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唐宋八大家文抄 曾鞏(1)

당송팔대가문초 증공(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당송팔대가문초 증공(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公爲記佛殿이나 而却本佛殿之所以獨得 劫民與國之財以自侈하니 亦是不肯放倒自家面目處
鵝湖院佛殿成하여 僧紹元來請記할새 遂爲之記曰
用兵으로 天子宰相與士大夫 勞於議謀하고 材武之士 勞於力하며 農工商之民 勞於賦斂이요
而天子嘗減諸費하고 大臣亦往往辭賜錢하며 士大夫或暴露其身하고 材武之士 或秉義而死하며 農工商之民 或失其業이라
惟學佛之人 不勞於謀議하고 不用其力하며 不出賦斂하고 食與寢自如也
資其宮之侈 非國則民力焉이어늘 而天下皆以爲當然하니 予不知其何以然也
今是殿之費 十萬不已 必百萬也 百萬不已 必千萬也 或累累而千萬之不可知也
其費如是廣이어늘 欲勿記其日時 其得邪
而請予文者 又紹元也 故云耳하니라


07. 아호원鵝湖院불전佛殿에 쓴 기문
공이 불전佛殿기문記文을 썼지만 불전佛殿이 만들어지게 된 것은 백성과 국가의 재물을 빼앗아 스스로 사치를 한 것이라는 데에 주안점을 두었으니, 역시 자기 본연의 면모를 무너뜨리려 하지 않은 부분이다.
경력慶曆(송 인종宋 仁宗의 연호, 1041~1048) 모년 모월 모일에 신주信州 연산현鉛山縣 아호원鵝湖院불전佛殿이 완공되어, 승려 소원紹元이 나에게 와서 기문記文을 지어줄 것을 청하기에 마침내 그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쓴다.
서쪽 지역에서 전쟁을 시작한 뒤로 천자天子재상宰相사대부士大夫들은 계책을 세우느라 수고하고, 재능과 무용武勇을 지닌 무사들은 그들의 온 힘을 다하느라 수고하며, 농업‧공업‧상업에 종사하는 백성들은 세금을 내느라 수고한다.
그리고 천자는 일찍이 자신이 타는 수레와 후궁을 운영하는 데에 들어가는 여러 비용을 줄였고, 대신大臣 또한 늘 천자天子가 하사하는 돈을 사양하며, 사대부士大夫는 혹 〈국사를 위해 도로 위에서 동분서주하며〉 비바람과 추위 더위에 시달리는 자도 있고, 재능과 무용을 지닌 무사들은 혹 절의를 지키다가 죽는 자도 있으며, 농업‧공업‧상업에 종사하는 백성들은 혹 그들이 의지해 살아가는 가업을 잃는 자도 있다.
오직 부처를 배우는 사람들은 계책을 세우느라 수고하지 않고 지닌 힘을 제공하지 않으며 세금을 내지 않으면서도 편안하게 먹고 자는 것이 변함이 없다.
그들의 건물을 확장하는 데에 들어가는 자금은 국가의 지원이 아니면 백성들의 인력人力인데 천하 사람들은 모두 그것을 당연하게 생각하니, 나는 무엇 때문에 그런지 모르겠다.
지금 이 아호원鵝湖院 불전佛殿을 짓는 데에 들어간 비용은 십만 금에 그치지 않고 필시 백만 금일 수도 있을 것이고, 백만 금에 그치지 않고 필시 천만 금일 수도 있을 것이며, 어쩌면 더 많아 천만 금 이상일지도 모른다.
이 비용이 이와 같이 많은데 그 건축한 일시를 기록하지 않고 그만두려고 하면 되겠는가.
나에게 기문記文을 지어달라고 부탁한 사람은 소원紹元이었다. 그의 요청이 있었기 때문에 쓴 것이다.


역주
역주1 鵝湖院佛殿記 : 鵝湖院 佛殿이 낙성된 뒤에 승려 紹元의 요청에 따라 지은 記文이다. 다만, 佛殿을 건축할 때 대량의 인력과 물력을 소비한 사실에 대해 불교도들이 세상에 더부살이로 살아가는 생활과 국가와 백성의 재물을 소비하는 행태를 엄중하게 지적함으로써, 그가 불교를 배척하는 이유가 국가의 경제와 민간의 생활에 대한 관심에 의한 것이지, 이단을 배격하는 전통적인 儒家의 견해로 인한 것만은 아님을 반영하였다. 저술한 시기는 알 수 없다.
역주2 慶曆某年某月日 : 이 記文을 쓴 시제를 밝힌 것으로, 아래 ‘遂爲之記’ 앞 부분에 있어야 할 것을 편의상 그 위치를 바꾼 것이다.
역주3 信州鉛山縣 : 信州는 지금의 江西 貴溪 이동과 懷玉山 이남 일대이고, 鉛山縣은 지금의 江西 동북부이다.
역주4 西方 : 西夏를 가리킨다. 본 명칭은 大夏로, 党項族이 세운 나라이다. 宋 仁宗 景祐 5년(1038)에 李元昊가 황제가 되어 지금의 寧夏 銀川인 興慶府에 도읍을 두었고 지금의 寧夏‧陝北과 甘肅 서북부 지역을 관할하였다. 宋나라와 여러 차례 전쟁이 일어났다.
역주5 乘輿掖庭 : 乘輿는 제왕이 타는 수레이고, 掖庭은 황궁의 곁에 있는 방으로 후궁들이 거처하는 곳이다.

당송팔대가문초 증공(1) 책은 2019.03.1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