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孝經注疏

효경주소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효경주소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子曰 君子之事上也
[注]上 謂君也
進思盡忠하며
[注]進見於君이면 則思盡忠節이라
退思補過하야
[注]君有過失이면 則思補益이라
將順其美하고
[注]將 行也 君有美善이면 則順而行之
匡救其惡이라
[注]匡 正也 止也 君有過惡이면 則正而止之
故上下能相親也하나니라
[注]下以忠事上하고 上以義接下하야 君臣同德이라 故能相親이라
[疏]‘子曰’至‘親也’
○正義曰:此明賢人君子之事君也. 言入朝進見, 與謀慮國事, 則思盡其忠節. 若退朝而歸, 常念己之職事, 則思補君之過失.
其於政化, 則當順行君之美道, 止正君之過惡. 如此則能君臣上下情志通協, 能相親也.
四曰 已上皆斷章, 指於聖人君子, 謂居君位而子下人也.
六曰, 此章“君子之事上”, 則皆指於賢人君子也.
[疏]○注‘上 謂君也’
○正義曰:此對論語云 “孝悌, 而好犯上者, 鮮矣”, 彼“上”謂凡在己上者, 此“上”惟指君. 故云“上, 謂君也”.
[疏]○注‘進見’至‘忠節’
○正義曰:此依韋注也. 說文云 曰 “忠, 直也.”
論語曰 “臣事君以忠.” 則忠者, 善事君之名也. 節, 操也.
言事君者敬其職事, 直其操行, 盡其忠誠也. 言臣常思盡其節操, 能致身授命也.
[疏]○注‘君有’至‘補益’
○正義曰:案舊注韋昭云 “退歸私室, 則思補其身過.” 以禮記少儀曰 “朝廷曰退, 燕遊曰歸.”
左傳引詩曰 “退食自公.” 杜預注 “臣自公門而退入私門, 無不順禮.” 室猶家也.
謂退朝, 理公事畢, 而還家之時. 則當思慮以補身之過. 故國語曰 “士朝而受業, 晝而講貫, 夕而習復, 夜而計過, 無憾而後卽安.”
言若有憾則不能安, 是思自補也. 案左傳 “晉荀林父爲楚所敗, 歸, 請死於晉侯.
晉侯許之, 士渥濁諫曰 ‘林父之事君也, 進思盡忠, 退思補過.’
是其義也. 文意正與此同, 故.
今云“君有過則思補益”, 出制旨也, 義取詩大雅烝民云 “袞職有闕, 惟仲山甫補之.”
毛傳云 “有袞冕者, 君之上服也. 仲山甫補之, 善補過也.”
鄭箋云 “袞職者, 不敢斥王言也. 王之職有, 輒能補之者, 仲山甫也.” 此理爲勝, 故易舊也.
[疏]○注‘將行’至‘行之’
○正義曰:此依王注也. 案孔注尙書太誓云 “肅將天威, 爲敬行天罰.”
是“將”訓爲“行”也. 言君施政敎有美, 則當順而行之.
[疏]○注‘匡 正也 救 止也’
○正義曰:此依王注也.
“匡 正”, 釋文也. 馬融注論語云
云“君有過惡, 則正而止之”者, 尙書云 “予違汝弼, 汝無面從”, 是也.
[疏]○注‘下以’至‘相親’
○正義曰:此依魏注也. 書曰 “居上克明, 爲下克忠”, 是其義也. 左傳曰 如此則能相親也.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가 임금을 섬길 적에
은 임금을 일컫는다.
〈조정에〉 나아가서 〈정무政務를 볼 때〉는 충성을 다할 생각을 하고
〈조정에〉 나아가 임금을 뵐 때면 충절忠節을 다할 생각을 한다.
〈조정에서〉 물러나 〈집으로 돌아와〉서는 임금의 잘못을 보완할 생각을 하여,
임금에게 잘못이 있으면 보완하여 보탬을 드릴 생각을 한다.
