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孝經注疏

효경주소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효경주소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雖因心之孝已萌이나 而資敬之禮猶簡이러니
[疏]正義曰:因猶親也, 資猶取也. 言上古之人, 有自然親愛父母之心, 如此之孝, 雖已萌兆, 而取其恭敬之禮節, 猶尙簡少也.
周禮大司徒敎六行, 云 “孝‧友‧睦‧姻‧任‧恤.” 注云 “, 親於外親.” 是因得爲親也.
詩大雅皇矣云 “此王季, 因心則友.” 士章云 “資於事父, 以事君, 而敬同.” 此其所出之文也, 故引以爲序耳.


비록 친애하는 마음의 효는 이미 싹텄지만 공경을 한 예절은 아직 간소하였다.
정의왈正義曰(친애함)과 같고, (취함)와 같다. 상고시대 사람들은 저절로 부모를 친애하는 마음이 있었으니, 이 같은 효가 비록 이미 싹터 조짐이 있기는 했으나 공경을 한 예절은 아직 간소하였다는 말이다.
주례周禮≫에 대사도大司徒가 가르치는 여섯 가지 행실을 “부모에 대한 효도[], 형제간의 우애[], 친족에 대한 친애[], 외척에 대한 친애[], 붕우간의 신뢰[], 구휼[]”이라고 하였는데, 〈정현의〉 주에 “외친外親을 친애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의 뜻이 될 수 있다.
시경詩經≫ 〈대아 황의大雅 皇矣〉에도 “이 왕계王季가 친애하는[] 마음으로 곧 우애하시어”라고 하였다. 본서 〈사장士章〉에 “아버지 섬기는 마음에서 취하여[] 임금을 섬기므로 그 공경[]이 같다.”라고 하였으니, 이것(‘’자)은 본서(≪효경≫)에 나오는 글자이다. 이 때문에 서문에 끌어다 쓴 것이다.


역주
역주1 : ≪周禮≫ 〈大司徒〉의 정현 注에는 ‘姻’으로 되어 있다.
역주2 : ≪詩經≫ 〈大雅 皇矣〉에는 ‘維’로 되어 있다.

효경주소 책은 2019.11.0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