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曾鞏(1)

당송팔대가문초 증공(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증공(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推漢之以亡爲存하여 歸功於孺子輩하되
論有本末이라
漢元興以後 政出宦者하니 小人挾其威福하여 相煽爲惡하고
中材顧望하여 不知所爲
漢旣失其操柄 紀綱大壞
然在位公卿大夫 多豪傑特起之士하여
相與發憤同心하여 直道正言하고 分別是非白黑하여 不少屈其意하니
至於不容하여는 而織羅鉤黨之獄起하되
其執彌堅하고 而其行彌勵하니
志雖不就而忠有餘
故及其旣歿 而漢亦以亡하니
當是之時하여 天下聞其風慕其義者 人人感慨奮激하여 至於解印綬하고 棄家族하며 骨肉相勉하여 赴死而不避하니
百餘年間 擅彊大覬非望者相屬이로되 皆逡巡而不敢發하니
漢能以亡爲存 蓋其力也
孺子於時 豫章太守陳蕃 太尉黃瓊 辟皆不就하고
擧有道하여 拜太原太守하고 安車備禮하여 召皆不至하니
蓋忘己以爲人 與獨善於隱約 其操雖殊 其志於仁一也
在位士大夫 抗其節於亂世하여 不以死生動其心 異於懷祿之臣遠矣
然而不屑去者 義在於濟物故也니라
孺子 嘗謂郭林宗曰 大木將顚 非一繩所維 何爲棲棲不皇寧處오하니
此其意亦非自足於丘壑이요 遺世而不顧者也
孔子稱顔回하사대 用之則行하고 捨之則藏 惟我與爾有是夫인저하시고
孟子亦稱孔子하사대 可以進則進하며 可以止則止하시니 乃所願則學孔子로라하시고
而易於君子小人消長進退 擇所宜處하여 未嘗不惟其時則見하며 其不可而止하니
此孺子之所以未能以此而易彼也
孺子姓徐 名穉 孺子其字也 豫章南昌人이라
컨대 章水北逕南昌城西하고 歷白社하니
其西有孺子墓
又北歷南塘하니
其東爲東湖 湖南小洲上 有孺子宅하니 號孺子臺
吳嘉禾中 太守徐熙於孺子墓隧種松하고 太守於墓側立碑
晉永安中 太守於碑旁立思賢亭하여 世世修治하고
하여는 謂之聘君亭이라하니라
今亭尙存하나 而湖南小洲 世不知其嘗爲孺子宅이며 又嘗爲臺也
予爲太守之明年 始卽其處하여 結茅爲堂하고 圖孺子像하여 祠以하고 率州之賓屬拜焉이라
漢至今且千歲
富貴堙滅者 不可稱數언마는
孺子不出閭巷이로되 獨稱思至今하니
則世之欲以智力取勝者 非惑歟
孺子墓失其地 而臺幸可考而知하니
祠之 所以示邦人以尙德이라
故幷采其出處之意爲記焉하노라
唐荊川曰 此篇三段이니
第一段 敍黨錮諸賢及孺子事하고 第二段 比論二事하고 第三段 敍作亭이라하니라


01. 서유자徐孺子사당祠堂에 쓴 기문
나라가 망해가던 국세國勢를 보존하게 된 원인을 추론推論하면서 그 공을 유자孺子의 무리에게 돌렸다.
논변이 본말을 갖추었다.
나라 원흥元興 연간(105) 이후로 조정의 정책과 법령이 환관의 손에서 나왔는데, 소인배가 그 권세를 이용하여 함부로 상벌을 행하고 서로 선동하여 악행을 자행하였다.
이때 중등의 재능을 지닌 자들은 관망만 할 뿐 어찌할 줄 몰랐다.
나라는 통치능력을 상실하고 나서 기강이 크게 무너졌다.
그러나 관직에 있던 공경대부公卿大夫 가운데 호걸스럽고 특출한 수많은 지사志士들이 많았다.
이들이 함께 떨쳐 일어나 한마음이 되어 올바른 도리를 견지하고 바른말을 하며 시비와 흑백을 분별하여, 조금도 자신들의 뜻을 굽히지 않았다.
