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孝經注疏

효경주소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효경주소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去聖逾遠 源流益別이라
[疏]正義曰:逾, 越也. 百川之曰源, 水行曰流, 增多曰益.
言秦‧漢而下, 上去孔子聖越遠. 孝經本是一源, 諸家增益, 別爲衆流, 謂其文不同也.
近觀孝經舊注 踳駁尤甚이요
[疏]正義曰:孝經今文, 稱鄭玄注, 古文, 稱孔安國注. 先儒詳之, 皆非眞實, 而學者互相宗尙.
踳, 乖也. 駁, 錯也. 尤, 過也. 今言觀此二注, 乖錯過甚, 故言踳駁尤甚也.


성인(공자孔子)과의 거리가 점차 멀어짐에 따라 유파가 더욱 갈렸다.
정의왈正義曰(점차)이다. 온갖 시내의 근원을 이라 하고, 물의 흐름을 라고 하며, 더욱 많아지는 것을 이라고 한다.
한시대漢時代 이후로 위로 성인聖人공자孔子와의 거리가 점점 더 멀어졌다는 말이다. ≪효경≫의 근원은 본디 하나인데 여러 학파가 점차 많아져서 따로따로 뭇 유파가 되었다는 것은 각 유파의 글이 서로 달랐다는 말이다.
근래에 살펴보니 ≪효경≫의 옛 는 〈경문經文의 뜻에〉 어긋나고 어수선함이 너무나 심하고,
정의왈正義曰:≪효경≫의 금문今文으로는 정현鄭玄주본注本을 일컫고 고문古文으로는 공안국孔安國주본注本을 일컫는다. 선유先儒들이 상세히 분석한 결과 〈이 두 주본注本은〉 모두 두 사람의 진짜 저술이 아닌데도 학자學者들이 서로 높여 숭상하고 있다.
(어긋남)이고 (어수선함)이며, (지나침)이다. 지금 ‘이 두 를 살펴보면 〈경문經文의 뜻에〉 어긋나고 어수선함이 지나치게 심하다.’라고 말하려 하였다. 이 때문에 ‘준박우심踳駁尤甚’이라고 말한 것이다.


역주
역주1 (木)[本] : 저본에는 ‘木’으로 되어 있으나, 嘉靖本‧汲古閣本에 의거하여 ‘本’으로 바로잡았다.

효경주소 책은 2019.11.0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