임금의 아름다운 점은 따라 행하고
(행함)이다. 임금에게 아름다운 점이 있으면 따라 행한다.
임금의 나쁜 점은 바로잡아 제지한다.
(바로잡음)이고, (그치게 함)이다. 임금에게 나쁜 점이 있으면 바로잡아 그치게 한다.
그러므로 윗사람과 아랫사람이 서로 친할 수 있다.
아랫사람은 충성으로 윗사람을 섬기고, 윗사람은 로 아랫사람을 대하여, 임금과 신하가 한마음 한뜻이 된다. 이 때문에 서로 친할 수 있는 것이다.
의 [자왈子曰]부터 [친야親也]까지
정의왈正義曰:이는 현인군자가 임금을 섬기는 일을 밝힌 것이다. ‘조정에 들어가서 〈임금께〉 나아가 뵙고 나랏일을 함께 헤아릴 때면 충절을 다할 생각을 하고, 조정에서 물러나 〈집으로〉 돌아와 항상 자신의 직무를 생각하면서는 임금의 잘못을 보완할 생각을 한다.
정사政事와 교화에 있어서는 임금의 아름다운 노선을 따라 행하고, 임금의 나쁜 점을 제지하여 바로잡는다. 이와 같이 하면 군신 상하君臣 上下과 뜻이 서로 통하고 맞아서 서로 친할 수 있다.’라는 말이다.
경문에서 ‘군자君子’라고 칭한 곳이 일곱 군데가 있다. 첫째는 〈〈성치장聖治章〉의〉 ‘군자는 귀하게 여기지 않는다’, 둘째는 ‘군자는 그렇지 않아서’, 셋째는 ‘한 사람 군자여’,
넷째는 〈〈광지덕장廣至德章〉의〉 ‘군자가 를 가르치는 것은’, 다섯째는 ‘사근사근한 군자여’인데, 이상은 모두 단장취의斷章取義하여 성인군자를 가리킨 것으로, ‘임금[]의 지위에 있으면서 아랫사람들을 자식처럼 사랑한다.[]’라는 뜻이다.
여섯째는 〈〈광양명장廣揚名章〉의〉 ‘군자가 어버이를 효성으로 섬기므로’이고, 끝으로 이 장의 ‘군자가 임금을 섬길 때는’인데, 이는 모두 현인군자를 가리킨다.
의 [상 위군야上 謂君也]
정의왈正義曰:이를 ≪논어論語≫ 〈학이學而〉에 “부모에게 효도하고 형을 공경[]하면서 윗사람[] 범하기를 좋아하는 자는 드물다.”라고 한 말과 대비해 보면, ≪논어≫의 ‘’은 자기 위에 있는 모든 사람을 말한 것이고, 여기의 ‘’은 임금만을 가리킨 것이다. 이 때문에 “은 임금을 일컫는다.”라고 한 것이다.
의 [진현進見]부터 [충절忠節]까지
정의왈正義曰:이는 위소韋昭(위요韋曜)의 를 따른 것이다. ≪설문해자說文解字≫에 “(공경)이다. 마음을 다하는 것을 이라고 한다.”라고 하였고, ≪자고字詁≫에 “(곧음)이다.”라고 하였다.
논어論語≫ 〈팔일八佾〉에 “신하는 임금을 충성[]으로 섬긴다.”라고 하였으니, 그렇다면 은 임금을 잘 섬긴다는 말이다. (지조)이다.
‘임금을 섬기는 사람은 자신의 직무에 「마음을 다하여[]」 몸가짐과 행실을 곧게 하고 충성을 다한다.’라고 말한 것이니, 신하는 절조를 다하여 〈임금에게〉 몸을 바치고 목숨을 바칠 수 있기를 늘 생각한다는 말이다.
