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顔氏家訓(2)

안씨가훈(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안씨가훈(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8. 승려의 부정한 행실에 대한 해명
釋三曰:
開闢已來, 不善人多而善人少, 何由悉責其精絜乎?
見有名僧高行, 棄而不說;若睹凡僧流俗, 便生非毁。
且學者之不勤, 豈敎者之爲過?
俗僧之學經律, 何異士人之學 《詩》、《禮》?
以《詩》、《禮》之敎, 朝廷之人, 略無全行者;
以經律之禁, 格出家之輩, 而獨責無犯哉?
且闕行之臣, 猶求祿位;毁禁之侶, 何慙供養乎?
其於戒行, 自當有犯。
一披法服, 已墮僧數, 歲中所計, , 比諸, 猶不啻山海也。


8. 승려의 부정한 행실에 대한 해명
세 번째 비난에 대한 해명이다.
천지天地개벽開闢한 이래로 착하지 않은 사람이 많고 착한 사람은 적었는데, 어찌하여 승려만 모조리 다 정혈精絜하기를 요구하는가?
이름난 고승의 드높은 행실을 보고서는 내버려두고 아무 말도 하지 않으면서, 평범한 승려가 시속에 휩쓸리는 것을 보면 바로 비난과 물의가 생겨난다.
또 배우는 사람이 부지런하지 못한 것이 어찌 가르치는 사람의 잘못이겠는가?
속승俗僧불경佛經계율戒律을 배우는 거나, 사인士人이 《시경詩經》과 《예기禮記》를 배우는 거나 무엇이 다르겠나?
시경詩經》과 《예기禮記》의 가르침으로 조정朝廷의 관리들을 심사한다면, 행실이 온전한 사람이 거의 없을 것이다.
불경佛經계율戒律금계禁戒를 가지고 출가한 승려들을 심사해서, 유독 그들만 한 가지도 어긋남이 없기를 요구한다는 말인가?
또 행실이 모자란 신하도 녹봉과 지위를 구하거늘, 금계禁戒를 어긴 승려라고 어찌 공양供養을 부끄러워하겠는가?
승려가 계율을 지켜 수행해나가다 보면 때로는 어길 때도 있는 법이다.
한번 법복法服을 입어 승적僧籍에 오르고 나면, 한 해 중에 따져서 지켜야 할 〈수많은〉 재계齋戒, 강설講說, 송경誦經, 지계持戒 등이 일반 사람들과 견주어보면 산과 바다에 비할 정도가 아니다.


역주
역주1 : 따져서 평가하다. 심사하다.[역자]
역주2 齋講誦持 : 승려가 일상으로 행하는 齋戒, 講說, 誦經, 持戒 등을 말한다.[역자]
역주3 白衣 : 승려는 검은 승복[緇]을 입으므로 世人을 白衣라 하였다.[盧文弨]
일반 사람을 말한다.[역자]

안씨가훈(2)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