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註解千字文

주해천자문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주해천자문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19‧44
姑伯叔 (諸姑伯●叔● 猶子◯比◑兒◎)
言父之姊妹兄弟也
言兄弟之子也
自諸姑伯叔視之하면 猶己子而比己兒也


여러 姑母와 伯父‧叔父는 〈조카를〉 아들처럼 여겨 자기 아이에 견준다.
이는 아버지의 자매와 형제를 말한 것이다.
伯‧叔은 바로 형제의 칭호인데, 세속에서는 伯을 아버지의 형이라 하고 叔을 아버지의 아우라 하니, 이 또한 세속의 오류를 따른 것이다.
이는 형제의 아들을 말한 것이다.
여러 姑母와 伯父‧叔父의 입장에서 보면 〈조카는〉 자기 자식과 같아 자기 아들에 비하게 된다.
[節旨] 아버지와 아들의 윤리를 미루어 널리 말한 것이다.(《釋義》)
[節解] 윗글에서는 다만 아버지에게 의지한다고만 말하여 아버지와 아들의 윤리가 다하지 못한 바가 있다. 아버지와 똑같이 높은 이는 선생이 있고 아버지와 똑같이 친한 이는 어머니가 있어서, 여러 姑母와 伯父‧叔父에 미치면 모두 아버지로부터 미루어나간 것이다. 형제의 아들에 이르러서는 곧 아들로부터 미루어나간 것으로 아버지의 윤리가 온전하다.(《釋義》)


역주
역주1 諸姑伯叔 猶子比兒 : 諸는 여럿이다. 아버지의 자매를 姑라 하고 아버지의 兄을 伯이라 하고 아버지의 아우를 叔이라 한다. 猶는 같다는 뜻이다. 比는 견준다는 뜻이다. 《禮記》 〈檀弓 上〉에 이르기를 “형제의 아들은 아들과 같다.” 하였으니, 형제가 낳은 아들은 자기의 아들과 같아서 자기 아이에 견줄 수 있음을 말한 것이다.(《釋義》)
역주2 : ‘저’ 1音으로 쓰이다가 오늘날에는 ‘저’(어조사)와 ‘제’(모두) 2음으로 쓰인다. 《字典釋要》에 ‘諸 져 衆也 語辭’, 《新字典》에 “諸 져 衆也 모듬 모들 ○ 語助辭 어조사”로 나타내어 의미가 ‘모두’와 ‘어조사’인 경우 다 ‘져’였다. 그러나 ‘모두’인 경우는 《朝鮮語辭典》(朝鮮總督府 編, 1920년)에 “졔[諸] 諸家[졔가] 諸國[졔국] ……” 등에서 ‘졔’로 나타나고 있다.
역주3 猶子比兒 : 의미가 전의되어 猶子는 ‘조카[姪子]’로, 比兒도 ‘조카[姪兒]’로 쓰이게 되었다.
역주4 伯叔卽兄弟之稱……此亦承俗謬也 : 伯叔은 형제의 서열을 말하여 형제 중에 첫 번째가 伯, 두 번째가 仲, 세 번째가 叔, 네 번째가 季이다. 그런데 伯을 ‘큰아버지[父之兄]’, 叔을 ‘작은아버지[父之弟]’라고 부르는 것은 잘못이라고 지적한 것이다.
신습
한자
諸:모두 제/여럿 제 諸公 諸君 諸侯 諸子百家 諸行無常 居諸
姑:시어미 고/고모 고 姑母 姑婦 舅姑 外姑 姑息之計 姑從四寸
伯:맏 백/큰아버지 백 伯父 伯叔 道伯 畫伯 伯仲叔季 伯仲之間
叔:아재비 숙/작은아버지 숙 叔父 叔母 叔姪 叔行 堂叔 外叔 從叔
猶:오히려 유/같을 유 猶豫 謀猶 猶父猶子 猶豫未決 猶謂不足
子:아들 자/딸 자 子女 子孫 甲子 孫子 處子 子子孫孫 赤子之心
比:견줄 비 比肩 比較 比率 對比 櫛比 比翼鳥 反比例
兒:아이 아 兒童 健兒 男兒 小兒 乳兒 兒女子 麒麟兒

주해천자문 책은 2023.12.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