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孝經注疏

효경주소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효경주소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且傳 以通經爲義 以必當爲主하야
[疏]正義曰:且者, 語辭. 傳者, 注解之別名. 博釋經意, 傳示後人, 則謂之傳. 注者, 著也.
約文敷暢, 使經義著明, 則謂之注. 自題, 不爲義例. 或曰 “前漢以前名傳, 後漢以來名注.” 蓋亦不然,
何則. 馬融亦謂之傳, 知或說非也. 此言傳注解釋, 則以通暢經指爲義, 義之裁斷, 則以必然當理爲主也.


그리고 경문經文의 의미 소통을 의의로 삼고, 의미는 반드시 합당함을 으뜸으로 삼아서,
정의왈正義曰어조사語助辭이다. 주해注解의 딴이름이다. 경문經文의 뜻을 두루 풀이하여 후인後人에게 전하여 보여주는 것을 이라고 한다. (드러냄)이다.
간결한 글로 부연하여 의미를 소통시킴으로써 경문의 뜻을 분명히 드러내는 것을 라고 한다. 〈이 두 가지는 저자가〉 나름대로 〈선택하여〉 표기할 수 있는 것이지 〈저술의 서로 다른〉 체재가 아니다. 혹자는 말하기를, “전한前漢 이전에는 이라 칭하였고 후한後漢 이후에는 라고 칭하였다.”라고 하지만, 이는 옳지 않은 듯하다.
어째서인가. 〈후한後漢의〉 마융馬融도 〈에 대한 주해를〉 이라고 하였으므로 혹자의 설이 잘못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대목은〉 전주傳注를 달아 해석하는 것은 경문의 뜻을 명확히 소통시킴을 의의로 삼고, 의미를 판단하는 기준은 반드시 이치에 부합함을 으뜸으로 삼는다는 말이다.


역주
역주1 作得 : ‘할 수 있다[能做]’는 말이다.

효경주소 책은 2019.11.0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