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孝經注疏

효경주소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효경주소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劉炫 明安國之本이요 陸澄 譏康成之注니라
[疏]正義曰:隋書云 “劉炫字光伯, 河間景城人. 炫左畫方, 右畫圓, 口誦, 目數, 耳聽, 五事竝擧, 無所遺失.
仕後周, 直門下省, 竟不得官. 縣司責其賦役, 炫自陳於內史, 吏部.
吏部尙書韋世康問其所能, 炫自爲狀曰 ‘周禮‧禮記‧毛詩‧尙書‧公羊‧左傳‧孝經‧論語, 孔‧鄭‧王‧何‧服‧杜等注, 凡三十家,
雖義有精麤, 竝堪講授. 周易‧儀禮‧穀梁, 用功頗少. 子史文集, 嘉言美事, 咸誦於心. 天文律歷, 窮覈微妙.
初, 炫旣得王邵所送古文孔安國注本, 遂著古文稽疑以明之.
蕭子顯齊書曰 學博覽, 無不知. 起家仕宋, 至齊, 歷國子祭酒‧光祿大夫.”
初, 澄以晉荀昶所學爲非鄭玄所注, , 王儉違其議.


유현劉炫공안국孔安國(≪고문효경古文孝經≫에 대한 공안국의 주본注本)을 밝히고 육징陸澄강성康成(정현鄭玄)의 를 비판하였다.
정의왈正義曰:≪수서隋書≫에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유현劉炫은 자는 광백光伯이고 하간 경성河間 景城 사람이다. 그는 왼손으로는 네모를 그리고 오른손으로는 동그라미를 그리면서 입으로 글을 외고 눈으로 물건을 세고 귀로 소리를 듣는 등 다섯 가지 일을 동시에 하면서도 빠뜨리거나 잘못된 것이 없었다.
후주後周에서 벼슬하였으며, 〈나라에서는〉 문하성門下省에 당직을 서기는 했으나 끝내 관직을 얻지 못하였다. 의 담당자가 그에게 부세賦稅를 내고 요역徭役에 복무하도록 요구하자, 그는 내사內史에게 자신의 형편을 진술하고, 이부吏部에 보내달라고 요청하였다.
이부상서 위세강吏部尙書 韋世康이 그의 재능을 묻자 스스로 글을 써 〈올리기를〉, ‘≪주례≫‧≪예기≫‧≪모시≫‧≪상서≫‧≪춘추공양전≫‧≪춘추좌씨전≫‧≪효경≫‧≪논어≫에 대한 공안국孔安國정현鄭玄왕필王弼하안何晏복건服虔두예杜預 등 총 30학자의 주해注解를,
비록 의미에 거칠고 정밀한 차이는 있지만, 모두 강론講論하여 전수傳授할 수 있습니다. ≪주역≫‧≪의례≫‧≪춘추곡량전≫에는 들인 공력이 좀 적습니다. 그러나 자부서子部書사부서史部書문집文集의 훌륭한 말과 아름다운 일들을 모두 마음속에 외고 있고, 천문天文악률樂律역법曆法을 미묘한 부분까지 궁구해 밝혔으며,
공적인 문서와 사적인 서찰을 남에게 대필시킨 적이 없습니다.’라고 하였다. 그러나 이부吏部에서는 끝내 〈그의 재능을〉 상세히 점검해 보지 않다가 〈조정의 저명한 인사들의 보증으로〉 전내장군殿內將軍에 임명하였다. 나라에서 벼슬하여 태학박사太學博士를 지냈으며 파직되자 하간河間으로 돌아갔다. 〈그 뒤에 농민군農民軍의 반란에 가담했다가 패하여〉 농민군의 진영에서 굶어 죽었다. 시호는 선덕선생宣德先生이다.”
이전에 유현은 왕소王邵가 보내준 ≪고문효경古文孝經공안국 주본孔安國 注本을 받고는 ≪고문효경계의古文孝經稽疑≫를 저술하여 그 의미를 밝혔다.
소자현蕭子顯(489~537)의 ≪남제서南齊書≫에 “육징陸澄은, 자는 언연彦淵이고 오군 오吳郡 吳 사람이다. 어려서부터 배우기를 좋아하고 폭넓게 독서하여 모르는 것이 없었다. 집에서 지내다가 부름을 받아 남조 송南朝 宋나라에서 벼슬하였고, 남조 나라 때 이르러 국자좨주國子祭酒광록대부光祿大夫를 지냈다.”라고 하였다.
이전에 육징은 나라 순창荀昶이 배운 것은 정현의 가 아니라면서 비서성祕書省(왕실 도서관)에 보관하지 말기를 청하였으나, 왕검王儉이 그의 건의를 따르지 않았다.


역주
역주1 乞送 : ≪隋書≫ 권75 〈劉炫列傳〉에는 ‘內史送詣’로 되어 있다.
역주2 (擧)[假] : 저본에는 ‘擧’로 되어 있으나, ≪隋書≫ 권75 〈劉炫列傳〉과 ≪北史≫ 권82 〈劉炫列傳〉에 의거하여 ‘假’로 바로잡았다.(阮元의 〈校勘記〉 참조)
역주3 劉炫字光伯……謚宣德先生 : ≪隋書≫ 권75 〈劉炫列傳〉에서 발췌 인용한 것이다.
역주4 陸澄字彦淵……光祿大夫 : ≪南齊書≫ 권39 〈陸澄列傳〉에서 발췌 인용한 것이다.
역주5 [好] : 저본에는 ‘好’가 없으나, ≪南齊書≫ 권39 〈陸澄列傳〉에 의거하여 보충하였다.(상해고적출판사, 정리본 ≪효경주소≫ 참조)
역주6 請(文)[不]藏秘(書)[省] : 저본에는 ‘請文藏秘書’로 되어 있으나, ≪南齊書≫ 권39 〈陸澄列傳〉의 내용 및 王應麟의 ≪玉海≫ 권41 〈唐孝經注議〉에 의거하여 ‘文’을 ‘不’로 바로잡고, ‘書’를 ‘省’으로 바로잡았다.(阮元의 〈校勘記〉 참조)

효경주소 책은 2019.11.0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