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孝經注疏

효경주소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효경주소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大雅云 이어다하니라
[注]詩大雅也 無念 念也 述也 其也 義取恒念先祖하야 述脩其德이라
[疏]‘大雅’至‘厥德’
○正義曰:夫子敍述立身行道揚名之義旣畢, 乃引大雅文王之詩以結之. 言凡爲人子孫者, 常念爾之先祖, 述脩其功德也.
[疏]○注‘詩大’至‘其德’
○正義曰:云“無念 念也 聿 述也”, 此竝毛傳文,
“厥 其也”, 釋言文.
云“義取常念先祖 述脩其德”者, 此依孔傳也, 謂述脩先祖之德而行之.
此經有十一章引詩及書, 劉炫云 “夫子敍經, 申述先王之道.
詩‧書之, 事有當其義者, 則引而證之, 示言不虛發也. 七章不引者, 或事義相違, 或文勢自足, 則不引也.
, 而禮則雜引詩‧書及易, 竝意及則引. 若汎指, 則云‘詩曰’‧‘詩云’,
若指之名, 卽云‘國風’‧‘大雅’‧‘小雅’‧‘魯頌’‧‘商頌’, 若指篇名, 卽言‘曰’‧‘武曰’,
皆隨所便而引之, 無定例也.” 鄭注云 “雅者, 正也. 方始發章, 以正爲始.” 亦無取焉.


대아大雅에 ‘네 할아버지를 생각지 아니하랴. 그 덕을 계승하여 닦을지어다.’라고 하였다.”
시경詩經대아大雅이다. 무념無念(생각지 아니하랴)은 (생각한다)의 뜻이고, (따르다, 계승하다)의 뜻이며, (그)의 뜻이다. ‘항상 선조를 생각하여 그(선조의) 덕을 계승하여 닦는다.’라는 뜻을 취한 것이다.
의 [대아大雅]부터 [궐덕厥德]까지
정의왈正義曰부자夫子(공자孔子)가 입신立身하여 를 행해서 이름을 드날린다는 내용의 서술을 마친 다음, ≪시경詩經≫ 〈대아 문왕大雅 文王〉의 시구를 인용하여 마무리하였다. ‘사람의 자손 된 자들은 늘 그들의 선조를 생각하여 그(선조의) 공덕을 계승하여 닦아야 한다.’라는 말이다.
의 [시대詩大]부터 [기덕其德]까지
정의왈正義曰:[무념 념야無念 念也 율 술야聿 述也] 이는 모두 ≪모시고훈전毛詩詁訓傳≫의 글이다.
[궐 기야厥 其也] ≪이아爾雅≫ 〈석언釋言〉의 글이다.
[의취상념선조 술수기덕義取常念先祖 述脩其德] 이는 공안국孔安國을 따른 것으로, 선조의 덕을 계승하여 닦아 행한다는 말이다.
(≪효경≫)의 11개 에 ≪시경詩經≫과 ≪상서尙書≫를 인용한 데 대해 유현劉炫이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부자夫子(공자孔子)는 경문經文을 서술할 때 선왕先王를 거듭 말하고,
≪시경≫과 ≪상서≫의 말 중에 일이 그(경문經文의) 내용과 합당한 것이 있으면 인용하여 〈경문經文의 내용을〉 증명함으로써 말을 근거 없이 하지 않았음을 보였다. 7개 에서 〈≪시경≫과 ≪상서≫를〉 인용하지 않은 것은 일의 내용이 〈경문經文의 내용과〉 서로 어긋나거나 문세文勢가 〈경문經文〉 자체로 충분하기 때문에 인용하지 않은 것이다.
〈〈개종명의장〉은〉 오경五經 중에 오직 ≪시경≫만을 인용하였다. 〈이에 비해〉 ≪예기≫는 ≪시경≫‧≪상서≫‧≪주역≫에서 두루 인용하였으니, 의미가 닿으면 〈이 세 에서〉 모두 인용한 것이다. 〈≪효경≫에서 ≪시경≫ 전체를〉 넓게 지칭할 때는 ‘시왈詩曰’, ‘시운詩云’이라고 하였고,
사시四始의 명칭을 지칭할 때는 ‘국풍國風’, ‘대아大雅’, ‘소아小雅’, ‘노송魯頌’, ‘상송商頌’이라고 하였으며, 편명篇名을 지칭할 때는 ‘작왈勺曰’, ‘무왈武曰’이라고 하는 등,
모두 편의대로 인용하여 일정한 체재가 없었다.” 정현鄭玄에 “(바름)이다. 〈≪효경≫의 이 부분에서〉 을 처음 막 펼치고 있기 때문에 바름을 시작으로 삼은 것이다.”라고 하였으나, 이 설은 취하지 않는다.


역주
역주1 無念爾祖 聿脩厥德 : ≪詩經≫ 〈大雅 文王〉의 시구이다.
역주2 : 浦鏜의 ≪十三經注疏正字≫에는 이 글자가 ‘當’이 되어야 한다고 하였다.(阮元의 〈校勘記〉 참조)
역주3 (詩)[語] : 저본에는 ‘詩’로 되어 있으나, 嘉靖本‧汲古閣本에 의거하여 ‘語’로 바로잡았다.
역주4 五經唯傳引詩 : ≪孝經≫의 11개 章에 ≪詩經≫과 ≪書經≫이 인용된 데 대한 설명에 이어진 말이므로, ‘詩’ 뒤에 ‘書’ 1자가 누락된 것으로도 볼 수 있다. 그러나 이어지는 예시가 모두 ≪시경≫에 대한 것이므로 ≪시경≫만을 인용한 본장(개종명의장)에 국한하여 논지를 전개한 것으로 생각된다.
역주5 四始 : ≪시경≫의 風‧小雅‧大雅‧頌을 지칭하는 말로 쓰이기도 하고 이들의 각 첫 편을 지칭하는 말로 쓰이기도 하며, 大雅의 〈大明〉, 小雅의 〈四牡〉‧〈南有嘉魚〉‧〈鴻雁〉을 지칭하는 말로 쓰이기도 하는데, 여기서는 첫째의 뜻이다.
역주6 (句)[勺] : 저본에는 ‘句(글귀 구)’로 되어 있으나, 監本‧毛本에 의거하여 ‘勺(구기 작)’으로 바로잡았다.(阮元의 〈校勘記〉 참조)

효경주소 책은 2019.11.0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