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註解千字文

주해천자문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주해천자문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4‧5‧98 獨運이라가 (遊鯤獨●運◑이라가 凌摩絳◑霄◎)
莊周所謂北溟之魚 其遊也獨運於滄海
鯤化爲鳥하면 其名曰鵬이니 背負靑天하여 一飛九萬里하니 卽凌摩絳霄也
喩人之飛騰潛運 各有時也


노니는 鯤魚는 홀로 바다에서 옮겨 다니다가, 붕새 되어 붉은 하늘에 솟구쳐 다다른다.
鯤은 莊子(莊周)가 말한 北溟(北海)의 물고기이니, 이것이 놀 때에는 홀로 푸른 바다에서 옮겨 다닌다.
鯤은 俗本에 鵾으로 되어 있는데, 誤字이다.
鯤이 변하여 새가 되면 그 이름을 붕새라 하는데, 등에 푸른 하늘을 지고 한 번에 9만 리를 나르니, 바로 붉은 하늘[絳霄]에 솟구쳐 다다르는 것이다.
이는 사람이 날아오르듯 할 때와 침체되는 운수가 각각 때가 있음을 비유한 것이다.
[節旨] 이것은 윗 節의 ‘홀로 살아 한가롭게 居處하는[索居閒處]’ 것을 이어서 말하였으니, 바로 야외 물가의 景物이다.(《釋義》)
[節解] 이는 “야외 물가 중에 시내에는 선명한 연[荷]이 있고, 과수원에는 가지가 뻗어나는 풀이 있고, 枇杷는 연말에도 오히려 무성하고, 梧桐은 가을을 맞아 앞서서 떨어진다. 뿌리가 썩은 것은 버려져서 스스로 죽고, 잎이 시든 것은 바람을 따라 나부낀다. 鯤鳥가 노니는 것에 있어서는 홀로 하늘가에 옮겨 다니면서 허공을 올라 붉은 하늘 위에 이르렀다. 그 풀‧나무와 새‧짐승의 아름다움이 이와 같아서 홀로 살아 ‘한적히 거처하는 즐거움[索居閒處]’을 보게 된다.”고 말한 것이다.(《釋義》)


역주
역주1 : 游(놀 유)와 같다.(《註解》)
역주2 : 《註解》는 바다에서 옮겨 움직이는 동물로 보아 ‘물고기’로 풀이하였고, 《釋義》는 바다 물고기가 새로 되어 하늘에서 옮겨 움직이는 동물로 보아 ‘새’로 풀이하였다.
역주3 : 淩(솟구쳐오를 릉)과 통한다.(《中》)
역주4 遊鯤獨運 凌摩絳霄 : 鯤은 새 이름이다. 運은 옮겨 움직임이다. 凌은 그 위로 나아감이다. 摩는 가까이한다는 뜻이다. 絳은 적색이다. 霄는 《爾雅》에 말하기를 “하늘 기운에 가까운 것이다.” 하였다.(《釋義》)
역주5 鯤俗本作鵾誤 : 鵾(곤계 곤)은 “鵾은 鵾鷄이다. 고대에 鶴과 비슷한 일종 새를 가리킨다.”(《漢》)하여, 鵾鷄라는 새가 本義이다. 그러나 또 鵾(곤어 곤)은 鯤과 同字 관계를 인정하여 “鵾은 鯤과 동일하게 사용한다. 큰 물고기이다.”(《漢》) 하였다. 鵾은 鯤의 오자라고 하기보다는 假借로 처리하여 通用字로 인정해야 할 것이다.
신습
한자
遊:놀 유 遊樂 遊說(세) 遊學 外遊 遊衣遊食 三日遊街
鯤:곤어 곤 鯤鱗 鯤鵬 鯤魚 鯤鮞 鯤絃 北溟鯤 鯤化爲鵬
獨:홀로 독 獨立 獨學 孤獨 單獨 獨不將軍 獨守空房
運:움직일 운 運動 運命 運用 運轉 運行 幸運 運到時來
凌:얼음 릉/업신여길 릉/솟구쳐오를 릉 凌駕 凌辱 凌雲 凌人 凌遲處斬 凌霄之志
摩:만질 마/이를 마 摩民 摩擦 撫摩 按摩 揣摩 摩天樓 摩頂放踵
絳:붉을 강 絳灌 絳裳 絳脣 絳裳 絳被 淺絳 絳衣大冠
霄:하늘 소 霄壤 凌霄 碧霄 雲霄 遠霄 澄霄 淸霄 寒霄
동영상 재생
1 4·5·98 유곤독운이 … 278

주해천자문 책은 2023.12.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