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註解千字文

주해천자문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주해천자문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5‧25 이라 (墨●悲絲染◑하고 詩讚◑羔羊◎이라)
墨翟也
見染絲而悲하니 謂人性本善이로되 誘於習染하여 而爲不善 如絲本白而今黑하여 不可復白也
羔羊 詩召南篇名이니 美南國大夫被文王化而節儉正直이라
此二句 言人性易移하여 可惡可善也


墨子는 실이 물들 듯 나빠지는 것을 슬퍼하였고, 《詩經》에서는 〈羔羊〉편의 〈節儉과 正直을〉 찬미하였다.
墨은 墨翟이다.
묵적은 실을 물들이는 것을 보고 슬퍼하였으니, 사람의 性은 본래 착하나 습관과 물든 것에 이끌려 착하지 않은 일을 하는 것이, 마치 실이 본래 희지만 지금 검어져서 다시 희어질 수 없음과 같음을 말한 것이다.
〈羔羊〉은 《詩經》 〈召南〉의 편명이니, 南國의 大夫가 文王의 교화를 입어 節儉하고 정직함을 찬미한 것이다.
이 두 글귀는 人性은 바뀌기 쉬워 악해질 수도 있고 착해질 수도 있음을 말한 것이다.
[節旨] 이는 五常을 수련하는 사람은 純一하여 섞이지 않으려 한다는 것을 말하였다.(《釋義》)


역주
역주1 墨悲絲染 詩讚羔羊 : 墨은 성이고 이름이 翟이다. 悲는 애통하여 울음이다. 絲는 누에가 토한 것이다. 색깔이 있는 것을 흰 것에 더한 것을 染이라 한다.
墨翟이 실을 물들이는 것을 보고 말하기를 “푸른색에 물들이면 푸르게 되고 노란색에 물들이면 노랗게 되니, 삼가지 않을 수 없다.” 하였다.
讚은 아름다워한다는 뜻이다. 羔는 양의 작은 것이다. 羊은 가축 이름이다. 《詩經》 〈羔羊〉에 말하기를 “양 가죽 옷이여, 흰 실로 꿰맨 다섯 군데 솔기로다.” 하였다.
살펴보면 《詩經》의 본래 뜻은 大夫들이 節儉하고 정직한 것을 아름다워한 것인데, 이 시를 인용하여 다만 양 가죽 옷의 흰 실로 꿰맨 솔기가 그 색깔이 純一함을 취했을 뿐이다.(《釋義》)
신습
한자
墨:먹 묵 墨客 墨子 墨刑 墨畫 遺墨 筆墨 近墨者黑
悲:슬플 비 悲觀 悲劇 悲哀 悲痛 喜悲 悲壯美 大慈大悲
絲:실 사 絲綸 絲麻 絲竹 絹絲 綿絲 毛絲 麻絲 生絲
染:물들일 염 染工 染料 染色 染心 感染 捺染 汚染 傳染
詩:시 시 詩文 詩人 吟詩 作詩 近體詩 敍事詩 五言詩
讚:칭찬할 찬 讚歌 讚美 讚辭 讚揚 禮讚 稱讚 自畫自讚
羔:새끼 양 고 羔裘 羔豚 羔羊 羔子 蒸羔 執羔 烹羔 獻羔
羊:양 양 羊毛 羊皮 白羊 山羊 多岐亡羊 羊頭狗肉
동영상 재생
1 2·5·25 묵비사염하 … 303

주해천자문 책은 2023.12.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