그 결과 소인배의 비위를 거스르는 지경에 이르자, 그들이 죄명을 날조하여 수백 명이 처형되거나 유배되거나 구금을 당한 당고黨錮가 발생했다.
그러나 지사志士들의 집념은 더욱 굳건했으며 그 행동은 더욱 고무되었다.
그들의 포부는 비록 실현되지 못했지만, 그들의 충정忠情은 차고 넘쳤다.
때문에 그 지사志士들이 다 죽고 나서야 나라도 이를 계기로 멸망하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에 천하에서 지사志士들의 기풍氣風을 듣고 그들의 절의를 사모한 자들은 누구나 감개하고 격분한 나머지, 심지어는 관직을 내놓고 가족도 돌보지 않은 채 골육간에 서로 분발하여 뻔히 죽음을 당할 일을 하면서도 피하지 않았다.
백여 년 동안 강대한 권력을 멋대로 휘두르면서 분수를 벗어난 목적을 달성하려고 기도한 자들이 잇달아 나타났지만, 모두 머뭇거리면서 결행할 엄두를 내지 못했다.
나라가 위태로운 가운데 계속 존재할 수 있었던 것은 분명히 그들의 역량 때문이었다.
유자孺子는 이 당시에 예장태수豫章太守 진번陳蕃태위太尉 황경黃瓊이 그에게 벼슬을 주겠다고 초빙하였으나 모두 사양하고 응하지 않았다.
그리고 그를 도를 지닌 선비라는 명목으로 조정에 천거하여 그가 집에 머물러 있는 상황에서 태원태수太原太守에 제수하고 안거安車와 후한 예물을 갖추어 초빙하였으나 그는 모두 거절하고 부임하지 않았다.
자신의 존재를 잊고 남을 위해 헌신하는 사람과 유자孺子처럼 은거하여 곤궁한 처지에서 자신의 순결을 지키고 혼탁한 세속과 합류하지 않는 사람은, 그 처세하는 태도는 비록 다르지만 뜻을 세워 의 도리를 실천하는 목표는 동일하다.
관직에 있는 사대부士大夫난세亂世에 자신의 고상한 절조를 견지하여 생사로 인해 그들의 신념을 바꾸지 않는 것은, 오로지 공명과 이록利祿을 탐하는 관료와는 크게 다르다.
세상이 어지러운데도 불구하고 그들이 벼슬을 버리고 떠나기를 원하지 않는 까닭은 세상과 백성을 구제하는 것을 자기의 책임으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유자孺子가 일찍이 곽림종郭林宗에게 “큰 나무가 쓰러지려 할 때에는 밧줄 하나로 버텨낼 수 있는 상태가 아닙니다. 그런데 어찌하여 분주하게 지내면서 단 며칠이라도 편한 날을 보내지 못합니까?” 하였다.
이로 볼 때 유자孺子는 또한 산림에 은거하는 것에 만족하고 인간세상을 초탈하여 돌아보지 않는 사람은 아니었다.
공자孔子께서 안회顔回를 칭찬하기를 “나를 임용해주면 나가서 벼슬하고 나를 써주지 않으면 물러나 은거하는 것은 오직 나와 너만이 이렇게 할 수 있다.” 하였고,
맹자孟子께서도 공자孔子를 칭송하기를 “벼슬할 만한 상황이면 벼슬하시고 물러나 은거할 만한 상황이면 물러나 은거하셨다. 내가 원하는 것은 공자孔子를 배우는 것이다.” 하였다.
그리고 《역경易經》에서 군자君子의 도와 소인小人의 도가 소멸되고 신장하는 것에 따라 나아가고 물러나는 문제에 관해 말한 것은 사람들에게 시기와 상황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대처하도록 한 것으로써, 시기와 상황이 양호하면 세상에 나가고 시기와 상황이 좋지 않으면 물러나 피하는 것을 인정하지 않은 적이 없다.
이것이 곧 유자孺子당고제현黨錮諸賢이 취한 원칙으로 자기의 처세태도를 바꾸지 못한 이유이다.
유자孺子서씨徐氏이고 이름은 이며 유자孺子는 그의 인데, 예장豫章 남창南昌 사람이다.
