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註解千字文

주해천자문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주해천자문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4‧1‧83 하고 我藝하니라 (俶●載◑南畝◯하고 我◯藝◑黍◯稷◉하니라)
詩小雅大田篇之詞 言始事於南畝也
詩小雅 有田祿而奉祭祀者 自言種其黍稷也


비로소 앞밭에서 일하고, 내가 기장과 피를 심는다.
《詩經》 〈小雅 大田〉의 가사이니, 비로소 남쪽 이랑에서 일함을 말한 것이다.
《詩經》 〈小雅 楚茨〉의 가사이니, 田祿(采田의 봉록)이 있어 제사를 받드는 자가 기장과 피를 심음을 스스로 말한 것이다.


역주
역주1 俶載南畝 我藝黍稷 : 俶은 비로소이다. 載는 일하다는 뜻이다. 南은 방향 이름이다. 《司馬法》에 이르기를 “6척이 步이고 100步가 畝이다.” 하였다. 秦나라 제도는 240步로 畝를 삼았는데 지금 그것을 따른다.
我는 자기이다. 藝는 심는다는 뜻이다. 黍‧稷은 모두 곡식 이름이다. 곡식은 5가지가 있는데 稻‧黍‧稷‧麥‧菽이다. 이 두 구절은 모두 《詩經》의 가사인데 작자가 인용한 것이다.(《釋義》)
역주2 : 《光州千字文》‧《石峰千字文》에서는 ‘앏 남’으로 풀이하였다. 남쪽을 ‘앞’으로 나타낸 것이다.
역주3 : 古字는 𤱑(이랑 묘)이다.(《中》)
音을 과거에는 ‘무’라 하다가 현대에는 ‘묘’로 바뀌어가고 있다.
역주4 黍稷 : 곡식 이름으로, 구체적 곡물 이름은 여러 가지로 풀이되는바, 차진 정도에 따라 ‘찰기장’과 ‘메기장’으로 구분한 주석이 있다.
稷과 黍는 1부류이면서 2종자이다. 차진 것은 黍이고 차지지 않은 것은 稷이다.(《本草綱目》 穀2 〈稷〉)
역주5 楚茨篇之詞 : 《詩經》의 ‘我藝黍稷’을 鄭箋은 “내가 장차 서직을 심겠다.”로, 集傳은 “장차 우리에게 여기에서 黍稷을 심게 하려 한다.”로 풀이하였다.
신습
한자
俶:비로소 숙 俶始 俶然 俶擾 俶爾 俶裝 俶載 俶獻
載:실을 재/일할 재 載送 記載 滿載 連載 積載 轉載 千載一遇
南:남쪽 남 南北 南人 南柯一夢 南橘北枳 東西南北
畝:이랑 무(묘) 畝隴 畝數 畎畝 田畝 五畝之宅 荼薺不同畝
我:나 아 我軍 無我 自我 彼我 我田引水 衆人皆醉我獨醒
藝:재주 예/심을 예 藝能 藝術 技藝 武藝 文藝 演藝 六藝 學藝
黍:기장 서 黍糕 黍苗 黍米 黍飯 黑黍 玉蜀黍 黍離麥秀
稷:기장 직/피 직 稷官 稷壇 稷正 稷狐 社稷 后稷 稷蜂社鼠
동영상 재생
1 4·1·83 숙재남묘하 … 172

주해천자문 책은 2023.12.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