의 [군유君有]부터 [보익補益]까지
정의왈正義曰:살펴보건대 구주舊注 중에 위소韋昭가 “〈조정에서〉 물러나 집[사실私室]으로 돌아오면 자신의 잘못을 보완할 생각을 한다.”라고 하였는데, 그 근거는 다음과 같다. ≪예기禮記≫ 〈소의少儀〉에 “조정〈에서 물러나오는 것〉은 退(물러남)라고 하고, 잔치〈에서 돌아오는 것〉은 (돌아옴)라고 한다.”라고 하였다.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에 ≪시경詩經≫ 〈소남 고양召南 羔羊〉의 시를 인용하기를 “조정에서 물러나와 밥을 먹는데”라고 하였는데, 두예杜預에 “신하가 공문公門(조정)에서 물러나 사문私門(집)으로 들어가기까지 를 따르지 않음이 없다.”라고 하였다. (집)와 같다.
‘조정에서 물러나서 공무 처리가 끝나 집으로 돌아왔을 때는 자신의 잘못을 보완할 생각을 해야 한다.’라는 말이다. 이 때문에 ≪국어國語≫ 〈노어 하魯語 下〉에 “는 아침에 〈조정에서〉 일을 받고, 낮에 강습하고, 저녁에 복습하고, 밤에 잘못을 헤아려 유감이 없은 뒤에야 편안히 쉰다.”라고 하였다.
만약 유감이 있다면 편안히 쉬지 못한다는 말이니, 이것이 자신의 잘못을 보완하려고 생각하는 것이다. 살펴보건대 ≪춘추좌씨전≫에 “나라 순임보荀林父나라 군대에 패배하여 돌아와서 진후晉侯(나라 임금)에게 죽음을 내려달라고 청하였다.
진후晉侯가 허락하려 하자, 사악탁士渥濁하기를 ‘순림보는 임금을 섬길 적에 〈조정에〉 나아가서는 충성을 다할 생각을 하고 〈집으로〉 물러나와서는 〈자신의〉 잘못을 보완할 생각을 하였습니다.’라고 하였다.
이에 진후晉侯가 〈순림보를〉 용서하고 원래의 직위職位를 회복시켜 주었다.”라고 하였는데, 이것이 그러한 뜻이다. 경문經文의 의미가 바로 이(≪춘추좌씨전≫의 인용 내용)와 같기 때문에 구주舊注에서 이 ≪춘추좌씨전≫의 문장을 따라 경문을 해석한 것이다.
지금 〈에〉 “임금에게 잘못이 있으면 보완하여 보탬이 되어 드릴 생각을 한다.”라고 한 것은 ≪효경제지孝經制旨≫에서 나온 말이다. ≪시경詩經≫ 〈대아 증민大雅 烝民〉에 “곤직袞職(임금의 직무職務)에 잘못이 있으면, 오직 중산보仲山甫가 보완해드리네.”라고 한 뜻을 취한 것이다.
모시고훈전毛詩詁訓傳≫에 〈이 시에 대해〉 “곤면袞冕(곤복袞服면류관冕旒冠)이 임금의 〈복장 중〉 상등上等의 복장〈이기 때문에 임금의 직무를 곤직袞職이라고 칭하였〉다. 중산보仲山甫가 보완했다는 것은 〈임금의〉 잘못을 잘 보완한 것이다.”라고 하였고,
정현의 에 “‘곤직袞職’은 감히 제왕을 직접 가리켜 말할 수 없〈기 때문에 옷을 대신 가리켜 칭한 것이다.〉 제왕의 직무에 잘못이 있을 때마다 잘 보완해드린 사람이 중산보仲山甫였다.”라고 하였다. 이것(임금의 잘못을 보완하는 것으로 풀이한 해석)이 사리상 우수하므로 구주舊注를 대체하였다.
의 [장행將行]부터 [행지行之]까지
정의왈正義曰:이는 왕숙王肅를 따른 것이다. 살펴보건대 공안국이 ≪상서尙書≫ 〈태서泰誓〉에 를 내기를 “‘공경히 하늘의 위엄을 행하게[] 했다.’는 것은 하늘의 주벌誅罰을 공경히 〈대신〉 하게 했다는 말이다.”라고 하였으니,
’의 뜻을 ‘(행하다)’으로 푼 것이다. ‘임금이 시행하는 정교政敎에 아름다운 점이 있으면 당연히 그것을 따라 행해야 한다.’라는 말이다.