도기圖記》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보인다. “장수章水는 북쪽으로 남창성南昌城 서쪽을 경유하고 백사白社를 지나간다.
그 서쪽에는 유자孺子의 무덤이 있다.
또 북쪽으로는 남당南塘을 지나간다.
그 동쪽은 동호東湖인데, 동호東湖 남쪽 작은 모래섬 위에 유자孺子가 살던 집이 있어 유자대孺子臺라고 부른다.
나라 가화嘉禾 연간(232~238)에 태수太守 서희徐熙유자孺子의 묘역에 소나무를 심고, 태수太守 사경謝景이 무덤가에 비석을 세웠다.
그리고 나라 영안永安 연간(304)에 태수太守 하후숭夏侯嵩이 비석 옆에 사현정思賢亭을 세웠고 그 이후 대대로 수리해왔다.
탁발씨拓跋氏북위北魏 때에는 사현정思賢亭빙군정聘君亭이라 했다.”
현재 정자가 아직도 남아 있으나, 동호東湖 남쪽 작은 모래섬의 경우에는 세상 사람들이 그곳이 유자孺子가 살던 집이었다는 것을 모르고 유자대孺子臺였다는 것도 모른다.
내가 태수로 부임한 이듬해에 처음으로 그곳에 가서 띠풀을 엮어 사당을 짓고 유자孺子의 초상을 그리고는 중뢰中牢로 제사를 지내면서 홍주洪州의 빈객들을 거느리고 가서 절을 올렸다.
나라 때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거의 천 년이 된다.
그동안 부귀를 누리고 사라져간 사람들을 이루 다 헤아릴 수 없다.
유자孺子는 자기 마을을 벗어나지 않았는데도 유독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칭송과 사모를 받는다.
그렇다면 세상 사람 중에 지혜와 용력으로 승리를 얻는 사람은 어리석은 자가 아니겠는가.
유자孺子의 묘지는 이미 그 위치를 알 수 없으나, 유자대孺子臺는 다행스럽게도 고찰하여 알 수 있다.
유자孺子의 사당을 세운 것은 이 지역 사람들에게 덕을 숭상하도록 가르치기 위해서이다.
때문에 내가 유자孺子출처관出處觀을 같이 채록採錄하여 이 기문記文을 짓는다.
당형천唐荊川이 말하였다. “이 작품은 세 단락으로 되어 있다.
첫 번째 단락에서는 당고黨錮의 화를 당했던 여러 현인賢人유자孺子에 얽힌 이야기를 서술하고, 두 번째 단락에서는 벼슬하고 은거하는 두 가지 문제를 비교 논의하였으며, 세 번째 단락에서는 정자亭子를 짓게 된 경위를 서술하였다.”


역주
역주1 徐孺子祠堂記 : 작자 59세 때인 熙寧 10년(1077)에 徐穉(97~168)의 祠堂을 짓고 나서 쓴 記文이다. 이해는 작자가 知洪州로 부임한 지 2년째가 되는 때이다. 이 작품에서는 後漢 때 일어났던 黨錮의 禍와 그 당시 徐穉의 거취를 서술하고, 徐穉의 사당을 짓게 된 경위를 밝히고 있다.
역주2 圖記 : 인용한 글이 北魏 酈道元이 편찬한 《水經注》의 내용인 것으로 보면, 작자가 본 《水經注》에는 그림도 함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역주3 謝景 : 자는 叔發로, 三國 때 南陽 宛縣 사람이다. 吳나라 孫權의 아들 孫登이 태자로 있을 때 賓客이 되었으며 豫章太守를 지낼 적에 치적이 있었다.
역주4 夏侯嵩 : 晉 梁郡 사람이며 豫章太守를 지냈다.
역주5 拓跋魏 : 곧 北魏를 말한다. 北魏는 鮮卑族인 拓跋氏가 세웠기 때문에 그렇게 부른다.
역주6 中牢 : 祭禮를 행할 때 제물로 쓰는 희생으로, 돼지와 양 두 종류를 말한다. 少牢와 같다.

당송팔대가문초 증공(1)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