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孝經注疏

효경주소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효경주소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詩云 夙興夜寐하야 無忝爾所生이어다하니라
[注]忝 辱也 所生 謂父母也 義取早起夜寐하야 無辱其親也
[疏]‘詩云’至‘所生’
○正義曰:夫子述士行孝畢, 乃引小雅小宛之詩, 以證之也. 言士行孝, 當早起夜寐, 無辱其父母也.
[疏]○注‘忝辱’至‘親也’
○正義曰:云“忝 辱也”, 釋言文.
“所生 謂父母也”, 下章云“”, 是也.
云“義取早起夜寐 無辱其親也”者, 亦引詩之大意也.


≪시경≫에 ‘새벽에 일어나고 밤늦게 잠들〈며 부지런히 직무를 수행하여,〉 너를 낳아주신 어버이를 욕되게 말지어다.’라고 하였다.”
(욕되게 함)이고 소생所生부모父母를 일컫는다. ‘새벽에 일어나고 밤늦게 잠들〈며 부지런히 직무를 수행하여,〉 자기 어버이를 욕되게 하는 일이 없음’의 뜻을 취한 것이다.
의 [시운詩云]부터 [소생所生]까지
정의왈正義曰부자夫子(공자孔子)가, 가 행하는 효에 대한 서술을 마친 다음 ≪시경詩經≫ 〈소아 소완小雅 小宛〉의 시를 인용하여 증명한 것이다. ‘가 행하는 효는 의당 새벽에 일어나고 밤늦게 잠들〈며 부지런히 직무를 수행하여,〉 부모를 욕되게 하는 일이 없게 하는 것’이라는 말이다.
의 [첨욕忝辱]부터 [친야親也]까지
정의왈正義曰:[첨 욕야忝 辱也] ≪이아爾雅≫ 〈석언釋言〉의 글이다.
[소생 위부모야所生 謂父母也] 뒤의 (〈성치장聖治章〉)에 “부모가 낳아주셨으니”라고 한 것이 이것이다.
[의취조기야매 무욕기친야義取早起夜寐 無辱其親也] 이 역시 〈≪시경≫의 이〉 시를 인용한 대의〈를 밝힌 것〉이다.


역주
역주1 父母生之 : 본서 〈聖治章〉에 보인다.

효경주소 책은 2019.11.0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