의 [광 정야匡 正也 구 지야救 止也]
정의왈正義曰:이는 왕숙王肅를 따른 것이다.
[광 정匡 正] ≪이아爾雅≫ 〈석언釋言〉의 문장이다. 마융馬融이 ≪논어≫에 를 내기를 “(제지함)와 같다.”라고 하였다.
[군유과악 즉정이지지君有過惡 則正而止之] ≪상서尙書≫ 〈익직益稷〉에 “내가 도리에 어긋난 행동을 하면 네가 보필〈하여 바로잡을〉지니, 너는 면전面前에서만 순종하는 척하지 말라.”라고 한 것이 이것이다.
의 [하이下以]부터 [상친相親]까지
정의왈正義曰:이는 위진극魏眞克를 따른 것이다. ≪상서尙書≫ 〈이훈伊訓〉에 “윗자리에 있을 때는 밝게 다스리고, 아랫사람이 되어서는 충성하며”라고 한 것이 이러한 뜻이다. ≪춘추좌씨전≫에 “임금은 의롭고 신하는 〈임금의 명을〉 행하며”라고 하였는데, 이같이 하면 〈임금과 신하가〉 서로 친할 수 있다.


역주
역주1 君子不貴……淑人君子 : 인용된 세 문구는 모두 〈聖治章〉에 보인다.
역주2 君子之敎以孝……愷悌君子 : 인용된 두 문구는 모두 〈廣至德章〉에 보인다.
역주3 君子之事親孝 : 〈廣揚名章〉에 보인다.
역주4 : 畢竟의 뜻으로 쓰였다.
역주5 忠……盡心曰忠 : 현행본 ≪說文解字≫에는 ‘盡心曰忠’ 4자가 없으나, 淸나라 段玉裁가 ≪說文解字注≫ ‘忠’조에 이 4자를 보충하고, 그 근거를 ≪효경≫의 이 疏로 들었다. 唐 元行沖이 인용한 ≪설문해자≫에는 본디 이 4자가 있었다는 것이다.
역주6 字詁 : 삼국시대 魏나라 초기에 張揖이 저술한 字書 ≪古今字詁≫의 略稱이다.(≪魏書≫ 卷91 〈術藝列傳 江式〉)
역주7 晉荀林父爲楚所敗……使復其位 : ≪春秋左氏傳≫ 宣公 12년조에서 요약 인용한 것이다.
역주8 注依此傳文而釋之 : 疏의 이 단락 첫 부분에 인용된 韋昭의 풀이가 ≪春秋左氏傳≫의 내용과 같이 “자신의 잘못을 보완할 생각을 한다.”라고 한 것을 말한다.
역주9 (缺)[闕] : 저본에는 ‘缺’로 되어 있으나, 監本‧毛本과 ≪詩經注疏≫ 〈烝民〉의 鄭箋에 의거하여 ‘闕’로 바로잡았다.(阮元의 〈校勘記〉 참조)
역주10 (詁)[言] : 저본에는 ‘詁’로 되어 있으나, 앞의 인용문이 ≪爾雅≫ 〈釋言〉의 내용이므로 ‘言’으로 바로잡았다.(阮元의 〈校勘記〉 참조)
역주11 救猶止也 : ≪論語≫ 〈八佾〉의 “季氏旅於泰山 子謂冉有曰 女弗能救與(季氏가 태산에 旅제사를 지내자 공자가 冉有에게 말하였다. “네가 그것을 제지할 수 없었느냐?”)”의 ‘救’에 대한 주석이다.
역주12 君義臣行 : ≪춘추좌씨전≫ 隱公 3년조에 보인다.

효경주소 책은 2019.11.0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