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孝經注疏

효경주소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효경주소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禮者 敬而已矣
敬者 禮之本也
故敬其父則子悅하고 敬其兄則弟悅하고 敬其君則臣悅하나니 敬一人而千萬人悅하나니라
居上敬下 盡得懽心이라 故曰悅也
所敬者寡 而悅者衆이니 此之謂要道也니라
‘禮者’至‘道也’
○正義曰:此承上“莫善於禮”也.
言“禮者 敬而已矣”, 謂禮主於敬也. 明敬功至廣, 是要道也.
其要正以謂天子敬人之父, 則其子皆悅, 敬人之兄, 則其弟皆悅, 敬人之君, 則其臣皆悅.
此皆敬父兄及君一人, 則其子弟及臣千萬人皆悅. 故其所敬者寡而悅者衆. 卽前章所言“先王有至德要道”者, 皆此義之謂也.
○注‘敬者 禮之本也’
○正義曰:此依鄭注也. 案曲禮曰 “”, 是也.
○注‘居上’至‘悅也’
○正義曰:云“居上敬下”者, 案尙書五子之歌云 “爲人上者, 奈何不敬.” 謂居上位, 須敬其下.
云“盡得懽心 故曰悅也”者, 言得懽心, 則無所不悅也. 案孝治章云 “故得萬國‧百姓及人之懽心”, 是也.
舊注云 “一人謂父‧兄‧君. 千萬人謂子‧弟‧臣也”者, 此依孔傳也. 一人指受敬之人, 則知謂父‧兄‧君也.
千萬人指其喜悅者, 則知謂子‧弟‧臣也. 夫子‧弟及臣名, 何啻千萬. 言千萬人者, 擧其大數也.


는 공경[]일 뿐이다.
공경은 의 근본이다.
그러므로 그 아버지를 공경하면 자식들이 기뻐하고, 그 형을 공경하면 아우들이 기뻐하고, 그 임금을 공경하면 신하들이 기뻐하니, 한 사람을 공경하면 천만千萬 사람이 기뻐한다.
윗자리에 있으면서 아랫사람을 공경하면 〈아랫사람들의〉 환심을 모두 얻게 된다. 이 때문에 기뻐한다고 말한 것이다.
공경하는 대상은 적으나 기뻐하는 자가 많으니, 이것을 일러 ‘간요簡要[요도要道]’라고 한다.”
의 [예자禮者]부터 [도야道也]까지
정의왈正義曰:이는 위의 ‘보다 좋은 방법이 없다.’라는 말을 받은 것이다.
[예자 경이이의禮者 敬而已矣] ‘는 공경을 위주로 한다.’라는 말이다. 또 공경의 효과가 지극히 넓으므로 이것이 간요簡要임을 밝혔다.
그 간요하다는 것은 바로 ‘천자가 남의 아버지를 공경하면 그 자식들이 모두 기뻐하고, 남의 형을 공경하면 그 아우들이 모두 기뻐하며, 남의 임금을 공경하면 그 신하들이 모두 기뻐한다.’라는 것을 일컫는다.
이는 모두 아버지‧형‧임금 등 한 사람을 공경하면 그 자식‧아우‧신하 등 천만 사람이 모두 기뻐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공경하는 대상은 적으나 기뻐하는 사람이 많다. 앞 장(〈개종명의장開宗明義章〉)에서 말한 ‘선왕들은 지극한 덕과 간요한 가 있으시어’라는 것이 모두 이러한 내용을 말한 것이다.
의 [경자 예지본야敬者 禮之本也]
정의왈正義曰:이는 정현의 를 따른 것이다. 살펴보건대 ≪예기禮記≫ 〈곡례曲禮〉에 ‘공경하지 않음이 없다.’라는 것이 이것이다.
의 [거상居上]부터 [열야悅也]까지
정의왈正義曰:[거상경하居上敬下] 살펴보건대 ≪상서尙書≫ 〈오자지가五子之歌〉에 “백성의 윗사람 된 자가 어찌 공경하지 않는가.”라고 하였는데, 〈이는〉 윗자리에 있으면 아랫사람들을 공경해야 한다는 말이다.
[진득환심 고왈열야盡得懽心 故曰悅也] 환심을 얻으면 기뻐하지 않는 일이 없게 된다는 말이다. 살펴보건대 〈효치장孝治章〉에 ‘그러므로 만국萬國의, 백성들의, 사람들의 환심을 얻어서’라고 한 것이 이것이다.
에 “한 사람은 아버지‧형‧임금을 말하고, 천만 사람은 자식‧아우‧신하들을 말한다.”라고 한 것은 공안국의 을 따른 것이다. 한 사람은 〈천자의〉 공경을 받는 사람을 가리키므로 아버지‧형‧임금을 말함을 알 수 있다.
천만 사람은 기뻐하는 사람들을 가리키므로 자식‧아우‧신하들을 말함을 알 수 있다. 자식‧아우‧신하들의 수가 어찌 천만뿐이겠는가. 천만 사람이라고 말한 것은 큰 수를 든 것이다.


역주
역주1 (入)[又] : 저본에는 ‘入’으로 되어 있으나, 閩本‧監本‧毛本에 의거하여 ‘又’로 바로잡았다.(阮元의 〈校勘記〉 참조)
역주2 毋不敬 : 이 3字는 모든 禮의 기본 정신을 압축적으로 표현한 말로 일컬어진다.(≪論語集註≫ 〈爲政〉)

효경주소 책은 2025.01.07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50 서울시 종로구 삼봉로81, 1332호(두산위브파빌리온)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