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孝經注疏

효경주소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효경주소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至於跡相祖述하야는 殆且百家
[疏]正義曰:至於者, 語更端之辭也. 跡, 蹤跡也. 祖, 始也. 因而明之曰述.
言學者蹤跡相尋, 以在前者爲始, 後人從而述脩之, 若仲尼祖述堯舜之爲也. 殆, 近也. 言近且百家, 目其多也.
案其人, 今文則有魏王肅‧蘇林‧何晏‧劉邵, 吳韋昭‧謝萬‧徐整, 晉袁宏‧,
東晉楊‧殷仲文‧車胤‧孫氏‧庾氏, 荀昶‧孔光‧何承天‧釋慧琳, 齊王玄載‧明僧紹,
及漢之長孫氏‧江翁‧翼奉‧后蒼‧張禹‧鄭衆‧鄭玄所說, 各爲一家也.
其梁皇侃撰義疏三卷, 梁武帝作講疏, 賀瑒‧嚴植之‧劉貞簡‧明山賓咸有說, 隋有鉅鹿魏眞克者亦爲之訓注.
其古文出自孔氏壞壁, 本是孔安國作傳, 會, 其本亡失. 至隋, 王邵所得以送劉炫, 炫敍其得喪, 述其義疏議之.
劉綽亦作疏, 與鄭義俱行. 又馬融亦作古文孝經傳, 而世不傳. 此皆祖述名家者也.


발자취를 서로 이어 옛 설을 기반으로 부연함에 이르러서는 거의 100나 되며,
정의왈正義曰:‘지어至於’는 말끝을 바꾸는 말이다. 은 발자취이고, (처음)이다. 이어서 밝히는 것을 이라 한다.
학자學者들이 발자취를 서로 이어서, 전에 있던 것을 시작으로 삼아 후인이 그에 따라 부연해 밝히기를 마치 중니仲尼(공자孔子)가 을 시작으로 삼아 부연해 밝힌 것과 같이 했다.’라는 말이다. (가까움)이다. 100에 가깝다고 말한 것이니, 그 많음을 지적한 것이다.
그 사람들을 살펴보면, ≪금문효경今文孝經≫에는 나라의 왕숙王肅소림蘇林하안何晏유소劉邵, 나라의 위소韋昭사만謝萬서정徐整, 나라의 원굉袁宏우반우虞槃佑,
동진東晉양홍楊泓은중문殷仲文차윤車胤손씨孫氏유씨庾氏, 〈남조 송南朝 宋나라의〉 순창荀昶공광孔光하승천何承天‧승려 혜림慧琳, 남조 제南朝 齊나라의 왕현재王玄載명승소明僧紹
나라의 장손씨長孫氏강옹江翁익봉翼奉후창后蒼장우張禹정중鄭衆정현鄭玄이 해설한 것이 각기 일가一家를 점하였다.
나라의 황간皇侃은 ≪효경의소孝經義疏≫ 3권을 지었고, 양 무제梁 武帝는 ≪효경강소孝經講疏≫를 지었으며, 하창賀瑒엄식지嚴植之유정간劉貞簡명산빈明山賓이 모두 이 있다. 나라에는 거록鉅鹿위진극魏眞克이란 자가 또 훈주訓注(훈석訓釋주해注解)를 내었다.
고문효경古文孝經≫은 공자가 살았던 옛 집을 허물던 중 벽에서 나왔다. 본디 공안국孔安國을 지었지만 무고巫蠱의 일(B.C.91)을 만나는 바람에 그 책이 유실되었다. 나라에 이르러 왕소王邵가 얻은 것을 유현劉炫에게 보내자 유현이 그 잘잘못을 서술하고 의소義疏(의미를 풀이한 )를 써서 논의하였다.
류작劉綽를 지었는데, 정현鄭玄이 풀이한 뜻과 함께 통행되었다. 또 마융馬融도 ≪고문효경전古文孝經傳≫을 지었으나 〈지금은〉 세상에 전해지지 않는다. 이들이 모두 옛 것을 기반으로 부연한 명가名家들이다.


역주
역주1 虞槃佑 : ≪隋書≫ 〈經籍志〉에는 ‘虞槃佐’로 되어 있다.(阮元의 〈校勘記〉 참조)
역주2 : 저본에는 우하측 점이 없는 총 7획의 못 갖춘 글자()로 표기되어 있으나, 淸나라 高宗 乾隆帝 愛新覺羅 弘曆의 ‘弘’자를 피하기 위해 우하측의 점을 빼고 쓴 避諱의 연장으로 缺劃한 것이므로 갖춘 글자로 돌려놓았다.
역주3 [宋] : 저본에는 ‘宋’이 없으나, 朝代별로 인물을 분류하고 각 조대의 첫 사람 이름 앞에 朝代名을 드러낸 이 문장 전체의 체재에 따라 ‘宋’을 보충하였다.(上海古籍出版社, 整理本 ≪孝經注疏≫ 참조)
역주4 : ‘점유하다, 차지하다’의 뜻으로 쓰였다. 이와 같은 용례로 ≪莊子≫ 〈秋水〉의 “구덩이의 물을 차지하여[擅] 우물 안의 즐거움을 멋대로 즐기는 것, 이것도 최고일세.”를 들 수 있다.
역주5 巫蠱事 : 85쪽 주4) 참조.

효경주소 책은 2019.11.0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