에 작자는 정적을 위시한 주변 사람들로부터 혹독한 공격과 비방을 받았는데, 그 상황이 몇 년이 지난 뒤에까지 이어졌다.
이 작품은 그와 같은 맹목적인 비방에 대한 반격이라 할 수 있다. “나를 제대로 알지 못하면서 나를 盜跖이라고 한다면 내가 어찌 두려워하겠으며, 또 나를 잘 모르면서 나를 仲尼라고 한다면 내가 또 어찌 영광으로 받아들이겠느냐.”고 하면서, 선하지 않은 자가 비방하거나 칭찬하는 것은 그 정도가 아무리 혹독하고 거창하더라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없다고 하였다.
역주2 君子 : 여기서는 권력계층에서 公益을 중시하는 정직한 사람을 가리킨다.
역주3 小人 : 여기서는 권력계층에서 私的인 세력과 이익을 추구하는 사람을 가리킨다.
역주4 孔子曰……其不善者惡之 : 《論語》 〈子路〉에 나온다. 어떤 사람에 대해 고을 사람들이 다 함께 좋다고 말하거나 나쁘다고 말하는 것보다는, 고을 사람 가운데 좋은 사람이 좋다고 말하고 나쁜 사람이 나쁘다고 말하는 것이 더 낫다는 뜻이다.
역주5 傳之記者 叔孫武叔 : 傳은 《論語》를 가리킨다. 叔孫武叔은 춘추 때 魯나라 대부 州仇로, 季孫氏‧孟孫氏와 함께 세력이 강성했다. 《論語》 〈子張〉에 “叔孫武叔이 仲尼를 비방하자, 子貢이 말하기를 ‘그러지 말라. 仲尼는 비방할 수 없다. 다른 사람의 어진 덕은 언덕과 같아 넘어갈 수 있으나, 仲尼는 해와 달 같아서 넘어갈 수 없다.”라고 하였다.
역주6 盜跖 : 春秋 때 魯나라 사람으로, 魯나라 대부 柳下惠의 아우이다. 불순한 무리 수천 명을 모아 천하를 휩쓸고 다니면서 제후들을 침해하였다고 한다.

당송팔대가문초 유종원(2)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