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孝經注疏

효경주소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효경주소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禮者 敬而已矣
[注]敬者 禮之本也
故敬其父則子悅하고 敬其兄則弟悅하고 敬其君則臣悅하나니 敬一人而千萬人悅하나니라
[注]居上敬下 盡得懽心이라 故曰悅也
所敬者寡 而悅者衆이니 此之謂要道也니라
[疏]‘禮者’至‘道也’
○正義曰:此承上“莫善於禮”也.
言“禮者 敬而已矣”, 謂禮主於敬也. 明敬功至廣, 是要道也.
其要正以謂天子敬人之父, 則其子皆悅, 敬人之兄, 則其弟皆悅, 敬人之君, 則其臣皆悅.
此皆敬父兄及君一人, 則其子弟及臣千萬人皆悅. 故其所敬者寡而悅者衆. 卽前章所言“先王有至德要道”者, 皆此義之謂也.
[疏]○注‘敬者 禮之本也’
○正義曰:此依鄭注也. 案曲禮曰 “”, 是也.
[疏]○注‘居上’至‘悅也’
○正義曰:云“居上敬下”者, 案尙書五子之歌云 “爲人上者, 奈何不敬.” 謂居上位, 須敬其下.
云“盡得懽心 故曰悅也”者, 言得懽心, 則無所不悅也. 案孝治章云 “故得萬國‧百姓及人之懽心”, 是也.
舊注云 “一人謂父‧兄‧君. 千萬人謂子‧弟‧臣也”者, 此依孔傳也. 一人指受敬之人, 則知謂父‧兄‧君也.
千萬人指其喜悅者, 則知謂子‧弟‧臣也. 夫子‧弟及臣名, 何啻千萬. 言千萬人者, 擧其大數也.


는 공경[]일 뿐이다.
공경은 의 근본이다.
그러므로 그 아버지를 공경하면 자식들이 기뻐하고, 그 형을 공경하면 아우들이 기뻐하고, 그 임금을 공경하면 신하들이 기뻐하니, 한 사람을 공경하면 천만千萬 사람이 기뻐한다.
윗자리에 있으면서 아랫사람을 공경하면 〈아랫사람들의〉 환심을 모두 얻게 된다. 이 때문에 기뻐한다고 말한 것이다.
공경하는 대상은 적으나 기뻐하는 자가 많으니, 이것을 일러 ‘간요簡要[요도要道]’라고 한다.”
의 [예자禮者]부터 [도야道也]까지
정의왈正義曰:이는 위의 ‘보다 좋은 방법이 없다.’라는 말을 받은 것이다.
[예자 경이이의禮者 敬而已矣] ‘는 공경을 위주로 한다.’라는 말이다. 또 공경의 효과가 지극히 넓으므로 이것이 간요簡要임을 밝혔다.
그 간요하다는 것은 바로 ‘천자가 남의 아버지를 공경하면 그 자식들이 모두 기뻐하고, 남의 형을 공경하면 그 아우들이 모두 기뻐하며, 남의 임금을 공경하면 그 신하들이 모두 기뻐한다.’라는 것을 일컫는다.
이는 모두 아버지‧형‧임금 등 한 사람을 공경하면 그 자식‧아우‧신하 등 천만 사람이 모두 기뻐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공경하는 대상은 적으나 기뻐하는 사람이 많다. 앞 장(〈개종명의장開宗明義章〉)에서 말한 ‘선왕들은 지극한 덕과 간요한 가 있으시어’라는 것이 모두 이러한 내용을 말한 것이다.
의 [경자 례지본야敬者 禮之本也]
정의왈正義曰:이는 정현의 를 따른 것이다. 살펴보건대 ≪예기禮記≫ 〈곡례曲禮〉에 ‘공경하지 않음이 없다.’라는 것이 이것이다.
의 [거상居上]부터 [열야悅也]까지
정의왈正義曰:[거상경하居上敬下] 살펴보건대 ≪상서尙書≫ 〈오자지가五子之歌〉에 “백성의 윗사람 된 자가 어찌 공경하지 않는가.”라고 하였는데, 〈이는〉 윗자리에 있으면 아랫사람들을 공경해야 한다는 말이다.
[진득환심 고왈열야盡得懽心 故曰悅也] 환심을 얻으면 기뻐하지 않는 일이 없게 된다는 말이다. 살펴보건대 〈효치장孝治章〉에 ‘그러므로 만국萬國의, 백성들의, 사람들의 환심을 얻어서’라고 한 것이 이것이다.
에 “한 사람은 아버지‧형‧임금을 말하고, 천만 사람은 자식‧아우‧신하들을 말한다.”라고 한 것은 공안국의 을 따른 것이다. 한 사람은 〈천자의〉 공경을 받는 사람을 가리키므로 아버지‧형‧임금을 말함을 알 수 있다.
천만 사람은 기뻐하는 사람들을 가리키므로 자식‧아우‧신하들을 말함을 알 수 있다. 자식‧아우‧신하들의 수가 어찌 천만뿐이겠는가. 천만 사람이라고 말한 것은 큰 수를 든 것이다.


역주
역주1 (入)[又] : 저본에는 ‘入’으로 되어 있으나, 閩本‧監本‧毛本에 의거하여 ‘又’로 바로잡았다.(阮元의 〈校勘記〉 참조)
역주2 毋不敬 : 이 3字는 모든 禮의 기본 정신을 압축적으로 표현한 말로 일컬어진다.(≪論語集註≫ 〈爲政〉)

효경주소 책은 2019.11.0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